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cavity cancer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34초

초기 구강설암 환자에서 부분 설절제술 후 조음변화 (Articulation Changes after Partial Glossectomy in Patients with Early Tongue Cancer)

  • 이길준;염혜연;이강규;이은경;손영익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47
    • /
    • 2010
  • Backgrounds and Objects: Carcinoma of the tongue is the most common cancer of the oral cavity. A primary treatment strategy includes surgery and/or radiotherapy. Resection of the tongue often results in speech dysfunction, which depends on the site and extent of resection, type of reconstruction, and the mobility of remaining tongu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rticulation errors that were resulted from the partial glossectomy without free flap reconstruction. Materials & Method : Articulation evaluations including speech intelligibility and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PCC) were performed for 24 patients who underwent partial glossectomy for their T1 or T2 tongue cancer. Mobility of the tongue, size of the resected tongue, and the history of adjuvant radiotherapy were analyzed f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sults of articulation evaluation. Results: Speech intelligibility score was $6.4{\pm}0.9$ (on 7-point scale) and overall PCC was 96.9%. There we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size of resection and limitations in the tongue mobility, especially in "protrusion and elevation (r=-0.687)" and "retroflexion (r=-0.775)". Errors in "alveolar fricatives" and "palatal affricates" were also closely related with the size of resection (r=-0.537 and -0.538, respectively). PCC for "liquid sound" /r/ was 83.2%,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history of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 Overall articulatory function was satisfactory in cases of early tongue cancer after partial glossectomy of a limited volume without flap reconstruction. However, the size of resection and the history of radiation therap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imitations in some types of tongue mobility and the resultant articulation errors.

  • PDF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p53의 과발현과 방사선치료결과 (P53 Overexpression and Outcome of Radiation Therapy in Head & Neck Cancers)

  • 김인아;최일봉;강기문;장지영;김경미;박경신;김영신;강창석;조승호;김형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1-8
    • /
    • 1999
  • 목적 : 실험적으로 p53 종양억제유전자는 세포의 방사선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임상에서 p53의 변화와 방사선치료 후의 예후와의 상호관련성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두경부종양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p53의 변화가 방사선치료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두경부종양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환자의 치료전 종양조직의 paraffin section을 human p53단백질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 (D-07)로 면역조직화학염색하여 labeling Index (number of labelded nuclei/total number of counted nuclei x100)를 구하여, 임상결과와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환자의 67.2$\%$에서 p53의 기능이상을 시사하는 과발현 소견을 보였다. 원발병소에 따른 과발현 빈도는 oral cavity, larynx, hypopharynx, nasopharynx순으로 각각 100$\%$, 76$\%$, 67$\%$, 67$\%$, 38$\%$로 나타났다.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과발현 빈도를 보였다 (78.6$\%$, 30.8$\%$). 원발병소, 병기 및 Karnofsky peformance status가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율과 유의한 연관을 보였으며, p53의 과발현여부는 치료반응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병생존율 및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원발병소와 병기였고, p53의 과발현여부는 유의한 연관을 보이지 못하였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p53의 과발현율은 원발병소, 병기 및 흡연여부와 유관하였으며, 과발현여부가 치료반응율 및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Rat의 방사선 조사성 구내염에 대한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의 효과 (Effects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on Experimental Radiation-Induced Oral Mucositis in Rats)

  • 정권일;김선희;문수영;김연화;홍준표;김현숙;이상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67-76
    • /
    • 2006
  • 목적 : 구내염은 두경부종양이 있는 암환자에게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 시술 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본 연구는 Rat 의 방사선성 구내염 모델에서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 Gy의 방사선량으로 두부에 단회 조사한 Rat를 무작위로 7마리씩 무처치군, 부형제 처치군,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으로 나누었으며,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7 마리의 Rat를 정상시험군으로 나누었다 rhEGF 시료 및 부형제는 1일 3회 Rat 의 구강점막에 매일 도포하였다. Rat의 생존율, 체중변화 및 사료섭취량을 18일 동안 관찰하였으며, 방사선 조사 후 7 일 및 18 일째에 Rat의 구강점막을 조직학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실험종료 시점에서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이 모두 33%의 생존율을 보인 것에 비하여, 무처치군 및 부형제 처치군은 모두 0%의 생존율을 보였다. 체중변화에서도 rhEGF 처치군은 방사선 조사 후 2일부터 7일까지 부형제 처치군에 비하여 Rat 의 평균체중이 통계적으로 더욱 무거웠다 사료섭취율은 모든 시험군에서 방사선 조사 후 4 일까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에서 14일째에 뚜렷한 사료섭취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방사선 조사 후 7 일째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의 Rat 에서는 점막 표피층의 각질세포의 종창 및 변성만이 관찰되었던 것에 비하여, 무처치군 및 부형제 처치군에서는 심한 위막성 또는 궤양성 구내염이 관찰되었다. 결론; rhEGF (15 또는 $30{\mu}g/day$ 구강 내 처치군) 처치에서 방사선 조사로 유발시킨 Rat의 구내염 모델에서 유의성 있는 치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본 시험결과로 rhEGF가 방사선에 의해 유발된 구내염을 치료할 수 있는 임상 제제로써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두경부 악성 종양 절제술후 요골 전완 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의 평가 (The Clinical Evaluation of The Reconstruction of Radial Forearm Free Flap in the Head and Neck Cancer Surgery)

  • 김현직;임영창;송미현;이원재;최은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4-169
    • /
    • 2003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reconstruction is very important in Head and neck cancer surgery to repair the defect created by resection of tumors, to enable successful wound healing, to restore function and to provide acceptable cosmesis. The radial forearm free flap has been the most useful reconstructive flap because it provides a moderate amount of thin, pliable, relatively hairless skin and comparatively simple to do with minimal morbidity.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outcome of the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with the several factors in 140 head and neck cancer cases in our hospital for last 1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of the records of 140 patients underwent resection of the head and neck tumors and reconstruction with a radial forearm free flap from 1993 to 2003. The age, sex of the patients, Primary site, the complication of donor and recipient site, flap survival rate, median time to start diet, patient subjective symtoms about swallowing and articulating and the fact of revision reconstructive surgery were analyzed. Results: In primary pathologic site, 56 cases were oral cavity cancers, 44 cases, oropharyngeal cancers and 22 cases, hypopharyngeal cancers. Flap survival rate was 93.6% (13 leases). On donor site, wound dehiscence, hematoma, sensory change and infection were noted and on recipient site, most common complication were fistula and wound dehiscence. The complication rate of recipient's site was 19.1 % and donor site, 3.5%. In 118 cases (84.3%), the patients could take all kinds of food. Swallowing difficulty were noted in 22 cases 05.7%). In 5 cases, there was articulation difficulty but most of patients except patients having total laryngectomy (18 cases) couldn't have any difficulty in articulation and speaking.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radial forearm free flap is the most appropriate reconstructive material for treating the defect in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구강내 상피암의 치료에서 근피부판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Survival Value of Myocutaneous Flaps in the Management of Epidermoid Carcioma of the Oral Cavity)

  • 설대위;박철영;유정준;이삼열;박윤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9-84
    • /
    • 1990
  • 본 논문은 구강암의 근치적 절제술후 결손부위 재건을 위한 근피부판(myocutaneous flaps)이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의의를 알아보고자 저자들의 경험을 살펴본 것이다. 1974년부터 1988년까지, 만 15년간 98명의 환자들이 구강 및 구인두 부위에 발생한 암으로 절제술을 받았다. 이 중 14명은 하악골 절제술없이 근치적 복합적 절제술(composite resection)을 받았으며, 4명은 방사선 조사후 재발한 경우로서 경부곽청술없이 광범위 단순절제술(enbloc resection)만을 시행받았다. 이들을 제외한 근피부판을 사용또는, 사용하지 않은 COMMANDO를 시행받은 84명의 나머지 환자들을 대상으로 여러가지 술식에 따른 재발율 및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여보았다. 1) 술기에 있어서 국소 또는 근피부판을 사용하지않은 표준 COMMANDO술식이 24 예, 전두피부판(forehead flap)을 사용하여 재건한 경우가 12 예, 후경부피부판(Nape flap)을 사용한 경우가 19 예, 큰피부판 또는 골근피부판(osteomyocutaneous flap)을 사용한 경우가 27 예였으며 두 종류의 피부판 복원을 시행한 경우가 2 예였다. 2) 비교정(uncorrected) 2년 무병생존율은 표준 COMMANDO가 14%, 전두피부판을 이용한 COMMANDO가 17%, 후경부피부판 사용 COMMANDO가 35% 이었으며 근피부판을 이용한 COMMANDO에서도 역시 35% 이었다. 3) 병기(stage)에 따른 2년 무병생존율은 제 1병기가 100%, 제 2병기가 45%, 제 3병기가 41% 이었으며, 제 4병기에서는 18% 이었다. 4) 근피부판을 사용한 경우와 조직학적으로 이에 상응하는 제 1대조군, 즉 표준 COMMANDO를 시행했거나 국소피부판(전두피부판 빛 후경부피부판)을 사용한 COMMANDO 경우 들과 비교하였을 때 ,2년 무병생존율은 큰 차이가 없이 대조군 양쪽 모두에서 공히 40% 이었다. 5) 근피부판을 사용한 경우를 제 2대조군, 즉 국소피부판(전두피부판 및 후경부피부판) 복원만을 시행한 경우들과 비교했을 때에도 역시 차이가 없이대조군 양쪽 모두에서 27%의 2년 무병생존율을 보였다. 6) 근피부판을 사용한 경우를 제 3대조군 즉 어떠한 종류의 피부판도 사용하지않고 단순한 표준 COMMANDO만을 시행한 경우들과 비교했을 때는 큰 차이를 보였다. 즉, 근피부판을 사용하여 복원했던 경우는 50%의 2년 무병생존율을 보인데 비해, 표준 COMMANDO만을 시행했던 경우는 25%의 생존율을 보였다. 7) 국소재발율은 표준 COMMANDO에서 25%, 후경부피부판 사용 경우에서 26%, 전두 피부판 사용경우에서 33% 이었으나 근피부판을 사용한 경우는 재발율이 가장 낮아 22% 이 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병기가 진행된 예(stage III & IV)에서 본다면, 표준 COMMANDO에서 67%가 제 3, 제 4병기이었고, 후경부피부판을 사용한 경우는 79%에서 제 3, 제 4병기이었다. 전두피부판을 사용한 예에서는 100% 모두가 제 3, 제 4병기이었고, 근피부판을 사용했던 경우는 96% 에서 제 3, 제 4병기이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일부 청소년의 흡연 실태와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e of Smoking and Smoking-Related Oral Health Knowledge Level among Some Adolescents)

  • 이현옥;전주연;주온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35-542
    • /
    • 201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흡연 실태와 흡연 관련 구강건지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6월 14일부터 7월 12일까지 전라북도 익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중학교의 1,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한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219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 학생은 10.6%였으며, 흡연 남학생이 16.0%, 흡연 여학생이 5.4%로 나타났다. 2. 흡연기간은 1년 미만이 51.6%로 가장 많았고, 평균 하루 흡연량은 10개피 미만이 91.9%였으며, 흡연동기로는 호기심이 52.8%로 가장 높았다. 3.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은 평균 평점 0.85점 중 구취(0.95점), 구강암(0.94점), 치주질환(0.93점)에서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충치(0.70점)와 미각 둔화(0.77)는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4. 흡연구강건강지식수준은 1학년이 5.2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p<0.01),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이 높았다(p<0.05). 5. 니코틴의존도는 학년이 높을수록 높았고(P<0.01), 흡연 일수(${\beta}=0.407$, p<0.001)와 흡연기간(${\beta}=0.235$, p<0.01)이 니코틴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식제에 의한 위장관 손상 환자에서 상부 위장관 조영술 후 발생한 위유문부 폐쇄 1례 (A Case of Pyloric Obstruction Developed after Upper GI Barium Study in Patients with Caustic Injury on Gastrointestinal Tract)

  • 김정구;조혜진;이승희;김범수;노형근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5
    • /
    • 2003
  • Caustic ingestion can produce a progressive and devastating injury to the esophagus and stomach, In the acute stage, perforation and necrosis may occur. Long-term complications include esophageal stricture, antral stenosis and the development of esophageal cancer. Endoscopy should b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in all cases to evaluate the extent and severity of damage, unless there is evidence of perforation. Endoscopy is the diagnostic procedure of choice. However, when the endoscopy cannot be passed through due to esophageal stricture, upper GI barium studies may be useful as a follow-up measure and in the evaluation of complications. A 44-year-old man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frequent vomiting 1 hour after ingestion of unknown amount of hydrochloric acid. At the time of arrival, the patient's oral cavity was slightly swollen and erythematous. On the endoscopic examination fourteen hour after the caustic ingestion, marked swelling of the arytenoids and circumferential ulceration with brown and black pigmentation at the upper esophagus were observed. Four weeks after the caustic injury, upper esophageal narrowing was observed and then the scope could not be advanced to the stomach. Upper GI barium study performed at that time revealed diffuse luminal narrowing of the esophagus and concentric luminal narrowing from prepyloric antrum to pylorus with disturbance of barium passage. At a week after the Upper GI study, through endoscopic examination after bougie dilatation of the esophagus, barium impaction in the stomach and the pylorus was noticed.

  • PDF

Evaluation of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Newly Developed Licorice Varieties

  • Kang, Sa-Haeng;Song, Young-Jae;Jeon, Yong-Deok;Soh, Ju-Ryun;Park, Jung-Hyang;Lee, Jeong-Hoon;Park, Chun-Geon;Jang, Jae-Ki;Jin, Jong-Si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3-103
    • /
    • 2019
  • Glycyrrhizae radix, commonly known as licorice,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Leguminosae and also includes various components such as,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etc. Licorice has been widely used in East Asia as a medicine having pharmacological effects like antioxidants,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immune modulatory activities. Among various licorice, Glycyrrhiza (G.) uralensis G. glabra and G. inflata are used for pharmaceutical purposes in Korea. However, cultivation of licorice has some problems such as low quality, low productivity, and early leaf drop.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eveloped new cultivars Wongam and Sinwongam, which are improved in cultivation and quality. To register the newly developed cultivar (s) 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Korea as a medicine,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through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already-registered species and new cultivars. Some fungi and bacteria usually in the human oral cavity and intestines exist as harmless state in human body. Also, the skin and genital infections by fungi can lead to toxic systemic infections and are accompanied by flushing, rashes, burning or painful sensation. The influences of licorice varieties on fungi and bacteria might be an evidence to prove the outstanding effect of newly developed licorice variety. In this study, the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using newly developed licorice varieties Wongam, and Sinwongam against various fungi and bacteria. These results means newly developed licorice could be used as a replacement of already-registered species in terms of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pplication.

  • PDF

Use of Smoke-less Tobacco Amongst the Staff of Tertiary Care Hospitals in the Largest City of Pakistan

  • Valliani, Arif;Ahmed, Bilawal;Nanji, Kashmira;Valliani, Salimah;Zulfiqar, Beenish;Fakih, Misbah;Mehdi, Mehwish;Khan, Anam;Sheikh, Sana Arshad;Fatima, Nida;Ahmad, Sobia;Farah, Fariya;Saleem, Shaheera;Ather, Sana;Majid, Syed Khubaib;Hashmi, Syed Salman;Arjan, Suni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315-2317
    • /
    • 2012
  • Background: Use of smoke-less tobacco (SLT) is very common in South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It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arious types of cance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proportion of hospital staff that use SLT,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ts use and their practices. Methods: In a cross-sectional study, 560 staff of two tertiary care hospitals were interviewed in the year 2009. Nurses, ward boys and technicians were counted as a paramedic staff while drivers, peons, security guards and housekeeping staff were labeled as non-paramedic staff. SLT use was considered as usage of any of the following: betel quid (paan) with or without tobacco, betel nuts with or without tobacco (gutkha) and snuff (naswar). Results: About half (48.6%) of the hospital staff were using at least one type of SLT. Factor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LT were being a male (OR=2.5; 95% CI=1.8-3.7); having no/fewer years of education (OR=1.7; 95% CI=1.2-2.4) and working as non-paramedic staff (OR=2.6; 95% CI=1.8-3.8). Majority of SLT users were using it on regular basis, for > 5 years and keeping the tobacco products in the oral cavity for >30 minutes. About half of the users started due to peer pressure and had tried to quit this habit but failed. Conclusion: In this study, about half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using SLT in different forms. We suggest educational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control of SLT usage.

진행된 두경부암에서 다분할 방사선치료 (Hyperfractionation Radiation Therapy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 김진희;예지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12-117
    • /
    • 2003
  • 목적: 진행된 두경부암을 대상으로 다분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실패양상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 다분할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9월부터 1995년 10월 사이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진행된 두경부암으로 다분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8세에서 71세로 중앙값 55세이었다. 병기별로 3기 11명, 4기 13명이었으며 남자가 21명이었고 비인두암 6명, 하인두암 6명, 후두암 5명, 구강인두암 3명, 부비동암 3명, 구강암 1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6 MV x-선으로 1일 2회, 최소 6시간 간격으로 분할조사량 1.2 Gy 시행하여 총치료선량은 64.4 Gy에서 76.8 Gy로 평균총방사선량은 72 Gy이었다. 추적관찰기간은 3개월에서 136개월이었고 중간 추적관찰기간은 52개월이었다. 결과: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과 5년 생존율은 각각 66.7$\%$, 52.4$\%$이었고 전체 환자의 3년 무병생존율은 66.7$\%$, 5년 무병생존율은 47.6$\%$이었다. 병기별로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3기는 81.8$\%$, 63.6$\%$, 4기는 53.8$\%$, 32.3$\%$이었다.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의 소견 없이 생존해 있는 환자가 10명이며 원격전이는 25$\%$, 국소재발은 12.5$\%$로 원격전이가 주된 실패원인이었다. 원격전이인지 국소 재발인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2명, 다른 원인으로 사망한 경우가 3명이었다. 원격전이 장소는 폐 3명, 뼈 1명, 간 2명이었으며 1명에서 식도에 2차암이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추적관찰 기간 중 1명에서 방사선치료 후 58개월에 하악골괴사로 수술한 경우를 제외하고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만성부작용이 발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대상 환자의 수는 적으나 진행된 병기의 두경부암에서 다분할 방사선치료법이 급성 부작용은 다소 증가하나 만기부작용의 증가 없이 국소 재발의 감소와 무병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