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board diagnostic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2초

스마트폰 연동 차량의 온보드 고장진단 기능 구현과 근거리 무선통신 호환성 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On-Board Diagnostic Function on the Smart Phone and the Compatibility Tes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 구제길;양성열;송종욱;이충혁;양재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9호
    • /
    • pp.285-292
    • /
    • 2016
  • 최근 차량에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등 근거리 통신기능을 부가하여 스마트폰과 연동함으로써, 최신 자동차는 차량 전자제어장치인 ECU를 통하여 자동차 위치정보, 고장 진단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엔터테인먼트화 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온보드 진단기와 스마트폰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차량 온보드 진단기와 연관하여 여러 가지 스마트폰 모델과 블루투스 및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와의 호환성 시험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해 보았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 연동 블루투스 및 NFC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온보드 진단기의 단말기 구성과 고장진단 기능 구현을 비롯하여, 고장진단용 디버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OBD-II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고장진단 데이터를 추출하였으며, 끝으로 온보드 진단기 CAN 프로토콜 구현 제시와 함께 이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Cloud computing for handling data from traffic sensing technologies and on-board diagnostics

  • Nkenyereye, Lionel;Jang, Jong-wook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8-491
    • /
    • 2014
  • Based on a complete understanding research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rapidly build up innovative applications to ensure real time attainment as well remote management of driven information, provide a huge range of services and involve many actors in automotive ecosystem.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ntelligent cloud computing for handling data received from traffic sensing technologies. Transportations technologies applied in ITS have played a great role in collecting data from devices deployed in vehicles and highway infrastructures utilizing broadband wireless technologies to the Cloud.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terested in automotive industry to use data collected and afford services to the car's owner, a scalable acquisition,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and offered services are the primary goal of the proposed cloud computing.

  • PDF

OBD-II 정보를 이용한 운전자 스트레스 모니터링 시스템 (Driving Stress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by On-Board Diagnostics Version II)

  • 조상진;조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9-38
    • /
    • 2023
  • 인간의 생체 신호 데이터가 인간의 상태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 할지라도 실제 운전 중에 운전자의 생체 데이터를 얻어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일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운전자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운전자 스트레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운전자의 주행 정보는 OBD-II 스캐너를 통해 취득하고, 실제 운전자의 운전 스트레스 여부는 E4 밴드를 통해 취득한 EDA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스트레스 감지 모델은 MLP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약 한 달 간의 운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시켰다. 제안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하여 약 1시간의 운행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약 92%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자동변속기 오일 온도센서 출력 이상 진단 로직 개발 (Development of A/T Oil Temperature Sensor Plausibility Diagnostic Logic)

  • 권준의;최영선;심장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99-104
    • /
    • 2005
  • The CARB in USA has demanded OBD functions that detect any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of OTS as well as a simple defect of OTS which can affect emission to meet the reinforced emission regulation. In this paper, OTS plausibility monitoring functions to meet the demand from CARB are discussed. The output from OTS is used for the diagnostics of the torque converter clutch stuck and the gear ratio synchronous error.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abnormality of OTS function by considering the oil temperature characteristics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us of vehicles. In result, the OBD regulations of the CARB can be satisfied obligating car manufacturer to detect any problems in OTS functions which can affect emissions.

Hadoop을 이용한 스마트 자동차 서비스용 빅 데이터 솔루션 개발 (Addressing Big Data solution enabled Connected Vehicle services using Hadoop)

  • 라이오넬;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07-612
    • /
    • 2015
  • 자동차 진단 데이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에코시스템의 액터는 스마트 자동차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를 시뮬레이션 하거나 설계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분석을 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에서 생성된 막대한 양의 자동차 내장 진단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데 필수적이고 심오한 해석학을 제시하는 빅 데이터 솔루션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Hadoop 및 그 에코시스템은 자동차 소유자에 대한 새로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동차 에코시스템의 액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막대한 데이터 및 전달된 유용한 결과를 처리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지능형 교통시스템이 안전성 보장, 속도로 인한 사고로 입는 상해 및 충돌의 비율 감소 등에 관여함에 따라, 자동차 진단 데이터 기반의 빅 데이터 솔루션 개발을 통해 향후 실시간 결과 감시, 여러 스마트 자동차에서의 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있는 처리 및 용이한 저장을 실현화하게 된다.

PLC 자체 고장진단과 그의 외부 소자의 고장 진단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Fault diagnosis system for PLC self-diagnostics and its external devices)

  • 허윤기;변중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189-1192
    • /
    • 1996
  • In this paper, a fault diagnosis method is proposed for self-diagnostics of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rocess controller in industrial fields, and diagnosis of its external devices such as sensors and actuator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proposition of systematic method of fault diagnosis of PLC control system and development of its equipment. A PLC fault diagnosis algorithm consists of self-diagnostics given by PLC makers, Inpuot/Output tracking method by analyzing sequence PLC programs, searching method of past fault cases in database using an expert system, and diagnosis of PLC units such as CPU, DI, and DO board. Finally usability of PLC fault diagnostic system is verified by testing a MELSEC PLC.

  • PDF

A Particulate Matter Sensor with Groove Electrode for Real-Time Diesel Engine On-Board Diagnostics

  • Kim, S.;Kim, Y.;Lee, J.;Lim, S.;Min, K.;Chun, K.
    • 센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1-196
    • /
    • 2013
  • A particulate matter sensor fabricated by MEMS process is proposed. It is developed to accommodate Euro6 on-board diagnostics regulation for diesel automobile. In the regulation, emission of diesel particulate matter is restricted to 9 mg/km. Particulate matter sensor is designed to use induced charges by charged particulate matter. To increase sensitivity of the sensor, groove is formed on sensor surface because wider surface area generates more induced charges. Sensitivity of the sensor is measured 10.6 mV/(mg/km) and the sensor shows good linearity up to 15.7 mg/km. Also its minimum detectable range is about 0.25 mg/km. It is suitable to detect failure of a diesel particulate filter which should filter particulate matter more than 9 mg/km. For removing accumulated particulate matter on the sensor which can disturb normal operation, platinum heater is designed on the backside of the sensor. The developed sensor can sense very low amount of particulate matter from exhaust gas in real-time with good linearity.

원격 자동차 고장 진단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emote Vehicle Fault Diagnostic System)

  • 라이오넬;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4-227
    • /
    • 2015
  • 일반적으로 자동차드라이버의 스마트폰을 통한 데이터전송은 자동차운전자의 핸드폰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데이터 센터에 전송하는 경우에 용량 의존적인 순위를 가지고 있다. 생성되는 진단보드 데이터들은 드라이버의 폰에서의 모바일 진단 어플리케이션에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인터넷에 연결 되었을 때 데이터 센터에 전송한다. 클라우드에서 실행에 방해하는 다른 태스크들이 없는 원격 자동차 어플리케이션 사용방법을 위한 node.js는 모바일 네트워크을 통한 클라우드에서 데이터 저장업무를 다루기 위하여 적합하다. 우리는 외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driver inputs and delivers output을 패스하는 원격 유저와 운용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자동차와의 어플리케이션 interface 방법을 사용하는 실시간 분석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반응을 시뮬레이션 통해 제안된 아키텍쳐의 유효성을 입증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벤트 루프 접근을 기반으로 하는 이것은 웹서버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원격 자동차 결함 진단 시스템 연구를 제안한다.

  • PDF

모바일 핸드셋을 이용한 자동차 진단 (Vehicle Diagnostic System using Mobile Handset)

  • 박동규;어윤;김성엽;송업조;김수규;이도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338-1346
    • /
    • 2007
  • 모바일 단말기의 성능과 해상도가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통신 장치가 아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구로 인식되기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인간과 기계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진보로 인하여 전자장치와 임베디드 시스템 기술에 기반한 차량의 진단과 관리 기술이 출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OBD-II(On Board Diagnostics version I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진단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2005년 이후 국내에 출시되는 모든 자동차에는 진단 시스템 표준인 OBD-II 시스템 장착이 의무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OBD-II표준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 변환기와 개인소지 휴대폰만으로 자동차의 진단이 가능한 자동차 자기진단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여기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표준 플랫폼인 WIPI에서 구현하였다.

  • PDF

FMEDA를 활용한 디지털 신호처리기 보드의 진단 유효범위의 측정 (Measurement of a Diagnostic Coverage f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Board Using an FMEDA)

  • 금종룡;서용석;이준구;박재윤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8권2호
    • /
    • pp.101-111
    • /
    • 2008
  • Good diagnostics improves both the safety and system unavailability of digital safety systems. The measure of a diagnostic capability is called the Coverage Factor. Because the Failure Modes, Effects and Diagnostic Analysis (FMEDA)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ailure rates and failure mode distributions necessary to calculate a diagnostic coverage factor for a component, the FMEDA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to calculate it. Through performing FMEDA on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board used in a digital safety system, it is shown that some components of the DSP board can be replaced or improved to satisfy the required diagnostic coverage. That is, the FMEDA can serve as a useful verification tool to design a diagnostic capability for the DSP bo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