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mega 3 fatty acid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97초

아실체인 구조가 효소 Lipase-OF 360,000에 의한 지방산의 가수분해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yl Chain Structure on the Hydrolysis of Fatty Acids from Fish Oil by Lipase-OF 360,000)

  • 허병기;우동진;박경원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72-75
    • /
    • 2000
  • Candida cylindracea 유래의 효소 Lipase-OF 360,000을 사용하여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고 있는 각 지방산의 가수분해 특성을 규명하여 보았다.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지방산중 $C_{14.0}$, $C_{16.0}$$C_{18.0}$의 포화지방산과 이중결합이 하나인 $C_{16.1}$, $C_{18.1}$(n-7), $C_{18.1}$(n-9), $C_{20.1}$$C_{22.1}$의 불포화 지방산은 $\omega$-3 다중불포화지방산에 비하여 쉽게 가수분해되었다. $\omega$-3다중불포화지방산중 탄소수는 동일하나 불포화도가 상이할 경우 불포화도가 낮은 지방산이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보다 쉽게 가수분해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불포화도는 동일하나 탄소수가 다른 경우 탄소수가 적은 지방산이 탄소수가 많은 지방산보다 쉽게 가수분해되었다. $\omega$-3 다중불포화지방산중 가수분해 반응 후 모노-, 디- 및 트리-클리세라이드 혼합물에 가장 많이 농축되는 지방산은 DHA로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는 총 $\omega$-3 지방산의 31.87%에서 가수분해반응 120시간 후에는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을 구성하는 총 $\omega$-3 지방산의 51.89%까지 증가하였다.

  • PDF

우리나라 일부 초등학생의 지방산 섭취양상과 혈청 지방산 및 Selenium 수준에 관한 연구 (Fatty Acid Intake, Serum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rum Se Concentr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 이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7호
    • /
    • pp.802-811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the dietary patterns of fatty acids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serum, 2) determine selenium (Se) concentrations, and 3) investigate how serum fatty acid compositon affects serum levels of S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consisted of 168 school children(82 boys & 86 girls) belonging to 1st through 6th grades, and their dietary assessment was evaluated. The serum fatty acid composition was analyzed by GLC, and the ICP/MS method was employed to measure serum Se concentration. Total average intake of PUFA, MUFA and SFA were 10.5g, 12.7g, 11.2g respectively. Total average dietary P/M/S ratio was 1.10/1.18/1.0. The average intake of $\omega$3 fatty acids and $\omega$6 fatty acids were 1.33g, 9.19g, respectively. The $\omega$6/$\omega$3ratio was 14.2 which is higher than the recommended range. In serum fatty acid composition, PUFA, MUFA, SFA were 40.6%, 28.1% and 31.6% respectively. The average $\omega$3 fatty acid composition was 3.80%, and the mean value of $\omega$6 series was 36.8%. The M/S ratio of gir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s in fatty acids intake and in serum composition. Mean Se concentration of total subjects was 416.7ug/l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er grades(1st-3rd)than in the upper grades(4th~6th, p<0.05). Although the mean serum Se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UFA composition in total boys and girls, it was not significant. Serum Se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 ratio and C24:1 concentration(p<0.05). In addition, serum composition of $\omega$6 PUFA and C24:1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rum Se in only lower grades girl(1st~3rd),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in these phenomena. In conclusion, the mean serum S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upper grades (4th~6th)than in lower grades(1st~3r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 ratio of serum fatty acids. More detailed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Se and fatty acids are required.

  • PDF

${\omega}$-3 및 ${\omega}$-6계 지방산 첨가 사료의 급여가 어린 병아리에서 면역기관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Immune Organs in Young Chicks)

  • 안병기;연제영;지규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9-29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omega}$-6 및 ${\omega}$-3계 지방산을 함유한 유지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실험사료를 어린 병아리에서 급여했을 때 면연 기관의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개의 처리구에 각 처리당 3반복을 두고 총 75수의 1일령 수평아리를 공시하였다. 옥수수유(CO)와 들깨유(PO)를 중량비로 각각 8%+0%, , 6%+2%, 4%+4%, 2%+6%, 0%+8% 수준으로 첨가한 반정제 실험 사료를 7주간 급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처리 간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체중 100g당 간장 중량 및 면역 기관 중량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면역조직 내 지방산 조성은 EPA와 AA(arachidonic acid)를 포함하여 섭취한 사료 지방산의 조성을 잘 반영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면역기관 간에 그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들깨유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linoleie acid LA)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면 a-linolenic acid(LNA) 비율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흉선에는 .LA와 LNA의 함량이 다른 조직보다 현저히 더 많아서 섭취하는 지방산의 조성이 가장 잘 반영되었다. 비장 조직에는 HPA 및 AA 농도와 EPA/LNA, AA/LA의 비율이 다른 조직에 비해 현저히 더 높았는데 이는 비장이 LA나 LNA로부터 AA나 EPA로 전환하는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실험사료 급여후 2, 4주후에 조사된 anti-BSA 항체가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CO 8%구에 비해 PO를 첨가한 모든 구에서 더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특히 PO를 6% 및 8% 첨가한 실험구에서 20~30%나 더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섭취하는 지방산 조성에 따라 면역기관내 모든 지방산 조성이 변하였으며, 면역기관에 따라 그 반응정도가 달라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eicosanoids 합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금에서 질병에 대한 면역력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앞으로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유통중인 건강기능식품의 감마-리놀렌산 및 오메가-3 지방산 함량 모니터링 (Monitoring of compositions of gamma-linolenic and omega-3 fatty acids in some functional foods consumed in market)

  • 김대경;신정아;이기택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277-284
    • /
    • 2011
  • The composi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HFFP; 18 products) containing gamma linolenic acid (GLA; $C_{18:3}$, n-6) and omega-3 fatty acids (EPA and DHA)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index components (especially, GLA and omega-3) in HFFPs were monitored by GC-FID analysis. Among the GLA products (sample No. 1~8), the content of GLA in most samples (except sample No.6) ranged from 8.04 to 9.98 g/100 g. These results were suitable for the reference standard (more 7.0 g/100 g) of HFF. In the omega-3 products (sample No. 10 and 15) derived from harp seal oil (HSO), the total contents of EPA and DHA were 14.21-15.98 g/100 g,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suitable for the reference standard (more 12.0 g/100 g) of HFF. Besides, among the omega-3 products (sample No.9, 11~14, 16~18) derived from fish oil, the total content of EPA and DHA ranged from 24.11 to 31.20 g/100 g. These results were suitable for the reference standard (more 18.0 g/100 g) of HFF. In the result of TLC analysis, the HFFPs of 18 were mainly composed of triacylglycerols (TAGs). The content of trans fatty acid in 18 HFFPs was detected in less than 0.30 g/100 g. For the detection of trans fatty acid, $^1H$-NMR (600 MHz) can be used because chemical shift of trans fatty acid was observed at 5.3 ppm in this study.

한국 주요 어종의 지방산 조성 및 ${\omega}-3$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tent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Major Fishes Caught in Korean Seas)

  • 안병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1-187
    • /
    • 1987
  • 우리나라에서 어획되는 주요 어류 10종에 대해 지방질함량과 총지방질, 중성 및 극성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하였다. 시료어종의 지방질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은 $C_{16:0}(14{\sim}24%)$, $C_{16:1}(4{\sim}13%)$, $C_{18:1}(8{\sim}29%)$, $C_{20:5}(4{\sim}18%)$, $C_{22:6}(6{\sim}33%)$ 등이었다. ${\omega}-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은 어종에 따라 총지방산중 $18{\sim}48%$로 큰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어체를 기준으로 EPA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어종은 정어리 (1.55%), 전어 (1.11%),임연수어 (0.93%)등이고 DHA의 함유량이 높은 어종은갈치 (1.68%), 임연수어 (1.11%). 정어리 (0.95%)등으로 나타났다. 어유 기준으로는 정어리유(16.0%), 멸치유(15.6%), 명태유, 임연수어유, 전어유 등에서EPA의 함량이 10.0%이상이었으며 DHA의 함량은 꽁치유가 29.2%로 가장 많고 명태유, 멸치유, 고등어유, 가자미유도 l6.0%이상의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다.

  • PDF

Structure and Expression of a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 Gene, PfFAD3, Encoding the Microsomal ${\omega}-3$ Fatty Acid Desaturase

  • Lee, Hyang-Hwa;Pyee, Jae-Ho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24-427
    • /
    • 2004
  • Microsomal ${\omega}-3$ fatty acid desaturase (FAD3) is an essential enzyme in the production of th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alpha}-linolenic$ acid during the seed developing stage. To understand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gene encoding the ${\omega}-3$ fatty acid desaturase, a genomic fragment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isolated perilla seed PfFAD3 cDNA was amplified from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 by GenomeWalker PCR. Sequence analysis of the fragment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of a 1485-bp 5'-upstream region and a 241-bp intron in the open reading frame. To determine the tissue-specificity of the PfFAD3 gene expression, the 5'-upstream region was fused to the ${\beta}-glucuronidase$ (GUS) gene and incorporated into Arabidopsis thaliana. Histochemical assay of the transgenic plants showed that GUS expression was restricted to seed and pollen, showing that PfFAD3 gene was exclusively expressed in those tissues.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한 오메가-3 지방산 함유유지의혈행개선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while focused on evaluation of claims for health functional food)

  • 정세원;김지연;백주은;김주희;곽진숙;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3호
    • /
    • pp.226-238
    • /
    • 2013
  •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re essential fatty acids because humans cannot synthesize them de novo and must obtain them in their diet. Fish and fish oil are rich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including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Significant evidence of the beneficial role of dietary intake of omega-3 fatty acids in blood flow has been reported and putative mechanisms for improvement of blood flow include anti-thrombotic effects, lowered blood pressure, improved endothelial function, and anti-atherogenic effects. Edible oils containing omega-3 fatty acids were registered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Korea Health Functional Food Code. Although omega-3 fatty acids have been evaluat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periodic re-evaluation may be needed because emerging data related to omega-3 fatty acids have accumul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evaluated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or collection of relevant human studies using the Medline and Cochrane, KISS, and IBIDS databases for the years 1955-2012. Search keywords were used by combination of terms related to omega-3 fatty acids and blood flow. The search was limited to huma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English, and Japanese. Using the KFDA's evidence based evaluation system for scientific evaluation of health claims, 112 human studie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in order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supporting a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s and blood flow. Among 112 studies,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were reported in 84 studies and the daily intake amount was ranged from 0.1 to 15 g. According to this methodology of systematic review, we concluded that there was possible evidence to support a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blood flow. However, because inconsistent result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future studies should be monitored.

Arabidopsis thaliana로부터 지방산 불포화효소 유전자의 분석 (Characterization of a fad3 cDNA Encoding Microsomal Fatty Acid Desaturase from Arabidopsis thaliana)

  • 박희성;임경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3-97
    • /
    • 1997
  • Linoleic acid를 linolenic acid로 전환시키는 지방산불포화효소의 유전자(fad3)를 유채의 fad3 DNA probe를 이용한 plaque hybridization방법으로 $\lambda$ZAPII Arabidopsis thaliana cDNA expression library로부터 분리하였으며 1.8 kb-EcoRI DNA조각을 지니는 lambda clone을 pGEM7으로 subcloning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부터의 아미노산서열분석에 의하면 fad3 유전자는 open reading frame이 38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졌으며 44,075 Da의 분자량이 예측되고 있다. 엽록체의 $\omega$-3 지방산불포화효소(fad7)와 endoplasmic reticulum의 지방산불포화효소(fad2)와의 비교시 각각 70%와 58%의 유사성이 나타났다. 특히 82-151의 아미노산서열과 276-333의 아미노산지역은 보존성이 높았으며 이는 불포화지방산효소의 기능에 필수적인 지역으로 보여진다. 한편 대장균을 이용한 IPTG에 의한 Fad3단백질의 유도생성은 대장균의 생육에 독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지방산 섭취 패턴과 혈청 지질 및 혈청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atty Acid Intake Patterns, Serum Lipids and Serum Fatty Acid Composi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정은정;안홍석;엄영숙;이양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3-27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individual fatty acid intake and to compare serum lipid levels and total serum fatty acid compos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otal : 234 ; male : 91 ; female : 143) In serum lipid levels, total cholesterol (Chol.), HDL-Chol. and LDL-Chol. levels of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Fish & Low Meat intake (HFLM) and Low Fish & High Meat intake (LFHM) groups. The average fat intake was 22-25 energy % of total subjects and especially, that of LFHM group was 29%, which were over the recommendation level. Although the average P/M/S ratio of dietary fat was 1.1/1.2/1.0, the average range of $\omega6/\omega3$ fatty acid ratio of dietary fat was found to be 17.9-20.7, which was far beyond the suggested range, 4-10. The average intake of cholesterol of total subjects was 360mg. LFHM group had more meats and beverages such as carbonated drinks and tended to have less beans, vegetables and mushrooms. In addition, LFHM group had more energy and fat intake than those of HFLM group, the P/S ratio of dietary fat (0.73) was lower than the recommended ratio. Serum C16 : 0 composition of LFH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FLM group, and EPA and DHA composition of HFL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LFHM. Therefore, in HFLM group, the P/S ratio of serum fatty acid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omega6/\omega3$ ratio was lower. Dietary C18 : 0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EPA and DHA composition. Individual PUFA intak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C16 : 0 and sum of SFA,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C18 : $2\omega6(LA)\;,\;sum\;o;\omega6$ and sum of PUFA. Serum C18 : 1, C18 : $3\omega3\; and\; C20\;:\;4\omega6$ (AA) compositions were not correlated with dietary fatty acid. Only serum triglyceride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rum fatty acid compositions. Sum of SFA, C14 : 0, C16 : 0, sum of MUFA and C18 : 1 composi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TG levels, but LA, AA, sum of PUFA and P/S ratio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t.

오메가 3계 지방산 강화 식품류의 연구개발 동향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on Omega-3 Fatty Acid Fortified Foodstuffs)

  • 이희애;유익종;이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1-174
    • /
    • 1997
  • 오메가 3계 지방산의 섭취가 동맥경화, 고혈압 및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을 비롯하여 당뇨병, 류마티즘 등의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슴이 여러 가지 역학조사 결과 밝혀지면서 의 학계를 위시한 여러 생명과학 분야에서 관심을 모으는 연구주제가 되고 있다. $\omega$3계 지방산은 인체내에서 생성이 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 지방산으로서 이러한 필수성은 식이로부터 섭취 부족시 생겨나는 결핍증의 치료효과에 기인 한다기 보다는 합성과정에 필요한 적당한 desaturase가 존재하지 않거나 효소활성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필수성이 강조되는 물질로서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더 많이 요구된다. 또한 $\omega$3계 지방산이 필수지방산 이므로 심혈관질환의 치료 및 예방과 관련, 어느 정도 섭취 해야 하며 부족시 인체에 나쁜 영향을 막기에 충분한 양은 얼마인지에 대한 구체적 자료가 제시되어 있지는 않은 실정이라 이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되어야겠다. $\omega$3계 지방산이 심혈관질환 등에 유익한 효과를 보여주는 기전은 혈액지방 분획에 바람직한 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으로 혈액 중성지 방, 초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초저밀도지단백-중성지방 등의 감소나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의 상승을 초래하므로써 얻어 지는 효과로 보이며 이에 대한 결과가 항상 일관되게 만 보고되고 있지는 않다. 또한 $\omega$3계 지방산은 AA로부터 대사되는 혈소판 응집반응 촉진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며 항혈전생성물질의 합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omega$6/$\omega$3계 지방산의 적정한 섭취비율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omega$3계 지방산의 식이급원으로는 LNA가 풍부한 식물성유나 장쇄 불포화지방산인 EPA, DHA 등의 급원으로 생선 및 어유가 있다. LNA는 EPA와 DHA로의 전환이 일어나나 사람에서는 전환율이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며 제한적이다. 생선의 경우 비록 EPA, DHA가 타식품에 비해 풍부한 편이나 생선종류나 동일한 생선내에서도 부위별로 그 함량이 다르므로 $\omega$3계 지방산 급원으로 섭취 할 때에는 이점을 잘 고려해야 하겠다. $\omega$3계 지방산 강화식품의 연구 개발 동향은 $\omega$3계 지방산의 인체에 대한 유익한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에 힘입어 이루어진 것으로 여러 가지 식품에 정제 혹은 농축된 $\omega$3계 지방산을 첨가하는 경우와 사료에 $\omega$3계 지방산 급원을 첨가, 동물에게 이행시켜 $\omega$3계 지방산 강화식품을 제조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전자는 통조림, 과자, 건강보조식품류에 다용되며 후자는 다양한 기능성 축산식품에 활용되고 있다. $\omega$3계 지방산 강화 축산식품에는 돼지고기, 우유, 치이즈, 계란, 분유, 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식품 개발에 더욱 박차가 가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법을 이용해 생산, 시판된 제품의 현황조사에 따르면 식품별로 함량표시가 없는 제품이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에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관리면에서도 이러한 미비점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비자 입장에서도 $\omega$3계 지방산이 강화된 식품의 개발로 다양하면서도 차별화된 식품을 선택, 소비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강화식품이 아닌 $\omega$3계 지방산이 풍부한 천연식품을 일상의 식탁에서 섭취하는 대신 가공된 제품을 무차별적으로 소비하거나 첨가된 $\omega$3계 지방산 함량이 일반식품에 비해 그다지 높지 않은 경우 이들 식품의 소비가 더 이상 장점이 되지 못하므로 이들 식품 소비에만 의존하는 식생활은 지양되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