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ioid system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3초

교감신경계, Renin-Angiotensin계, Vasopressin계의 차단이 혈압 및 Norepinephrine, Angiotensin II 및 Vasopressin의 승압효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lockade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nin-Angiotensin System, and Vasopressin System on Basal Blood Pressure Levels and on Pressor Response to Norepinephrine, Angiotensin II, and Vasopressin)

  • 정행남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74
    • /
    • 1992
  • 마취가토에서 혈압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교감신경계, renin-angiotensin계, vasopressin계를 차단하였을때의 혈압자체의 변동과 norepinephrine (NE), angiotensin II (AII) 및 vasopressin (VP)의 승압효과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교감신경계와 renin-angiotensin계의 차단에는 각각 교감신경절 차단약인 chlorisondamine (CS)과 pirenzepine (PZ), angiotensin 변환효소억제약인 enalapril (ENAL)를 사용하였다. VP계의 차단에는 혈장 VP농도를 하강시킴이 알려져 있는 kappa opioid 수용체의 작용약인 bremazocine (BREM)을 사용하였다. CS (0.4mg/kg), ENAL (2mg/kg), BREM (0.25mg/kg)은 각각 비슷한 정도의 저혈압상태를 일으켰다. BREM에 의한 저혈압은 VP와 같은 효과를 가진 합성약인 desmopressin으로 유의하게 길항되었으며 BREM에 의한 저혈압이 적어도 일부 혈장 VP농도의 하강과 관계있음을 시사하였다. CS는 ENAL 또는 BREM으로 하강된 혈압을, ENAL은 CS 또는 BREM으로 하강된 혈압을, BREM은 CS 또는 ENAL로 하강된 혈압을, 더욱 하강시켰다. CS, PZ 그리고 ENAL 또는 CS, PZ 그리고 BREM에 의한 저혈압은 CS이외의 세약물에 의한 저혈압보다 심하였다. CS는 NE에 의한 승압효과 뿐만아니라 AII와 VP의 승압효과도 강화시켰다. AII의 승압효과는 또 ENAL과 BREM으로도 증대되었다. VP의 승압효과는 BREM으로도 강화되었다. ${\alpha}$-수용체의 길항약인 phentolamine과 phenoxybenzamine은 AII와 VP승압효과를 강화시켰다. 3승압계 차단이 혈압자체에 미치는 실험결과는 3계가 모두 혈압조절에 관여하고 그 중에서도 교감신경계가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 한 승압계의 차단하에서, 그 계의 승압 hormone 뿐만아니라 다른 계의 승압 hormone의 승압효과도 증대됨은 이 3승압계가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증거이다.

  • PDF

실험적 고혈압 백서의 심맥관계 기능조절에 있어서 중추 Opiate System의 역할 (Role of Central opiate System in Control of Cardiovascular Function of Experimental Hypertensive Rats)

  • 김기원;곽용근;채준석;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31
    • /
    • 1987
  • Morphine을 비롯한 opioid peptide가 말초 또는 중추에 투여시 혈압하강과 심박동수감소를 보이며 opiate 수용체 길항제인 naloxone에 의해 길항됨이 관찰되었던바 근래 몇몇 보고들은 중추신경내에서 adrenergic및 opioidergic system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 고혈압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2-kidney, 1-clip (2K1C) 방법으로 실험적 고혈압을 유발시킨 백서의 측뇌실내 clonidine또는 morphine의 심맥관계에 대한 효과와 각각의 차단제에 의한 영향 그리고 정상 및 고혈압상태 백서의 뇌내 ${\beta}-endorphin$의 함량과 specific opiate receptor binding을 정량하여 고혈압 유발에 따른 뇌내 opiate system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2K1C 고혈압 또는 sham-operated대조백서에서 측뇌실내 clonidine $(3-30\;{\mu}g/kg)$은 용량에 비례하여 혈압하강과 심박동수감소를 일으켰으며 clonidine의 혈압강하 효과는 2K1C고혈압 백서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clonidine의 혈압강하효과는 고혈압 백서에서 측뇌실내 yohimbine 또는 naloxone 전처리에 의해 약화되었고 대조군에서는 yohimbine ($30\;{\mu}g/kg$, i.v.t.)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naloxone ($50\;{\mu}g/kg$, i.v.t.)에 의해서는 영향 받지 않았다. 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측뇌실내 morphine $(10-100\;{\mu}g/kg)$은 2K1C 고혈압 또는 sham-operated 대조백서에서 용량에 비례하여 혈압하강과 심박동수감소를 일으켰으며, morphine의 혈압강하효과는 2K1C 고혈압백서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대조군과 고혈압군에서 morphine의 혈압강하효과는 naloxone 전처리에 의해 현저히 약화되었으나 yohimbine에 의해서는 영향 받지 않았다. 2K1C 시술익일부터 투여한 clonidine은 2K1C 시술에 의한 혈압 상승을 억제하였으며 naloxone (2 mg/kg, i.p.)에 의해 반전되었다. 2K1C 시술에 의해 고혈압이 유발된 백서의 뇌내 ${\beta}-endorphin$ 함량은 sham-operated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3H)-naloxone의 specific binding의 Bmax는 증가되었으나 Kd치는 변동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성적은 뇌내 opiate계가 혈압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2K1C 고혈압백서의 고혈압상태 유지에 뇌내 opiate계의 기능저하가 일부관여하고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 PDF

TNBS로 유도된 흰쥐의 대장염(大腸炎)에 대한 노봉방(露蜂房) 약침(藥鍼)의 효과 (Herbal Acupuncture of Nidus Vespae Suppresses c-Fos Expression by TNBS Induced Colitis in Rats)

  • 송정방;김재효;김유리;박유리;안성훈;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4호
    • /
    • pp.195-209
    • /
    • 2009
  • Objectives : Transient inflammation has been demonstrated to alter visceral sensory function in animal models and acute mucosal inflammation may precede the manifestation of visceral hyperalgesia. Thus in this study we compared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 of Nidus Vespae (NV) applied to the different acupoints in the acute colitis induced by trinitrobenzenesulphonic acid (TNBS) intracolonic injection in rats. Methods : I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50 ~ 400 g, TNBS (5 mg/kg) was infused intrarectally through a silicon rubber catheter into the anus under isoflurane anaesthesia. Under general anesthesia, acupoints of LI4 (Hapkok), SI25 (Cheonchu), ST36 (Joksamni), BL25 (Daejangsu) were intramuscularly injected by NV. Expressions of cFos protein in the periaqueductal gray (PAG), locus coeruleus (LC), nucleus of solitary tract (Sol), and the 6th lumbar spinal cord (L6 s.c.) were observed at 24 hrs after TNBS induced colitis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in L6 s.c., Sol, LC and PAG increased 24 hrs after TNBS injection into colorectum as compared to normal group. NV herbal acupuncture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in Sol but not L6 s.c., LC, and PAG. NV to ST36 inhibited significantly the c-Fos expression in Sol and PAG. NV to ST25 inhibited the c-Fos protein expression all over the observation area. NV to BL25 showed the inhibitory effects in the areas except LC. Whether or not a role of endogenous opioids, intrathecal injection of naltrexone (30 ug / 30 ul) was applied before the 2nd herbal acupuncture treatment 24 hrs after TNBS-induced colitis in rat. Naltrexone reversed the inhibition of c-Fos protein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and brainstem under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type of herbal acupuncture compound and choice of acupoint. Conclusions : In summary, these data show that herbal acupuncture of NV inhibits signal pathways such as spinal cord and brain stem ascending hypersensitivity of colorectum after TNBS induced colitis. This effect may be mediated by acupoints through the endogenous opioid system involving the pain modulation.

  • PDF

Factors Related to Substantial Pa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 Suh, Sang-Yeon;Song, Kyung-Po;Choi, Sung-Eun;Ahn, Hong-Yup;Choi, Youn-Seon;Shim, Jae-Yo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4권4호
    • /
    • pp.197-203
    • /
    • 2011
  • 목적: 암환자에게 통증은 가장 흔하고 영향이 큰 증상이다. 그러나 말기암환자에서 통증 강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과 연관된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방법: 우리나라 완화의료 기관 6곳의 입원 병동을 대상으로 말기 암 환자 162명 자료를 사용하였다. 통증은 담당의가 10점 만점 숫자통증등급으로 측정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통증은 보건복지부 지침의 정의에 따랐다. 증상 평가에는 MD Anderson 증상 평가조사지 한국어본을 활용하였다. 생존기간 예측은 입원 당시 담당 전문의가 하였다. 결과: 예측 생존 기간이 6주 미만인 경우와 지난 24시간 졸린 정도가 6점 이상인 경우가 중등도 이상의 통증과 유의하게 연관되었다(각각 P=0.012, P=0.046). 마약성 진통제 투여량도 중등도 이상의 통증에 비례하였다(P=0.004). 결론: 중등도 이상의 통증과 유의하게 연관된 요인은 예측 생존 기간이 6주 미만인 것과 상당한 졸림이었다. 이러한 요인을 나타내는 말기 암 환자에서 주의 깊은 통증의 감시와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