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dimensional patch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매설된 안테나에 의한 지면 위 금속도체의 전자파 산란 (Electromagnetic scattering from a conductor above ground illuminated by an embedded antenna)

  • 장병찬;이승학;김채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91-194
    • /
    • 2002
  • We analyze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dipole antenna in a lossy 9round with conducting object located above ground. Electric field integral equation is used to solve the problem. In this integral equation, GPOF(Generalized Pencil of Function) method is applied to derive the closed form of the electric field due to a current source. Surface current on a conductor is expanded with a well-known vector triangle basis function. The singular integration of a triangle patch is transformed to the non-singular integration by Duffy's method. This transformed non-singular integration is easily calculated by using one-dimensional Gaussian quadrature rule, instead of usual closed form evaluation.

  • PDF

글루타르알데하이드에 담근 자가심막을 이용한 전방기관성형술 -1례 보고- (Anterior Tracheoplasty Using Glutaraldehyde-Soaked Autologous Pericardium -One Case Report-)

  • 이석열;송철민;장원호;박형주;이철세;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87-490
    • /
    • 2002
  • 65세 여자 환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과거력상 뇌수술과 기관절개술후 반복되는 흡인으로 인하여 기관전환수술을 시행 받았다. 응급 3차원 나선형 기관단층 촬영술에서 하부기관의 협착이 나타났다. 수술은 정중 흉골절개술을 통하여 글루타르알데하이드에 담근 심막을 이용한 전방기관성형술을 실시하여 좋은 결과를 보았다. 저자들은 이를 치험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X-색도 공간에서 ROI의 전방향 프로젝션과 백색패치의 평행이동에 의한 본질 영상 획득 (Acquisition of Intrinsic Image by Omnidirectional Projection of ROI and Translation of White Patch on the X-chromaticity Space)

  • 김달현;황동국;이우람;전병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2호
    • /
    • pp.51-56
    • /
    • 2011
  • 흑체의 온도 변화에 대한 영상의 색차를 줄이는 본질 영상은 단일 불변 방향을 검출하고 백색 장면 조명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실영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불변 방향과 유색 장면 조명체에 취약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chi}$-색도 공간에서 ROI의 전방향프로젝션과 백색패치의 평행이동을 통해 불변 방향을 검출하는 본질 영상 획득 기법을 제안한다. 3차원 RGB 공간 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본 논문 또한 밝기가 고려되지 않은 ${\chi}$-색도 공간을 사용한다. 이 공간에서 유색 조명체의 효과는 백색패치의 평행이동을 통해 감소시키고, 색차에 따라 가상의 선분으로 나타나는 불변 방향은 ROI의 전방향 프로젝션을 통해 검출한다. 다수의 불변 방향을 고려하여 ROI 선택은 3D 히스토그램에서 빈도수에 의해 결정한다. 검출 후, 본질 영상은 불변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의 프로젝션과 RGB영상으로의 역변환 과정을 통해 획득된다. 실험에서 Ebner가 제안한 데이터집합을 실험 영상으로 이용하였고, 불변 방향의 표준편차와 색항등성 측도를 평가 측도로 사용하였다. 제안한 기법의 실험 결과는 엔트로피 기법보다 불변 방향의 표준 편차가 낮았으며, 기존의 기법에 비해 색항등성이 2배 이상 높았다.

6절점 2차원 및 16절점 3차원 등매개변수 요소의 가우스 적분점 수정을 이용한 강제진동 해석 (The Forced Motion Analyses by Using Two Dimensional 6-Node and Three Dimensional 16-Node Isoparametric Elements with Modification of Gauss Sampling Point)

  • 김정운;권영두
    • 전산구조공학
    • /
    • 제8권4호
    • /
    • pp.87-97
    • /
    • 1995
  •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의 동일한 형상과 하중 조건에 있어서 6절점 요소의 굽힘 강성은 8절점 요소의 굽힘 강성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3차원 16절점 요소와 20절점 요소에서도 나타나며, 완전 요소의 중간 절점들을 제거하므로 인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이 현상을 상대적 강성강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강성강화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우스 적분점 수정법을 도출하였으며, 이 방법은 확장적인 강성과 같이 다른 종류의 강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또한 패취시험을 통과하였다. 적분점 수정량은 재료의 포아송비의 함수로 나타나며, 2차원 평면응력 상태와 평면변형율 상태에 대한 두개의 수정식을 구하였고, 또한 3차원 고체요소에 대하여 확장하였다. 가우스 적분점 수정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보와 판의 자유 및 강제운동 문제를 해석하였으며, 등방성 적층 보와 판에 대해서도 단층보와 단층판과 같은 방법으로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PDF

Solid volume fraction이 20% 인 다공성 실린더 주위의 유동 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PAST A POROUS CYLINDER WITH 20% SOLID VOLUME FRACTION)

  • 장경식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7-92
    • /
    • 2012
  • The presence of a layer of vegetation which is relevant in river engineering or coastal engineering can modify the overall flow resistance, turbulent characteristics of flow. The patch of vegetation can be modelled and studied in a simple porous cylinder by previous researchers. Fully three dimensional Large Eddy Simulation is conducted in flow past a porous cylinder with a solid volume fraction (SVF) 0f 20%. The porous cylinder of diameter D contains 89 smaller cylinders which diameter is 0.048D in a regular staggered way. Reynolds number based on porous cylinder diameter D and the bulk velocity is 10,000. The large scale shedding is qualitatively similar to the one observed in the non-porous case (SVF=100%). The difference in the dynamics of the separated shear layer and the streamwise flow penetrating through the porous cylinder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porous cylinder. In particular, the wake billows form a larger distance from the back of the porous cylinder.

버블패킹방법을 이용한 2차원 자동격자 생성 및 재구성 알고리듬 개발(I) -선형 해석-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2-D Automatic Mesh Generation and Remeshing Technique Using Bubble Packing Method (I) -Linear Analysis-)

  • 정순완;김승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6호
    • /
    • pp.1004-1014
    • /
    • 2001
  • The fully automatic algorithm from initial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to remeshing in two dimensional geometry is introduced using bubble packing method (BPM) for finite element analysis. BPM determines the node placement by force-balancing configuration of bubbles and the triangular meshes are made by Delaunay triangulation with advancing front concept. In BPM, we suggest two node-search algorithms and the adaptive/recursive bubble controls to search the optimal nodal position. To use the automatically generated mesh information in FEA, the new enhanced bandwidth minimization scheme with high efficiency in CPU time is developed. In the remeshing stage, the mesh refinement is incorporated by the control of bubble size using two parameters. And Superconvergent Patch Recovery (SPR) technique is used for error estimation. To verify the capability of this algorithm, we consider two elasticity problems, one is the bending problem of short cantilever beam and the tension problem of infinite plate with hole. The nume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algorithm by BPM is able to refine the mesh based on a posteriori error and control the mesh size easily by two parameters.

유아기에 시행한 팔로씨 사증의 심실절개를 통한 완전교정술 (Detinitive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in Infancy - Transventricular approach -)

  • 이정렬;김준성;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안규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39-145
    • /
    • 2004
  • 유아기적 팔로씨 사증(Tetralogy of Fallot)의 완전교정술은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우심실절개를 통한 완전교정술 또한 많은 이견이 있다. 이 연구는 팔로씨 사증의 유아기 우심실절개를 통한 완전 교정술의 성적을 보여주는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840명의 환아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팔로씨 사증에 대한 수술을 시행받았으며 이 중 1세 미만에서 일차 완전교정술을 시행한 유아들 1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환아들의 평균연령은 8.1$\pm$2.6개월(3∼12)이었다. 완전 교정술은 모든 환자군에서 전체 우심실 길이의 30%를 넘지 않는 길이의 작은 우심실절개를 통해 시행하였으며 78명의 환자(49%)에서 경판막륜 첩포술(transannular patch)을 시행하였다. 결과: 4명의 환아(사망률: 2.5%)에서 조기 사망을 하였으며 만기 사망은 없었다. 모든 생존 환아에 대해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모든 환아에서 현재 NYHA class I이나 II의 상태였다. 20명의 환아에서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 1년과 10년 actuarial freedom from reoperation rate는 각각 94%와 87%였다. 2차원적 도플러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거의 모든 환아들에게서 좋은 우심실 기능을 보여주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팔로씨 사승의 완전 교정술을 유아기에도 적은 사망률과 합병증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환자군에서 우심실절개를 통한 심장 내의 병변을 안전하게 교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우심실 기능의 부전도 적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층 평판구조체 해석시 Closed-form 그린함수와 함께한 모멘트 행렬의 효율적인 수치계산 (Numerically Efficient Evaluation of MoM Matrix in Conjunction with the Closed-form Green s Functions in Analysis of Multi-layered Planar Structures)

  • 이영순;김병철;조영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2-98
    • /
    • 2001
  • Closed-form 그린함수를 사용하여 다층 평판 구조체의 산란 문제를 해석할 경우, 주된 어려운 문제점 중의 하나의 대각행렬 요소의 계산결과가 느리게 수렴하고 안정되지 않다는 점이다. 즉, 대각행렬 요소 계산시 전원 자신의 항에 해당되는 $e^{-jkr}/{\gamma}$ 형태의 특이 적분처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산결과의 느린 수렴도 문제가 몇 개의 복소 영상항에 해당하는 적분과정에 여전히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반화된 지수함수와 2중적분을 극좌표계에서 가우스 구적법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 새로운 적분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적분기법을 알로리즘의 안정성과 수렴도에 관하여 본 논문에서 논의되면, 그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산란 문제에 이 적분법을 적용해 보았다.

  • PDF

Reconstruction of Pharyngolaryngeal Defects with the Ileocolon Free Flap: A Comprehensive Review and How to Optimize Outcomes

  • Escandon, Joseph M.;Santamaria, Eric;Prieto, Peter A.;Duarte-Bateman, Daniela;Ciudad, Pedro;Pencek, Megan;Langstein, Howard N.;Chen, Hung-Chi;Manrique, Oscar J.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3호
    • /
    • pp.378-396
    • /
    • 2022
  • Several reconstructive methods have been reported to restore the continuity of the aerodigestive tract following resection of pharyngeal and hypopharyngeal cancers. However, high complication rates have been reported after voice prosthesis insertion. In this setting, the ileocolon free flap (ICFF) offers a tubularized flap for reconstruction of the hypopharynx while providing a natural phonation tube. Herein, w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current evidence on the use of the ICFF for reconstruction of the aerodigestive tract.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across PubMed MEDLINE, Web of Science, ScienceDirect, Scopus, and Ovid MEDLINE(R). Data on the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surgical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extracted. Twenty-one studies were included. The mean age and follow-up were 54.65 years and 24.72 months, respectively. An isoperistaltic or antiperistaltic standard ICFF, patch flap, or chimeric seromuscular-ICFF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patients' needs. The seromuscular chimeric flap is useful to augment the closure of the distal anastomotic site. The maximum phonation time, frequency, and sound pressure level (dB) were higher with ileal segments of 7 to 15 cm.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leakage ranged from 0 to 13.3%, and the majority was occurring at the coloesophageal junction. The revision rate of the microanastomosis ranged from 0 to 16.6%. The ICFF provides a reliable and versatile alternative for reconstruction of middle-size defects of the aerodigestive tract. Its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and functional anatomy encourage early speech and deglutition without a prosthetic valve and minimal donor-site morbidity.

독일가문비나무(Picea abies [L].Karst)림(林)에서의 Energy와 물질순환(物質循環)에 대(對)한 SLODSVAT(Six-Layer One-Dimensional Soil-Vegetation-Atmosphere-Transfer) 모델과 그 적용(適用) (A Six-Layer SVAT Model for Energy and Mass Transfer and Its Application to a Spruce(Picea abies [L].Karst) Forest in Central Germany)

  • ;;;;주영특;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10-224
    • /
    • 1996
  • SLODSVAT 모델은 (1)식생의 환경 조건과 생태 생리학적 특징에 의해 결정된 두개 수관층에서의 복사, 수분증발, 열, 이산화탄소 및 바람(momentum) 등의 이동과, (2)식물의 뿌리, 줄기, 잎으로 이어지는 수분의 흡수와 저장 및, (3)수관에 의한 강우의 차단, 그리고 토양에 의한 강우의 저장과 유하 등을 Simulation한 상호관련된 몇 개의 하위 모델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중부에 위치한 Solling지방의 독일가문비림(Picea abies L Karst)을 대상으로 기후 관측 결과와 모델링에 의한 결과를 서로 비교해 본 바, SLODSVAT는 서로 다른 환경 조건하에서 수분증발과 열 흐름의 계절적 변화 뿐만 아니라 일변화도 자연적 과정에 맞게 적절히 설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대기, 임관 및 토양 구조에 대한 기상학적, 식물학적, 수문학적 자료들이 유능하다면 독일가문비림 생태계에 대한 증산과 증발산의 비를 평가하고 예측함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