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and offline shopping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초

온·오프라인 지인의 추천메시지가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off-line Acquaintance's Recommendation Message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이정우;김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010-1024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s the influence of on/off-line acquaintances' recommendation messages on fashi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online purchase of fashion products in two-sided word of mouth situations as well as compares the difference in influence according to bond-base with equidist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o were believed to be active in smartphone use. Out of the collected 17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162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into online and offline recommendation messages of an acquaintance. We present two-sided fashion product reviews made similar to the type found in an actual shopping mall web-site. As f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MOS 19.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off-line acquaintances' recommendation messag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roduct attitude in the situation where two-sided reviews on fashion products were presented; however, those messages did not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Recommendation messages positively increased product attitude and enhanced purchase intention if acquaintances' recommendation messages were mediated between on/off-line acquaintances' recommendation messages and purchase intention. Consequently, a mediating effect on product attitude was revealed.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nline acquaintances and offline acquaintances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cquaintances' recommendation messages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situation where two-sided reviews were presented on online fashion products. Therefore, no control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acquaintance was confirmed.

한·중 여성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화장품 속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Cosmetics Depending on the Shopping Tendency of Female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 유샤샤;박숙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6-126
    • /
    • 2015
  • This paper compared the properties of cosmetics depending on the shopping tendency of female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The data on Chinese women living in Korea and Korean women in their 20s was collected using an offline survey. The data on Chinese women living in China in their 20s was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Three hundred twenty-seven questionnaires out of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4. Eighteen questions on shopping tendency and eight questions on the properties of cosmetics were analyz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and Cluster Analysis, and SPSS 21 statistical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es, the shopping tendency comprised a showing-off tendency, pleasure-seeking tendency, and practicality tendency; the properties of cosmetics were classified into conformity and functionality. On the basis of the elements in the shopping tendency, the female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a low involvement consumer group, high involvement consumer group, and hedonic consumer group. The Chinese women emphasized conformity or functionality of cosmetics more than the Korean women regardless of the countries where they lived. Regardless of shopping types or countries where they lived, the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20s emphasized functionality over conformity of cosmetics. Furthermore, Chinese women living in Korea showed a similar shopping tendency to Chinese living in China.

편의점의 혁신성이 인지적 인게지먼트와 정서적 인게이지먼트, 그리고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Perceived Innovativeness of Convenience Store on Consumer Brand Engagement and Store Loyalty)

  • 이영은;이용기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1호
    • /
    • pp.35-46
    • /
    • 2022
  • Purpose: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the trend of consumption trend, the convenience store industry is facing an unprecedented competitive situation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where th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is broken due to the stagnation of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spread of online shopping. The biggest innovation strategy of the major convenience store brands in recent years are introducing the O2O (Online to Offline) platform and presenting new products and services beyond the boundaries of online and offline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Omni Channel stores. The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innovativeness of convenience store as a stimulus in O2O platform which customers perceive on store loyalty, the final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through customer engagement with convenience store brands. Specifically, the innovativeness of convenience stores was divided into types of core activities in corporate marketing and focused on innovations in services, products(proposals), promotions and experie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Various hypotheses have been develope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28 questionnaires the age between 15 and 60 who had experience using retail store apps and delivery app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martPLS 3.3.7 program. Measurement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lso, common method bias was tested using the values of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martPLS 3.3.7 program. Results: First, service inno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engagement. Second, product, promotion and experience innov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Third, cognitive influences affective engagement. Finally,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affect store loyalty, but affective engagement has a stronger effect on store loyalty than cognitive engagement. Conclusions: All four types of innov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ngagement, which has a stronger effect on store loyalty than cognitive engagement. Thus, while innovation can build loyalty through emotional engagement, innovation strategies must be designed and pursued with caution in terms of impact through cognitive engagement may not achieve the planned goals.

인터넷쇼핑 상황에서 보상프로그램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Reward Programs on Brand Loyalty in Online Shopping Contexts)

  • 김지헌;강현모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39-63
    • /
    • 2012
  • 보상프로그램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브랜드충성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보상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왔다. 또한 이들은 연구대상으로 인터넷쇼핑몰보다는 주로 오프라인 매장을 사용하였다. 이는 인터넷쇼핑 상황에서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효과가 실제로 유의한지 그렇다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함을 의미한다. 한편, 소비자는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할 때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는 실용적 동기와 쇼핑 그 자체를 즐기고자 하는 쾌락적 동기를 가지게 되며, 인터넷쇼핑몰은 소비자들의 이러한 양면적 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치(실용적 또는 쾌락적 가치)있는 경험들을 제공함으로써 브랜드충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인터넷쇼핑몰이 제공하는 보상의 유형이 실용적인지, 쾌락적 인지에 따라 다른 유형의 쇼핑 가치를 강화함으로써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 인터넷쇼핑 상황에서의 보상프로그램이 오프라인 쇼핑상황에서와 동일하게 브랜드충성도를 제고하는데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 → 브랜드신뢰, 브랜드감정 → 브랜드충성도" 경로를 추가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분석함으로써,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또 다른 경로가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상의 유형(실용적 vs. 쾌락적)에 따라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 → 브랜드신뢰, 브랜드감정 → 브랜드충성도" 관계가 조절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10개의 가설 및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20대 남녀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해 가설들을 검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온 브랜드충성도에 대한 보상프로그램의 효과가 인터넷쇼핑 상황에서도 유의함을 보여줌으로써 인터넷쇼핑몰이 보상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논리적 근거를 마련해주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된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 → 프로그램 충성도 → 브랜드충성도"의 경로가 인터넷쇼핑 상황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상프로그램 가치인식 → 브랜드신뢰, 브랜드감정 → 브랜드충성도"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나 인터넷쇼핑몰이 제공하는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가치인식은 오프라인 매장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인터넷쇼핑몰이 제공하는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가치인식이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쾌락적 보상보다는 실용적 보상이 더 크게 나타난 반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가치인식이 브랜드감정에 미치는 영향은 실용적 보상 보다는 쾌락적 보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할 때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더 추구하는 가치의 유형(실용적 vs. 쾌락적)을 파악하여 이를 강화할 수 있는 유형의 보상을 제공하거나 소비자가 스스로 보상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경우, 브랜드신뢰와 브랜드감정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브랜드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PDF

O2O 기반의 마케팅을 위한 지하상가 검색 및 쇼핑 앱 개발 (It is development about search and shopping of underground center for O2O-based marketing)

  • 이혜빈;김준환;구예솔;이경용;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4-307
    • /
    • 2015
  • 부산의 유명한 볼거리 중 하나인 지하상가가 점진적으로 쇠퇴하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이에 지하상가를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도록 상점들의 정보와 원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나타내주어 부산지역민 뿐만 아니라 타 지역민들도 지하상가를 편리하게 이용하여 지하상가의 제2의 부흥을 가져오고자 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생각하게 되었다.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으로는 원하는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상점의 위치 및 소개와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하여 내주위에 어떤 상점이 있는지 알려준다.

  • PDF

전자상거래에서 온라인 업체의 신뢰에 미치는 제도적 메커니즘의 영향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Mechanisms on the Trust of Online Business in e-Commerce)

  • 노윤호;옥석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2호
    • /
    • pp.73-9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mechanisms on the formation of customer trust among leading online businesse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struct of PEEIM(Perceived Effectiveness of e-Commerce Institutional Mechanisms) which is the perceived recognition of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e-Commerce in general and the construct of PEIS which is the perceived recognition of institutional mechanisms that are implemented by vend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leading online shopping vendors in Korea and 292 data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in this study. The full measurement model including the formative second-order constructs was examined wit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via a two-stage approach.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used Smart PLS 2.0 program. Findings The findings showed that PEEIM nega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in vender and trust in vender, but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trust in vender and re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institutional mechanisms of vendors(PEIS) have been shown to have a direct impact on the vender's trust.

공간구조와 이용행태의 상호관련성을 고려한 테넌트 믹스 계획에 관한 연구 - 코엑스 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ant Mix Plan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ship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users' Behavior - Focused on Coex Mall -)

  • 김인숙;김영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3호
    • /
    • pp.3-12
    • /
    • 2019
  • Since offline contact becomes a strong differentiator as online market expands, the shopping mall calls for more complex and diverse tenant combinations and deployment plan strategies. There is, however, few practical research and causal verification of Tenant Mix, i.e., the combination and placement of tenant and users' behavior, has been conducted which is a key factor in spatial configuration. In practice, Tenant Mix is limited in prediction of consumption behavior of customers by the MD planners's experience and depends only on qualitative arbitrary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users' behavior of Tenant Mix in shopping mall, and to present an objective basis in MD plann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users' behavior dependent on the Tenant Mix, which is the space planning of shopping mall. It was also possibl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the users' behavior which is dependent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for each tenant.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know the impact of space organization on the users' behavior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use's behavior and spatial configuration by tenant together with their characteristics. We prove that the current MD planning has limitation due to lack of objective research on the combination and arrangement of space in the commercial space and only done empirically. This analysis can show the practical plan of combination and placement of tenant which is emphasized in complex and larger shopping mall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shopping mall by better use of tenant.

전자상거래 활성화 전략 방안 연구 (A Study on Encouragement Strategy of Electronic Commerce)

  • 박철균;왕하양;이현창;진찬용;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9-620
    • /
    • 2011
  • 최근 다양한 형태와 함께 온라인 쇼핑들 간의 치열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온 오프라인에서 차별화된 특징이 경쟁력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젊은 계층인 연인들을 마케팅 대상으로 하는 커플 이벤트 기획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커플 및 젊은 구매계층들을 마케팅 대상으로 하며, 매출 향상을 목적으로 기획 및 구현된 사이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 상업 사이트에 대한 이벤트 기획들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커플 생일을 마케팅 전략 및 다양한 기념 이벤트 및 고객들이 사이트를 방문하였을 때 이벤트가 한층 돋보이도록 마케팅 기획과 정보 배치를 중심으로 사이트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일부 고객층 대상으로 이벤트 효과 증대를 통한 매출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모바일 소셜 커머스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쇼핑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obile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hopping Values-)

  • 최빛나;한경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89-98
    • /
    • 2018
  •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최근 새로운 대세로 떠오르며 국내 온라인 시장에서 모바일 쇼핑이 중요한 유통채널로 부각되고 있으며, 모바일 구매상황이나 행위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 커머스 사용자들이 지각하는 쇼핑 가치에 주목하여 모바일 소셜 커머스를 통한 쇼핑 가치와 구매의도에 소셜커머스 특성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서 SPSS 19.0, AMOS 19.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공변형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소셜 커머스 특성 중 실용적 쇼핑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가격할인율, 쾌락적 쇼핑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상호작용성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이트 제공자와 판매회사들은 소셜 커머스의 특성들도 매우 중요하지만 특히, 이용자들의 모바일 구매상황이나 행위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를 고려한 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농식품 오픈 마켓 특성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gri-Food Open Market on the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 김상미;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53-165
    • /
    • 2021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O2O(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서비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 제품과 달리 농식품은 신선도가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이며, 다름 품목에 비해 환불 및 교환이 어려운 특성과 새로운 거래 방식으로 인해 O2O의 플랫폼 중 오픈 마켓으로 성장하는데 제한적인 요소가 많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O2O(online to offline) 특성 중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오픈 마켓을 중심으로 쇼핑몰 특성이 농식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농식품 쇼핑몰 특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혁신성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기법을 이용하여 2021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구글 설문을 통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농식품 오픈 마켓에서 구매경험자 총 270개의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O2O(online to offline) 쇼핑몰 특성인 경제성, 상호작용성, 유희성은 농식품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성×혁신성, 유희성×혁신성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혁신성은 새로운 시스템이나 모바일 거래에 대하여 소비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농식품의 O2O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혁신성이 낮은 소비자들의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편리한 인터페이스 설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농업인들의 IT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식품 오픈마켓 쇼핑몰의 인프라 구축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