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ve leaf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live (Olea europaea L.) Leaf Extracts

  • Ko, Ki-Wan;Kang, Ho-Jin;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818-821
    • /
    • 2009
  •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reducing powder, electron donating activity,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ntimicrobial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live leaf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 were 257.48 and 92.33 mg in 100 g of olive leaf extract, respectively. The reducing power of the olive leaf extract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increasing. Electron donating activity was high in 100 ${\mu}g/mL$ treated olive leaf extract as 95.20%. The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of the olive leaf extract was 68.93 mg/g olive leaf extract. The olive leaf extracts showed relatively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Pseudomonas aeruginosa. All of the cancer cell lines including MKN45, HCT116, NCI-H460, and MCF7 have 70-81% as effectiv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Olive Leaf (Olea europaea) Powder on Laying Hens Performance, Egg Quality and Egg Yolk Cholesterol Levels

  • Cayan, Huseyin;Erener,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538-543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s of olive leaf powder on performance, egg yield, egg quality and yolk cholesterol level of laying hens. A total of 120 Lohmann Brown laying hens of 22 weeks old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birds were fed on standard layer diets containing 0, 1%, 2%, or 3% olive leaf powder for 8 weeks. Egg weight and yield were recorded daily; feed intake weekly; egg quality and cholesterol content at the end of the trial. Olive leaf powder had no effect on feed intake, egg weight, egg yield and feed conversion ratio (p>0.05) while olive leaf powder increased final body weight of hens (p<0.05). Dietary olive leaf powder increased yellowness in yolk color (p<0.01) without affecting other quality parameters. Yolk cholesterol content was tended to decrease about 10% (p>0.05). To conclude, olive leaf powder can be used for reducing egg yolk cholesterol content and egg yolk coloring agent in layer diets.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Fractions)

  • 이옥환;이희봉;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4-210
    • /
    • 2004
  • 올리브 잎의 식품 가공 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올리브 잎 80%에탄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총 페놀, 페놀성 화합물, AC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능, 항균활성 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올리브 잎 80% 에탄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81%이었고 총 페놀함량은 14.8%이었다. 부탄올층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49%로 에틸아세테이트 층(7.13%)과 함께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헥산층이 1.50%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에도 부탄올층에서 17.5%로 가장 높았고 헥산층(3.4%)과 클로로포름층 (4.3%)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올리브 잎의 주요 페놀성 물질은 oleuropein 이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 에틸아세테이트층의 oleuropein의 함량은 각각 102.11$\pm$0.02, 173.35$\pm$0.03, 152.71$\pm$0.03mg/100g으로 부탄올층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항균력은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보인 반면 헥산층과 클로로포름층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과 각각의 분획물에 대한 ACE 저해효과는 매우 약하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각각 72.8%, 76.0%와 75.4%이었고 헥산, 클로로포름 및 물층은 각각 45.8, 43.9, 47.8%의 효과를 보여 유의적으로 낮은 효과를 보였다.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Olive and Bay Leaves)

  • 이옥환;이희봉;이준수;손종연;이성갑;김현덕;김영찬;이부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03-508
    • /
    • 2005
  • 본 연구는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식품 소재화나 가공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수분함량은 각각 $3.95,\;8.50\%$이었다. 올리브 잎은 조단백질 $11.04\%$, 조지방 $7.45\%$, 조회분 $5.05\%$, 탄수화물 $76.46\%$이었고, 월계수 잎은 조단백질 $7.23\%$, 조지방 $7.21\%$, 조회분 $3.72\%$, 탄수화물 $81.84\%$이었다. 올리브 잎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1086.8\;mg\%)$와 aspartic acid$(918.8\;mg\%)$이었고, 월계수 잎은 glutamic acid$(621.2\;mg\%)$와 leucine$(558.6\;mg\%)$이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이었다. 올리브 잎의 주요 유리당은 sucrose$(1.55\%)$이었고, linolenic acid$(33.0\%)$, palmitic acid$(31.1\%)$가 조지방 중의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이었다. 월계수 잎에는 glucose$(1.54\%)$와 fructose$(0.99\%)$가 주요 유리당이었고, palmitic acid$(35.2\%)$와 linolenic acid$(17.8\%)$가 조지방중의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이었다. 무기질 함량은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 모두에서 Ca이 $929.6\;mg\%,\;836.2\;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A는 올리브 잎 5.10 mg/100 g, 월계수 잎 6.49 mg/100 g로 나타났고 비타민 C는 올리브 잎 36.64 mg/100 g, 월계수 잎 13.86 mg/100 g로 나타났다.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 모두에서 비타민 $B_1,\;B_2$, niacin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B_6$$B_{12}$은 검출되지 않았다.

올리브 잎의 적정 추출조건 및 추출물의 안정성 조사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and Stability of Olive Leaf Extract)

  • 이옥환;이희봉;이준수;이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8-18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올리브 잎의 적정 추출조건을 모색하고자 추출온도, 추출용매, 추출시간 등을 달리하여 올리브 잎 추출물들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의 추출수율,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등을 비교, 분석하며 올리브 잎의 적정 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또한, 올리브 잎 추출물의 저장 안정성을 온도 및 pH 조건에서 검토하여 올리브 잎의 식품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올리브 잎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추출하는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올리브 잎 추출물들의 고형분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추출시간의 경우, 고형분 함량과 추출 시간과의 관계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고형분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조건은 $85^{\circ}C$, 80% 에탄올, 5시간 추출한 처리구(30%)이었다.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가장 많은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을 나타낸 추출조건은 $25^{\circ}C$에서 80% 에탄올로 1시간 추출한 추출물이었으며 이때의 총 페놀 함량은 22.1%, 전자공여능은 70.5%이었다. $25,\;55,\;85^{\circ}C$에서 저장한 올리브 잎 추출물들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모두 소량의 감소치를 나타냈지만 올리브 잎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들은 비교적 열에 안정하였다. 반면, pH의 경우, 산성과 중성 조건에서는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약알칼리(pH 10) 조건에서는 약간의 감소치를, 강알칼리(pH 14) 조건에서는 급격한 감소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기능성 식품소재로 올리브 잎 추출물을 제조시 추출용매로는 80% 에탄올을, 추출시간은 1시간 내외로 저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올리브 잎 추출물을 저장시 산성 또는 중성 조건에서 저장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Xylella fastidiosa in Europe: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Current Status

  • Vojislav, Trkulja;Andrija, Tomic;Renata, Ilicic;Milos, Nozinic;Tatjana Popovic, Milovanovic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551-571
    • /
    • 2022
  • Xylella fastidiosa is xylem-limited bacterium capable of infecting a wide range of host plants, resulting in Pierce's disease in grapevine, citrus variegated chlorosis, olive quick decline syndrome, peach phony disease, plum leaf scald, alfalfa dwarf, margin necrosis and leaf scorch affecting oleander, coffee, almond, pecan, mulberry, red maple, oak, and other types of cultivated and ornamental plants and forest trees. In the European Union, X. fastidiosa is listed as a quarantine organism. Since its first outbreak in the Apulia region of southern Italy in 2013 where it caused devastating disease on Olea europaea (called olive leaf scorch and quick decline), X. fastidiosa continued to spread and successfully established in some European countries (Corsica and PACA in France, Balearic Islands, Madrid and Comunitat Valenciana in Spain, and Porto in Portugal). The most recent data for Europe indicates that X. fastidiosa is present on 174 hosts, 25 of which were newly identified in 2021 (with further five hosts discovered in other parts of the world in the same year). From the six reported subspecies of X. fastidiosa worldwide, four have been recorded in European countries (fastidiosa, multiplex, pauca, and sandyi). Currently confirmed X. fastidiosa vector species are Philaenus spumarius, Neophilaenus campestris, and Philaenus italosignus, whereby only P. spumarius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the key vector in Apulia, Italy) is also present in Americas. X. fastidiosa control is currently based on pathogen-free propagation plant material, eradication, territory demarcation, and vector control, as well as use of resistant plant cultivars and bactericidal treatments.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 평가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Olea europaea L.) Fractions)

  • 최남영;이재환;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7-2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호주산과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이화학적 특성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호주산과 스페인산 모두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2.7, 23.9%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는 물 분획물(1.5% 내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도 부탄올 분획물(18% 내외)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분획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능은 0-36.08%의 범위이었으며 모든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36.08%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제거활성은 호주산 올리브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63.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와 함께 시료를 처리하여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정도는 호주산 올리브 잎 분획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산화억제활성이 나타난 반면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경우 몇몇 분획물에서 약한 산화억제활성을 나타냈을 뿐 산화억제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발암물질인 nitrosamine 생성의 원인물질인 nitrite 제거활성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탄올 분획물은 nitrite 제거활성이 65.70, 73.10%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헥산과 물 분획물은 제거능력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Activity of the Olive Leaf (Olea europaea L. var. Kalamata) Extracts on the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 Ha, Ju-Yeon;Goo, Sun-Young;Sung, Jung-Suk;Shin, Han-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965-970
    • /
    • 2009
  • Oleuropein content of olive leaf extracts (OLE; ethanol extract) was evalua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Oleuropein contents were $4.21{\pm}0.57$, $3.92{\pm}0.43$, $0.32{\pm}0.03$, $5.76{\pm}0.32$, and $32.47{\pm}0.25$ mg/100 g for ethanol extract, and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 respectively. The removal of DPPH free radical increased in OLE and all 5 fractions of OL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OLE in vitro, 80%(v/v) ethanol OLE, $H_2O_2$, or combined treatment of 80%(v/v) ethanol OLE and $H_2O_2$ were applied on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cells. Cells were damaged by oxidative stress decreased their viability follow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 of $H_2O_2$, but co-treatment of OLE and $H_2O_2$ showed an increase in cell growth about 20% compare to the cells treated with $H_2O_2$. OLE suppresses cytotoxicity induced by $H_2O_2$ in dose dependent manner. OLE treatment on MEF cells was also examined by analyzing cell cycle and apoptotic rate using flow cytometry. Apoptotic and necrotic cell accumulation was decreased in addition of OLE to $H_2O_2$ compare to the oxidative damaged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OLE suppresses cytotoxicity induced by $H_2O_2$ and protect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on MEF cells.

A modified electrode by a facile green preparation of reduced graphene oxide utilizing olive leaves extract

  • Baioun, Abeer;Kellawi, Hassan;Falah, Ahamed
    • Carbon letters
    • /
    • 제24권
    • /
    • pp.47-54
    • /
    • 2017
  • Different phytochemicals obtained from various natural plant sources are used as reduction agents for preparing gold, copper, silver and platinum nanoparticles. In this work a green method of reducing graphene oxide (rGO) by an inexpensive, effective and scalable method using olive leaf aqueous extract as the reducing agent, was used to produce rGO. Both GO and rGO were prepared and investigated by ultraviolet and visible spectroscopy, Fourier-transform infrar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tomic force mic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cyclic voltammetry, X-ray photoelectron spectra,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powder X-ray diffraction.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수온 자극 스트레스에 대한 사료첨가제 투여 효과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diets on the water temperture stres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권문경;박상언;방종득;조병열;이상민;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3-191
    • /
    • 2003
  • 본 연구는 넙치의 수온 스트레스에 대한 사료첨가제(미역 5%, 미역 10%, 어보산 0.5%, 고추냉이 잎 2%, 고추냉이 줄기 2%)의 영향을 혈액학적, 면역학적 측면과 Edwardsiella tarda를 사용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성으로서 평가하였다. 혈장의 글루코즈와 콜티졸 농도는 1차 수온 변동 후 대조구에 비하여 미역 5%와 고추냉이잎 2%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1차 수온 변동 후 혈장 라이소자임 활성과 E. tarda의 공격 시험 후 생존율은 미역 5%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실험 결과 미역 5% 첨가 사료 투여는 넙치의 스트레스 상태에서 질병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