•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behavior inten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수도권 성인의 정기적 스케일링 수진 의사 결정 관련 요인 (Deciding factors of regular scaling checkup in metropolitan adults)

  • 고미경;임도선;안용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69-976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ciding factors of regular scaling checkup in metropolitan adul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95 adults of 20s to 50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4, 2012. Data wer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 Female tried to receive more regular scaling checkup than male. Dental practitioners were acquainted with the dental knowledge and had more scaling checkup. Those who received dental scaling checkup tended to use dental hygiene products and visit the dentists regularly. Those who receiving good dental health services tended to visit the dental clinics more frequently. Higher knowledge and lower fear of dental treatment lead to frequent regular checkup.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kindness, knowledge of scaling and regular scaling checkup. Fear to dental treatment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s : In order to increase intention degree of regular scaling checkup,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proper oral health behavior and to improve patient care services by dental hygienist.

치과 임플란트 시술 전·후의 구강보건행동 및 치료만족도 (Treatment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he before and after dental implanting treatment)

  • 김정숙;박지영;백지민;이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087-1094
    • /
    • 2013
  • Objectives : In this study, for before/after dental implant surgery, our aim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based on the decision of the treatment by measuring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and finding out the intention to revisit a hospital and also by recommendation. Methods : We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a cross-tabulations, paired t-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of 146 data who had visited at 6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located in Daegu for dental implant surgery, with SPSS (PASW 18.0 for Windows, SPSS Inc, USA)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before/after dental implant surgery. Results : The satisfaction related to before/after dental implant surgery of oral health was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 masticatory,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the satisfaction towards the treatment, the intention to revisit a hospital and also by recommendation. Independent variables explained the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before/after dental implant surgery as 19.1% and indicat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general. Conclusions : The satisfaction was higher on satisfactory of the postoperative treatment than on satisfactory of the preoperative treatment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refore, the dental medical team should take into account dental implanting as a way which improves the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related with oral health and have continuous managements and careful concerns.

치위생과 학생의 탄산음료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Carbonated beverage consump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정은주;윤혜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31-646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bonated beverage consumption and related factors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Gwangju Jeonnam.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43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Gwangju Jeonnam area from May 17, 2017 to June 1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of carbonated beverage intake, its degree of impact on oral health, oral care behavior following the intake of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method of intake. Results:There were 293 people (85.4%) who drink carbonated beverages. The intake frequency was an average of 3.9 times a week, and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beverage was cola with an average of 1.8 times a week. The intake frequency of carbonated beverage was correlated with a higher share of the cost of the beverage in the subject's monthly allowance, a lower intention of ceasing intake of carbonated beverage henceforth, and a lower grad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n carbonated beverages through nutrition education concerning beverages including the harmful effects of carbonated beverages and reinforce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in regular education course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frain from the consumption carbonated beverages by oneself as a preliminary dental hygienist.

신종인플루엔자 확산에 따른 지식과 예방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 of influenza A(H1N1) and preventive behavior in the midst of the spread of the flu)

  • 최혜숙;전미진;임미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67-576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ected people's knowledge of Influenza A(HINI), their self-efficacy, social norms, awareness of the gravity of the infection of the flu, behavioral intention, preventive behavior, the impact of their knowledge of the flu on those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s the spread of the flu has been accelerated.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4 health-related majors at two selected college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the metropolitan area. Results : As for connections between knowledge of the 2009 H1N1 and self-efficacy, the students who were knowledgeable about the flu got a mean of 3.24, and those whose knowledge was on an intermediate level got 3.08. The students who didn't know well about that got 2.91. The students who were better informed were ahead of those who were less informed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the intergroup ga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In relation to self-efficacy, the better-informed students scored higher than the less-informed ones in both of the two items: whether to know how to cope with the spread of the 2009 H1N1(p<0.01), and whether to be able to be ready for the spread of it(p<0.01). The intergroup ga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knowledge of the students about Influence A(H1N1) and their preventive behavior were analyzed in association with the spread of the flu,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tual preventive behavior though they were not the same in terms of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not only their knowledge but their attitude and preventive skills to boost their preventive behavior.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A Study on Needs of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Incheon)

  • 김진희;김현진;김혜진;박지혜;방우리;신혜주;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5-512
    • /
    • 2011
  • 지역아동센터 교사에게 제공할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2010년 4월 28일부터 2010년 6월 4일까지 98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및 인식, 지역아동센터내 아동의 구강관리 실태, 아동대상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의견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66.8%는 아동이 잇솔질을 가끔 또는 전혀 안한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57.3%는 자주 잇솔질 지도를 가끔 또는 전혀 못한다고 하였고, 잇솔질 지도를 잘 못하는 이유는 센터 내 세면대 부족(27.5%), 업무량이 많아 신경을 못 씀(20.6%), 잇솔질 할 시간이 없음(16.7%) 등의 순이었다. 저녁식사 후(65.2%)와 아침식사 전(51.1%) 잇솔질 하는 율이 가장 많았고, 주로 회전법(48.9%)과 종마법(35.4%)으로 있솔질 하고 있었다. 구강건강행동 실천은 술,담배 절제(4.17)가 가장 높았고 불소용액가글(2.56)이 가장 낮았으며, 전체항목의 실천도 평균은 3.27이었고, 87.7%는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한 군의 구강건강행위 실천도와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97.2%는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구강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74.2%가 전신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교사는 교육 후 아동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4.53{\pm}0.60$), 아동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실천($4.38{\pm}0.69$), 아동 잇솔질 권유($4.32{\pm}0.76$) 의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89.4%는 아동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86.5%는 참여의사가 있다고 하였고, 치과위생사 또는 치위생(학)과 학생(32.0%)과 치과의사(28.7%)의 센터 방문에 의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교육매체는 게임(4.17)과 동영상(4.15)의 형태가 효과적이라 생각하였고, 구강위생관리법(4.52), 치아우식예방법(4.40) 등에 대한 교육을 희망하였다. 센터내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사회성교육(5.57)이 가장 높았고 구강보건교육(3.34)은 제시된 8개 프로그램 중 최하위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구강보건을 위해서는 이들에게 영향력이 큰 지역아동센터 선생님들을 통한 간접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구강건강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목표를 설정해야하며, 아동의 구강관리 지도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아동들의 올바른 구강건강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센터 내 시설을 개선 확충해야할 것이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칫솔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Toothbrus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ed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윤수길;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54-562
    • /
    • 2014
  • 본 연구는 TPB 모형을 기본으로 자기효능감 변수를 추가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초등학생의 칫솔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2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443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18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PASW 18.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칫솔질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자기효능감이 칫솔질 행동의도와 칫솔질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TPB 모형에 따라 변수를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칫솔질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규범(${\beta}=0.343$)이었고, 다음으로 자기효능감(${\beta}=0.171$), 지각된 행동통제(${\beta}=0.163$), 칫솔질에 대한 태도(${\beta}=0.135$)의 순이었다. TPB 모형에 따라 칫솔질 행동을 종속변수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칫솔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칫솔질 의도(${\beta}=0.355$)와 자기효능감(${\beta}=0.113$)이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는 제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에게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부모와 교사 등이 관심을 가지고 칫솔질 지도를 수행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아동이 칫솔질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하고, 스스로 칫솔질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줄 필요가 있으며, 아동이 칫솔질을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정성 교정장치 장착환자의 치주질환관련 지식 및 구강건강관련 행태 (Periodontal disease-related recognition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 최경선;문상은;김윤정;김선영;조혜은;강현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47-755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periodontal disease-related recognition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86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in Gwangju, Jeonnam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27, 201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3 items), orthodontic related characteristics (3 items), knowledge of periodontal disease (3 items),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4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d chi-square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62.8% had experiences of dental treatment and 67.5% had intention of involvement on incremental care program in orthodontic treatment periods. Accuracy rate of cause about periodontal disease was high in female and case of acquiring information experiences on periodontal disease (p<0.05). 67.2% performed correct toothbrushing for the management of periodontal disease in the experiences of acquiring information on periodontal disease in orthodontic treatment periods (p<0.05). The proportions of using interdental toothbrush and mouth rinsing solutions were high among those over 20 years old and students in the subjects (p<0.05). Conclusions:The accuracy rate were high in the answers about cause and management of periodontal disease in case of acquiring information experiences on periodontal disease in orthodontic treatment period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ental hygiene intervention program for periodontal disease care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in that regard.

한국 성인의 우식예방 인식과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조사: 한국갤럽자료분석 (Degree of Interest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and Child's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Gallup Survey)

  • 진혜정;황윤숙;진명욱;최연희;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12
  • 우리나라 성인의 우식예방 관심도와 지식에 따른 본인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와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갤럽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였으며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비례 할당으로 표본 추출을 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후 총 1,014명(남자 502명, 여자 512명)의 자료를 수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우식예방 관심도는 남성에 비해 여성, 연령에서 40~49세군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수준은 대졸 이상인 경우, 주부인 경우, 자녀가 있는 경우, 지역크기가 읍면지역에 비해 대도시, 중소도시 거주자가 우식예방 인식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2.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구강보건교육 여부 및 우식예방 실천행위인 정기적인 치과방문, 스케일링 여부, 잇솔질 빈도,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3. 자녀의 우식예방 관심도는 남성에 비해 여성,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주부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학령기 시기인 경우 부모의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정기적인 구강건강 검진,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과 같은 실천행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4. 부모의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본인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와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론을 통해 우식예방 관심도와 지식수준은 우식예방 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본인의 우식예방 지식과 실천행위는 자녀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식예방을 통한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보건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지역 사회 기반의 구강건강 교육을 강화해야 되며, 부모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녀들이 건강한 치아를 보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광주시민의 구강보건행태와 편백나무 추출물 세치제 구매 동향분석 (Trend Analysis of the Gwangju Citizens on Utilization of Oral Health Behavior and Dentifrice Containing Hinoki Cypress(Chamaecyparis obtusa) Extract)

  • 박진주;이숙영;김수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21-328
    • /
    • 2012
  • 본 연구는 광주 시민들의 칫솔질 행태와 치약 이용 현황, 치약구매 중요성, 편백추출물 함유치약의식 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편백추출물 함유치약을 통해 광주지역 내 치과산업 메카로서의 구강보건용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광주광역시에 거주중인 시민을 대상으로 치약제품의 구매 및 이용 시 고려할 수 있는 항목들에 대해 각각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종합 점수는 68.2점이었으며, 효과 측면의 중요도가 83.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항목별 중요도를 살펴보면, 충치예방효과가 85.1점으로 가장 높았다. 연령에 따른 구매 외부요인 중요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40대와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인증기관 검증 항목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지만, 40대와 60세 이상은 가격에 대한 중요도가 타 항목보다 높았으며, 연령에 따른 효과성에 대한 중요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20세 미만은 충치예방과 치아미백 효과에 대한 중요도가 각각 79.8점으로 가장 높았다. 편백추출물을 이용한 치약이 개발된다면 이용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는 응답이 54.6%, 편백추출물을 함유한 치약이 치아 건강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는 응답이 55.1%, 편백추출물을 함유한 치약의 주된 효능으로 충치 예방이라는 응답이 33.8%로 나타났다. 향후 이 연구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본격적인 세치제 개발의 세부적인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인의 구취 자각도 실태와 관련요인 (Relationship self-perceived halitosis and related factor among adults)

  • 조혜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21-113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perceived halitosis of adults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to reduce of self-perceived halitosi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f 301 adults in their 20s and 50s living in Gwangju and Jeonnam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July 1, 2017 to August 31, 2017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degree of self-perceived halitosis was higher in married (2.51) and unemployed (2.71), with tongue brushing (2.68), intention to participate in halitosis education (2.57), taking medication (2.73), coated tongue (2.82) and there was both otolaryngology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2.72) and periodontal disease (2.89) (p<0.05). Fatigue (${\beta}=0.237$), periodontal disease (${\beta}=0.196$), and coated tongue (${\beta}=0.237$) affect the self-perceived halitosis (p<0.001). Conclusions: The self-perceived halitosis in adults was correlated with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Also fatigue, periodontal disease, coated tongue factors were analyzed as factors influencing self-perceived halitosis. Additional studies such a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eriodontal disease and coated tongue, which is a factor of self-perceived halitosis in adult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to reduce self-perceived halitosis for fatigue management, which is an external factor,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