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gargl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구강편평태선에 대한 스테로이드 가글의 효과비교 연구 (The Effects of Corticosteroid Solutions in OLP Patients)

  • 정성희;박수현;옥수민;허준영;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27-33
    • /
    • 2012
  • 피부와 구강점막에서 발견되는 편평태선은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주로 언급되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완전한 치료법은 아직 없으며 증상의 완화를 치료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편평태선의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는 corticosteroid의 두 가지 가글용액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서 구강편평태선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corticosteroid 가글용액을 처방받은 환자들 총 180명의 환자기록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두 종류의 가글용액은 각각 dexamethasone(dexamethasone disodium phosphate, 0.05%)과 prednisolone($solondo^{(R)}$)을 포함하는 용액이었으며 약물 사용 후 증상의 완화 및 재발의 시기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Dexamethasone gargle(dexa gargle) 처방군은 33명(여성 25명, 남성 8명), prednisolone gargle(solon gargle)처방군은 147명(여성 114명, 남성 33명)이었으며 환자군의 평균연령대는 50대였다. 약물투여 후 초기 2주이내에 증상이 호전된 경우는 dexa gargle을 사용한 환자군에서 유의성 있게 나타났으나 증상재발의 경우는 두가지 가글용액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강편평태선 환자에 대한 도포용 스테로이드 가글을 이용한 치료에서 증상의 빠른 호전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solon gargle보다는 dexa gargl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두 약물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Effect of Oral Hygiene Management Process using Natural Gargle Fluid (Cinnamon) on Occlusal Force and Changes in Oral Environment

  • Bo Ram Kim;Kyung Min Kim;Yu mi Kim;Min-Kyoung Park;Min Kyung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3
    • /
    • 2024
  •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occlusal strength and oral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use of natural gargles containing cinnamon were confirmed. This study involved 42 adults aged 19 or older living in Busan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2, 2023. Twenty-one people were randomly selected for each of the regular and natural gargles. In this study, the group using natural gargles confirmed an increase in saliva buffering power, a decrease in O'Leary index, and an increase in occlusal strength.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natural gargles containing cinnamon are helpful in improving the oral environment and occlusal strength.

Effects of Gargle Using Natural Substances on Oral Environment

  • Kyung Min Kim;Kyung Yae Hyun;Min Kyung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5-80
    • /
    • 2023
  • In this study, natural mouthwash was developed based on natural substances based on cinnamon and ginger, which are familiar to the public,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mouthwash and changes in microbial distribu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4 people who fully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among those who visited D University from October 2021 to December 2021. The subject's oral cavity was examined and placed in three groups to have similar conditions, and after using mouthwash for a week, a survey, saliva test, breath measurement test, and PCR test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mount of saliva after using natural mouthwash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In the comparison of bacteria, it was confirmed that Pg and Fn bacteria decreased after using natural mouthwash (Pg t=4.852, P=.002, Fn t=2.888, P=.023). Following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efficacy of natural mouthwash will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clinical applications, which will be useful in real life and dental care institutions.

구강함수제 개발을 위한 오매, 비파엽, 오가피, 백지의 구취억제효과 연구 (Study on Deodorizing Effects of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for the Development of a Gargle Solution)

  • 장선영;박재우;윤성우;류봉하;김진성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5-128
    • /
    • 201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odorizing effectsof medicinal herbs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gelicae Dahuricae Radix) for development of a gargle solution. Methods: 1.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medicinal herbs were evaluated with the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and the change of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the herb extracts(1%) for 48 hrs against P. gingivalis 2561 and Pr. intermedia ATCC 25611. 2. Deodorizing activity of each herb and Garglin $Mint^{(R)}$gainst methyl mercapta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3. We used the malodor modeling of the salivary sediment system with a Halimeter. 4. In the preliminary clinical study, the baseline concentration of VSC in the oral cavity of each subject was measured by Halimeter. Subjects would gargle for 30 seconds with cysteine. After 4 minutes subjects would gargle for 30 seconds with Garglin and herb extracts (2%). Subsequently, concentration of VSC were measured at 0, 4, 8, 12 and 20 minutes. Results: 1. MBC of Mume Fructusfor P. gingivalis 2561 was determined to be <1% and MBCs of Eriobotryae Folium for P. gingivalis 2561 and Pr. intermedia ATCC 25611 were determined to be <2% and <1%, respectively. Mume Fructus (1%) completely suppressed the P. gingivalis cell viability from 5 hrs and Eriobotryae Folium (1%) completely suppressed the Pr. intermedia cell viability from 48 hrs. 2. In GC analysis, deodorizing activities were 91.54% with Mume Fructus, 87.97% with Eriobotryae Folium, 100% with Acanthopanacis Cortex, 72.36% with Angelicae Dahuricae Radix and 40.54% with Garglin $Mint^{(R)}$. 3. In malodor modeling of the salivary sediment system, each of the medicinal herbs ha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malodor formation (p<0.05). 4. In the preliminary clinical study, the concentration of VSC of the herb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f the control group, but not in Garglin $Mint^{(R)}$. Conclusions: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have deodorizing activities and potential as an effective mouthwash against oral malodor.

기존 구강청결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전기분해수 (Neutral Electrolyzed Water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이기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6-312
    • /
    • 2016
  • 치아우식은 Streptococcus mutans와 S. sobrinus가 주요 원인균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구강 청결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구강청결제의 부작용 및 해로움으로 인하여 소아에게 권장하기에 주위를 요한다. 전기 분해수는 물을 전극을 통해서 전류를 흘려주어 생성되는 용액으로 항균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 분해수를 구강 청결제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치아 우식원성 세균 및 바이오 필름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증류수를 백금전극을 이용하여 전기 분해수를 생성하였다. 전기분해 수소수의 물리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S. mutans 및 S. sobrinus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균을 얻고 전기 분해수, 알코올 및 불소가 포함된 구강 청결제를 처리하고 살아있는 세균 수를 배양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치아우식균의 바이오 필름을 형성시킨 후, 전기 분해수 및 구강 청결제를 처리하여 바이오 필름 제거능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바이오 필름 내 살아있는 세균수의 양은 배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전기분해수는 높은 농도의 자유염소 (free chlorine)을 포함하고 중성 페하를 보였다. 전기 분해수는 유의하게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해서 항균력을 보였으며, 이 세균들의 바이오 필름 제거능 및 바이오 필름 내 세균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보였다. 전기 분해수는 부유세균에 대해서 알코올이 포함된 구강청결제보다 약한 항균력을 보였지만, 바이오 필름 세균에 대해서는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성 전기 분해수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기존 구강 청결제의 대체 용액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잇솔질과 구취감소보조용품제가 구취감소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uxiliary Goods and Tooth Brushing for the Reduction of Oral Malodor)

  • 오혜승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9-133
    • /
    • 2007
  • 본 연구는 현재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S보건대학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위적인 구취를 발생시킨 후 실험 전, 양파즙 가글 직 후, 실험 5분, 실험 10분, 실험 20분, 실험 30분경과에 따른 구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대상을 잇솔질만 시행한 실험군 (실험군 A), 보조용품만 시행한 실험군 (실험군 B), 어떤 보조용품도 사용치 않은 상태에서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를 측정한 실험군 (실험군 C)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보조용품군을 가글액 사용군, 껌 저작군, 현미녹차 섭취군, 혀솔질군 등으로 나누어 잇솔질을 대처할 수 있는 최적의 구강보조용품이 어떤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1. 실험군 A와 실험군 BG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의 변화는 실험 30분 경과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2. 실험군 A와 실험군 BC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의 변화는 실험 20분 경과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3. 실험군 A와 실험군 BT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는 실험 20분 경과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4. 실험군 A와 실험군 BO의 경과시간에 따른 구취도의 변화는 실험 전에서 실험 30분 경과까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5. 실험군 C는 실험군 A, B,군에 비하여 아주 높은 수치를 보이며 실험 30분 경과까지 구취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잇솔질을 시행하지 못한 경우 가그린, 껌 저작, 현미녹차섭취, 혀 긁겅이 중에서 가그린의 사용이 구취감소에 가장 효과적이였다.

  • PDF

Cetylpyridinium Chloride(CPC), NaF 및 Ursodeoxycholic acid(UDCA) 혼합물의 주요 치주병원균에 대한 in Vitro 항균효과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 of a Mouthrinse Containing CPC (Cetylpyridinium Chloride), NaF and UDCA(ursodeoxycholic acid) against Major Periodontopathogens)

  • 김종관;최봉규;유윤정;김상년;석재균;김문무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325-333
    • /
    • 1999
  • The antibacterial efficacy of a mouthrinse(Denta Gargle) containing CPC(cetylpyridinium chloride), NaF and UDCA(ursodeoxycholic acid), on major periodontopathogens, was in vitro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at of Listerine by a broth dilution method. The bacteria tested were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Bacteroides forsythus, 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vincentii, Prevotella intermedia,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reponema denticola. The growth of all the bacteria were completely inhibited by a 1-min exposure to the both mouthrinses. When diluted at 1:5 or more, all bacteria analyzed but P. intermedia were not inhibited by Listerine. In contrast, Denta Gargle showed highly increased maximum inhibitory dilutions(MID) against all periodontopathogens included in this study, with MIDs ranging from 5-fold(F. nucleatum) to 160-fold dilutions(P. intermedia). The MIDs against A. actinomycetemcomitans, B. forsythus, P. gingivalis and T. denticola. were 1:40, 1:80, 1:80 and 1:80, respectively.

  • PDF

D중공업 근로자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 조사 (A Study on the Statu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with labor of the D heavy industries)

  • 박홍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3-99
    • /
    • 2006
  • 본 연구는 구강위생용품의 사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S시 D중공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구강병, 잇솔의 사용실태, 불소치약의 사용여부,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및 비사용의 동기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가정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구강병은 치아우식증(62.4%)으로 나타났다. 2. 칫솔 사용실태는 중간 크기를(79.6%)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3. 잇솔의 강모 모양은 일반 수평형(73.5%)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4. 불소치약 사용여부는 아무 종류나 사용한다(73.5%)가 가장 많았다. 5.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에 대해서는 전동잇솔이(77.0%)로 가장 높으며 구강위생보조 용품에 대한 인지도는 이쑤시개(89.4%)와 양치용액(84.5%)을 가장 많이 알고 있었다.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여부는 전동잇솔(13.3%), 치주환자용 잇솔(2.7%), 순서로 나타나며, 구강위생보조용품에서는 이쑤시개(58.4%), 양치용액(41.2%)의 순이었다. 사용효과는 틀니잇솔(50.0%), 전동잇솔(43.3%)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보조용 품에서 효과 여부는 물사출기(80.0%), 치실(75.8%)이 매우 높았다. 6.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게 된 동기는 TV나 광고 홍보물을 보고 독자적인 판단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57.6%)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에게 적절한 보조용품을 모르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매우 높게 (57.4%)나타났다.

  • PDF

Non-randomized, one way cross-over, open label preliminary clinical trial for silk protein based oral gargling

  • Kang, Yei-Jin;Ahn, Se-Hui;Kim, Yong-Wan;Jo, You-Young;Kweon, HaeYong;Kim, Seong-G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8권1호
    • /
    • pp.14-17
    • /
    • 2019
  • Oral gargling solution has been used for the control of halit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of hydrogen sulphide concentration between silk oral gargling solution and commercially available oral gargling solution. Total 21 volunte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lative level of hydrogen sulphide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to the baseline level. In terms of the primary endpoint of the trial, relative level of hydrogen sulphide concentration was $50.84{\pm}33.19%$ with silk group, versus $71.07{\pm}21.83%$ with Listerine group ($P_{non-inferiority}=0.003$).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oral gargling with a silk protein for healthy individual were non-inferior to oral gargling with Listerine for hydrogen sulphide concentration reduction.

항암화학요법 유발 구내염에 대한 황련해독탕 함수의 효능 (The Effectiveness of Gargling Hwangryunhaedok-tang on Chemotherapy-Induced Stomatitis)

  • 김해심;최정은;유화승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4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is study is an observation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based on time lag design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gargling Hwangryunhaedok-tang (HRHDT) on stomatitis caused by chemotherapy. Methods : The study period is from July 1st, 2010 to September 30th, 2010. The subjects are 13 patients who fit the profile of the study and who are admitted in the tumor department of the regional cancer center of C University Hospital which is located in Chung-Joo City. When stomatitis occurs after chemotherapy, the level of stomatitis is assessed using oral assessment guide score and oral discomfort score. Then mix 5 g of powered HRHDT and 60 ml of distilled water, and 15 ml of the solution is given to patients 4 times per day to gargle for 1 minute. For the control group, 60 ml of Chlorohexidin gargling solution is used; everyday for one week, 4 times per day, 15 ml per gargle and gargled for 1 minute. Oral Assessment Guide score and Oral Discomfort Score are assessed at same hour everyday. Crosstabulation analysis $X^2$(${\rho}$) was us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 of the two groups by using SPSS/WIN 12.0.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the oral discomfort scores. Result :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Oral Assessment Guid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has decreased more with more regularity. On the third day,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is 20.16 and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18.75,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p<0.05. Oral Discomfort Score of the control group's score was 13.60 on the first day and 6.80 on the seventh day and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was 13.00 on the first day and 2.25 on the seventh day.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2.25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score of 6.80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p<0.05. Conclusions : The HRHDT gargling solution showed more regular effectiveness compared to Chlorohexidin solution on chemotherapy-caused stomatitis. Therefore this study has shown that HRHDT gargling solution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