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ion hot-water extract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양파열수추출물에 대한 소비실태 조사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Purchasing Realities of Consumers for Onion Hot-Water Extracts)

  • 김수렴;김창순;오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5-405
    • /
    • 2009
  •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양파열수추출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정도와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설문조사에 참여한 소비자는 총 433명이었으며 여자가 53.3%로 남자보다 많았고, 연령은 40대(35.1%)가 가장 많았다. 양파열수추출물의 효능에 대해 대부분(84.5%)이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효능에 대한 인식정도는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문항이 가장 높았고,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다', '고혈압 개선 효과가 있다', '영양적으로 우수하다', '특정기능 강화회복에 좋다', '항산화 효과가 있다', '다이어트에 좋다'는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자보다는 여자가(p<0.001), 학력이 대졸 이상일수록(p<0.05) 양파음료의 효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2. 소비자들은 주로 '중탕업소'(67.3%)에서 양파열수추출물을 구매하였으며 '가족.친지 권유'에 의해 양파열수추출물 구매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는 응답(47.4%)이 많았다. 1회에 '$1{\sim}3$개월' 분량을 구입한다는 응답(51.8%)과 구입 시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33.1%)이 가장 많았다. 구매 시에는 '건강성'을 가장 고려하였고, 그 다음이 '맛과 향'이었으며, 가장 선호하는 포장용기는 '파우치팩'(60.3%)였고, '개봉하기 쉽고 마시기 편리하며 안전한 것'(42.0%)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다수(37.2%)가 양파열수추출물을 섭취하지 않고 있었고, 남자는 19.3%, 여자는 52.8%가 전혀 마시지 않는다고 하여 남녀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20대와 30대는 각각 69.7%, 42.9%로 연령이 낮아질수록 기피하는 경항을 보였다. 소득이 낮을수록 섭취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고, 소득이 높을수록 섭취비율이 증가하였다. 양파열수추출물 섭취빈도는 1주일에 $2{\sim}3$회 정도가 23.3%로 가장 많았고, 1회 섭취분량은 '70 mL'가 가장 많았고, 섭취시간은 '시간에 상관없이 섭취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3. 양파열수추출물의 만족도 조사에서 양파열수추출물의 효능에 대해 다소 만족을 하고 있으나, 향미와 색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효능 광고에 대해 '조금 신뢰한다'(72.5%)는 의견이 많았으며, 확대되고 있는 양파열수추출물 판매시장에 대해 '유사제품이 많아 선택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맛과 향에 대한 개선요구가 우선순위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열수추출물의 구체적 효능에 대한 인식정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더 잘 인식하고 있지만 양파열수추출물을 섭취하지 않는 응답자중 여자의 비율이 남자보다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양파열수추출물의 강한 향미의 뒷맛이 여성들이 섭취를 기피하게 된 이유가 아닌가 생각된다. 결과에서 양파열수추출물의 향미증진 요구가 높았고, 구매 시에는 건강성뿐만 아니라 맛과 향을 고려하고 있어 소비자의 관능적 기호성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서 생리적 효능이 나타날 수 있는 양파열수추출물의 적정 하루 섭취량이나 섭취빈도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차별화된 양파열수추출물 제품개발에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 범위가 경남지역 거주자에 국한된 것과 비 섭취자의 수가 많았던 한계점이 있어 향후 양파열수추출물에 대해서 보다 일반화 시킬 수 있는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양파 열수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인공소화후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White and Yellow Onions aft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 김연희;손미예;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25-930
    • /
    • 2004
  • 양파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인공소화 전과후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BHT와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노란색 양파 추출물이 횐색 양파 추출물보다 많았으며, 양파 추출물의 과산화수소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beta-carotene-linoleate\;system$에서 항산화능과 reducing power는 증가되었으나, BHT와 ascorbic acid보다는 낮았다. 양파열수 추출물의 인공소화 후에 IQ와 MNNG로 처리된 Salmonella typhimurium TA80과 TA100에 대하여 항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났으며, 노란색 양파가 횐색 양파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양파 추출물을 소화시키면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의 효과는 양파의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성분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양파껍질 열수 추출물이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ion Peel Water Extract on the Blood Lipid Profiles in Mice Fed a High-Fat Diet)

  • 이현아;한상준;홍선화;김옥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3-209
    • /
    • 2014
  • Onion (Allium cepa L.) is one of the richest sources of flavonoids in human diet. Onion peel contains over 20 times more quercetin than onion flesh.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ffects of onion peel water extract (OPE) on the blood lipid profiles in mice. The onion peel extracts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with 3 groups (n = 6) of ICR male mice: normal diet + distilled water (NC), high-fat diet + distilled water (HF), high-fat diet + onion peel water extract 20 mg/kg (OPE-20). The oral administration was conducted daily. The experimental period was 7 weeks. Onion peel water extract showed higher concentration of polyphenol gallic acid and anti-oxidant trolox equivalent than the ethanol extract. The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PE-20 group as compared with HF group (p < 0.05). The epididymal fat and retroperitoneal fat showed significantly lower weights and sizes in the OPE-20 group as compared with HF group (p < 0.05). The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PE-20 group as compared with HF group (p < 0.05). The OPE-20 group showed higher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than HF group (p < 0.05). Atherogenic index was ignificantly lower in as compared with HF group (p < 0.05). The serum levels of glucose, GOT and GP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PE-20 group as compared with HF group (p < 0.05). In these results, we suggests that onion peel water extracts supplementation can reduces the serum lipid components and improves the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mice induced with a high-fat diet.

산업체 적용을 위한 양파껍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Onion (Allium cepa L.) Peel Extracts Obtained as Onion Byproducts)

  • 정은미;정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64-368
    • /
    • 2014
  •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을 이용하여 산업체에서 활용 가능한 추출공정으로 다양한 항산화활성 변화를 확인 하였다. 양파껍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OPME-1에서 233.90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OPMPE-1에서 1.15 mg/mL로 가장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났다. ABTS에 의한 총 항산화력은 OPM에서 432.78 mg AA eq/g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며, 환원력은 OPMPE-1에서 1.69 $A_{700}$으로 높게 나타났고, ORAC 지수는 OPMPE-1에서 $318,509{\mu}M\;T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실제 산업체에서 양파껍질 추출물을 제조할 때 활용 가능한 추출공정은 여러 번 반복 추출을 하는 것보다 1회 추출만 하는 공정이 항산화 활성 결과 기능성 식품소재 원료로 활용이 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양파 수확 후 잔재물을 이용한 발효 및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세포독성 분석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nd Hot Water Extracts Using Residues after Onion Harvest)

  • 김태원;이건희;전병균;이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63-116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양파 수확 후 버려지는 잔재물의 활용가치를 위해 이들로부터 추출한 발효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세포독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pH는 모두 산성을 나타내었고, 유기물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0.75%로 열수 추출물의 0.19% 보다 4배 많이 함유되었다. 다량원소 중 칼륨성분을 제외한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성분의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 보다 높게 나타내었고, 미량원소 중 철과 규소성분의 함량도 발효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 보다 높았으며, 반면에 붕소성분의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발효 추출물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16.2{\pm}3.3mg{\cdot}g^{-1}$로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인 $14.6{\pm}1.4mg{\cdot}g^{-1}$ 보다 $1.6mg{\cdot}g^{-1}$ 높게 나타내었다. 반면에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4.8{\pm}0.7mg{\cdot}g^{-1}$로서 발효 추출물의 함량인 $0.1{\pm}0.1mg{\cdot}g^{-1}$ 보다 $4.7mg{\cdot}g^{-1}$ 높게 나타내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력은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발효 추출물 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발효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101.6%와 97.9%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 모두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파 추출물의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s)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62-768
    • /
    • 2006
  • 양파 추출물의 식품첨가소재로써 그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파의 종류(붉은색, 흰색, 황색)와 추출용매(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열수)에 따른 주요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총 유기산과 총 유리당은 각각 건물당 $135.4{\sim}1,255.7mg%$$51.7{\sim}62.9%$ 범위였으며, 각 양파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열수 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3{\sim}$13.3%$159.8{\sim}584.1mg%$ 범위였으며, 각 용매별 붉은색 양파의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낮은 pH 범위와 추출물 농도의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는데, pH 1.2에서 붉은색 양파의 에탄을 및 열수 추출물 10 mg/mL 첨가는 약 55% 정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양파의 추출물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따라서 붉은 양파 추출물은 낮은 pH조건에서 아질산염을 소거하여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식품소재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굴 세척액을 이용한 인스턴트 분말 수프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of Instant Powdered Soup Using Oyster Wash Water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34-539
    • /
    • 2001
  • 굴통조림 가공부산물인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굴세척액을 이용한 인스턴트 분말수프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대조구인 굴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는 열수추출물 분말에 식염, 분말크림, 유대체 분말, 밀가루, 대두분말, 전분, 글루코스, 양파가루의 일정량씩을 각각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굴세척액 분말수프는 열수추출물 분말 대신에 세척액 분말을 첨가하고, 기타 첨가물의 경우 굴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분말 수프인 세척수 분말 수프는 탄수화물이 71.1%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조단백질(10.8%), 조회분(8.1%) 및 조지방(3.5%)의 순이었으며, 대조구인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와 차이가 없었다. 굴세척액 분말 수프는 휘발성염기질소, 생균수, 대장균군 및 수분활성이 각각 29.4 mg/100g, $4.6{\times}10^4\;CFU/g$, <18 MPN/100 g 및 0.246으로 위생적으로 안전한 인스턴트 식품이었다.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분말수프의 주요 지방산은 16 : 0(31.5%), 18 : 0(10.4%) 및 18 : 1n-9(27.4%) 등이었고, 단백질의 화학가는 59.4%이었으며, 주요 무기질은 철이었다. 관능평가 결과 대조구인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에 대하여 세척수 분말 수프의 경우 점도, 색조, 향 및 맛과 같은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검사 결과로 미루어 보아 굴통조림 가공부산물인 세척수는 분말화하여 배합농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우수한 인스턴트 분말 수프의 소재로 이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양파의 추출방법과 추출액의 살균·저장에 따른 기능성성분 분석 (Investiga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from Onion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s, Heat Treatment, and Storage Period)

  • 박훈;간버드 오윤졸;서성후;박영서;장재권;정명수;최영진;심건섭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2호
    • /
    • pp.92-98
    • /
    • 2009
  • 추출방법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양파 착즙액의 경우 100$^{\circ}C$에서 열수 추출한 시료에서 총 phenol, flavonoid, quercetin의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에탄올 추출 시 100$^{\circ}C$에서 추출한 시료와 거의 유사한 농도의 기능성 성분이 검출되었다. 양파 추출액의 quercetin 함량은 총 flavonoid의 80-90%로 quercetin이 flavonoid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파분말의 경우 착즙액과 비교하여 추출된 flavonoid와 quercetin 함량이 약간 높았지만, thiosulfinate는 약 40% 낮은 농도를 나타내어 동결건조 과정이 황화합물의 손실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껍질은 육질에 비하여 60배 이상 높은 quercetin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hiosulfinate는 껍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양파 추출액의 살균조건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60, 80, 105, 121$^{\circ}C$의 열처리는 살균 전과 비교하여 기능성 성분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양파 추출액의 저장동안 총 phenol, flavonoid, quercetin 함량은 저장기간과 온도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thiosulfinate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25$^{\circ}C$에 저장한 경우 4$^{\circ}C$에서 보다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전남 함평산 자색양파 추출물의 항균효과와 피부장벽 보호효과 (The Anti-bacterial Effects and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of Red Onion Juice Produced in Jeon-Nam province in Korea)

  • 윤대환;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56
    • /
    • 2012
  • 1. 추출방법, 추출농도에 따라 항균력의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양파, 자색양파의 1%, 5%, 10% 생즙추출물 모두,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1917), Staphylococcus aureus subsp(ATCC6538)에 양호한 항균력을 보였다(81%~100%). 어성초 열수추출물은 10% 고농도에서만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1917), Staphylococcus aureus subsp(ATCC6538)에 항균력을 보였다(100%). 2. 자색양파, 어성초, 일반양파의 1%, 5%, 10% 추출물 모두, 식중독 균인 Escherichia coil,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3. 자색양파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0.01%, 0.05%, 0.1%, 0.5%로 처리하였을 때, 피부장벽 조절인자인 filaggrin과 SPT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반면, 일반양파 추출물도 농도 의존적으로 filaggrin과 SPT발현양을 증가시켰지만, 자색양파 추출물에 비하여 발현양이 많지 않았다. 4. 피부 염증 반응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자색양파와 어성초의 0.01%, 0.05%, 0.1%, 0.5%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반면 일반양파 추출물도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자색 양파 추출물에 비하여 감소양이 적었다. 5. 자색양파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은 피부 장벽기능 조절인자인 filaggrin과 SPT의 발현양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피부의 수분 유지 기능을 강화하였고, 농도 의존적으로 피부 염증 반응 인자도 감소시켜 항염증효과가 있어, 피부미용기능재료로서의 가능성 보여주었다.

Hypoglycemic effects of Welsh onion in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 Kang, Min-Jung;Kim, Ji-Hye;Choi, Ha-Neul;Kim, Myoung-Jin;Han, Jung-Hee;Lee, Jai-Heon;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6호
    • /
    • pp.486-491
    • /
    • 2010
  • Tight control of blood glucose i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Here, we investigated the beneficial effects of Welsh onion on fasting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hibi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the green stalk and white bulb, which are the edible portions of the Welsh onion, and the fibrous root extract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ere measured in vitro. To study the effects of Welsh onion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a starch solution (1 g/kg) with and without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500 mg/kg) or acarbose (50 mg/kg) was administered to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fter an overnight fast. Postprandial plasma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and incremental areas under the response curve were calculated. To study the hypoglycemic effects of chronic feeding of Welsh onion, five-week-old db/db mice were fed an AIN-93G diet or a diet containing either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at 0.5% or acarbose at 0.05%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Fasting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were measured. Compared to the extract from the edible portions of Welsh onion, the fibrous root extract showed stronger inhibition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ith an $IC_{50}$ of 239 ${\mu}g/mL$. Oral administration of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500 mg/kg) and acarbose (50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incremental plasma glucose levels 30-120 min after oral ingestion of starch as well as the area under the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curv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1). The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levels of the Welsh onio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 0.01),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fed acarbose. Thus, we conclude that the fibrous root of Welsh onion is effective in controlling hyperglycemia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