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ogenetic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Functional Dissection of Glutamatergic and GABAergic Neurons in the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 Kim, Seong-Rae;Kim, Sung-Y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2호
    • /
    • pp.63-67
    • /
    • 2021
  • The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BNST)-a key part of the extended amygdala-has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diverse behavioral states, ranging from anxiety and reward processing to feeding behavior. Among the host of distinct types of neurons within the BNST, recent investigations employing cell type- and projection-specific circuit dissection techniques (such as optogenetics, chemogenetics, deep-brain calcium imaging, and the genetic and viral methods for targeting specific types of cells) have highlighted the key roles of glutamatergic and GABAergic neurons and their axonal projections. As anticipated from their primary roles in excitatory and inhibitory neurotransmission, these studies established that the glutamatergic and GABAergic subpopulations of the BNST oppositely regulate diverse behavioral states. At the same time, these studies have also revealed unexpected functional specificity and heterogeneity within each subpopulation. In this Minireview, we introduce the body of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function of glutamatergic and GABAergic BNST neurons and their circuits. We also discuss unresolved ques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cellular diversity and functional heterogeneity within the BNST.

다기능 유연성 신경 인터페이스 연구동향 (Recent Research Trend in Multifunctional Flexible Neural Interfaces)

  • 박성준
    • 공업화학전망
    • /
    • 제22권6호
    • /
    • pp.26-40
    • /
    • 2019
  •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신경,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신경 회로를 직접적으로 자극하거나 그곳에서 일어나는 일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를 위한 수많은 공학적 도구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공간적/시간적 분해능, 세포형의 선택성, 장시간 안정성을 보유한 신경 인터페이스의 개발은 아직까지도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특히 신경전달 원리를 모두 이용하고자 하는 다기능 인터페이스의 개발은 최근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 주제이고, 유연성을 가지는 인터페이스 개발 또한 안정성뿐만 아니라 신경 신호의 수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과학적 시도 중에서도, 열 인장 공정으로 제작되는 섬유 형태의 장비는 그 통합적 기능을 수행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써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은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 기능적 요소 등을 통합하는데 매우 유리하며, 또한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다루기 어려운 유연성 물질로 마이크로 스케일의 인터페이스를 제작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기고문에서는 먼저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다기능 유연 신경 인터페이스의 연구동향을 소개하고, 특히 그 중에서도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광섬유 기반의 인터페이스 개발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