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rational taxonomic uni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the dietary digestible fiber-to-starch ratio on pellet quality, growth and cecal microbiota of Angora rabbits

  • Yang, Guiqin;Zhao, Fei;Tian, He;Li, Jiantao;Guo, Dongx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623-633
    • /
    • 2020
  • Objective: Substituting starch with digestible fiber (dF) can improve digestive health of rabbits and reduce co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riterion for dF and starch supply. Effects of the dietary dF-to-starch ratio on pellet quality, growth and cecal microbiota of Angora rabbits were evaluated. Methods: Five isoenergetic and isoproteic diets with increasing dF/starch ratios (0.59, 0.66, 0.71, 1.05, and 1.44) were formulated. A total of 120 Angora rabbits with an average live weight of 2.19 kg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with four replicates. At the end of 40 day feeding trial, cecal digesta were collected to analyse microbiot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F/starch ratio had linear effects on pellet variables (p<0.01). When the dF/starch ratio was 1.44, the pellets had the lowest powder and highest durability. The dF/starch ratio had unfavorable linear effects on growth variables (p<0.001). When analyzed by quadratic regression, the optimal dF/starch ratios for average weight gain and feed/gain were 0.59 and 0.74, respectively. There were differences in wool yield, fiber length and fiber diameter caused by the dF/starch ratio (p<0.05), and the dF/starch ratios that ranged from 0.66 to 1.06 were appropriate for good results. The cecal microbiota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 number index in the 1.05 dF/starch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in the 0.66 and 0.71 dF/starch treatments. The higher dF/starch ratio resulted in a higher cecal microbiota OTU number index (p<0.05). The proportion of Ruminococcus in the 0.71 dF/starch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in the 0.59 dF/starch treatment (p<0.05) Conclusion: The most suitable dF/starch ratio for feed pellet quality is 1.44, and for rabbit growth the optimal range of ratios is from 0.59 to 0.74. With combination of the wool growth, output cost, and cecal microbiota, we suggest that a dietary dF/starch ratio ranging from 0.74 to 1.06 is optimal.

절식이 마우스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mice gut microbiota before and after fasting for a day)

  • 홍지완;조혜준;운노 타쯔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33-33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절식이 일반사료 및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장내미생물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 사료 및 고지방사료를 마우스에 16주 동안 무한급이 형태로 섭취하게 하여 실험종료 직전에 1일(24시간) 간 절식시켰으며, 절식 전 후의 분변 샘플을 채집하고 MiSeq을 이용하여 장내미생물생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는 절식 전후 장내미생물생태 내의 종 풍부성과 균등성이 감소한 반면,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장내미생물생태에서는 절식 후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절식 전후 변화가 없었다. Difference abundance analysis는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절식 이후 S24-7로 분류되는 OTU는 증가하고, Ruminococcaceae로 분류되는 OTU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는 절식 이후 10OTUs가 감소하고, 3OTUs가 증가하였는데, 대부분 Ruminococcaceae로 분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마우스에서의 절식이 장내미생물생태 중 Ruminococcaceae의 abundance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 비해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절식에 대한 효과가 더 명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SBR 및 MBR 복합공정을 적용한 Bench-scale Shipboard STP에서의 미생물 우점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organism Dominant Species in Bench-scale Shipboard STP Using Combined SBR and MBR Process)

  • 최영익;신대열;사나 만수르;권민지;정진희;정병길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0-555
    • /
    • 2018
  • 국제 해사기구 (IMO)에서 MARPOL 73/78은 조문과 여섯 개의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다. Annex IV는 선박의 하수를 규제한다. 2012년 제 64회 결의안에서 선박에서 배출되는 하수 중 영양염류를 제거하도록 규제하였다. 2014년 해양수산부의 지원으로 영양염류를 제거 할 수 있는 대용량 폐수처리 장치를 개발하였다. Sequence Batch Reactor (SBR)와 Membrane Bio Reactor (MBR)를 결합한 새로운 공정이 개발되었다. 현존하는 SBR 공정의 사이클에서는 침전을 제외하고 통기 및 교반만을 사용하였고, 상기 막은 처리 된 물을 배출 시키는데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ACROGEN 사의 NGS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Bench 규모 폐수처리 설비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원수를 처리하기 위한 최적 운전조건에서 폭기조 내 미생물의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Bacteroidetes는 호기성 박테리아의 27.1 %를 차지했으며 Gammaproteobacteria는 혐기성 박테리아의 16.8 %를 차지하였다. Operational taxonomic unit ratio에 Others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도 상당하다고 볼 수 있는데 기존의 오수처리를 위해 필요했던 미생물 외에 아직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 등록되지 않은 미생물일 가능성이 있어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