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gosaccharides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1초

산가수 분해법에 의한 레반 올리고당의 제조 및 유산군 생육촉진 효과 연구 (Preparation Of levan Oligosaccharides by Acid Hydrolysis and It Application in Growth of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 강태호;정성제;강순아;강기효;장은경;김승환;김철호;이상기;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37-141
    • /
    • 2002
  • 산가수분해법과 칼럼크로마토그라피법을 이용하여 레반 올리고당과 저분자량 레반을 생산하였다. 레반에 대한 산가수분해반응은 시간의존적으로 비례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다른 미생물 유래의 레반을 사용시에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레반 올리고당의 제조를 위한 최적화된 조건은 5% 레반을 0.38 M 황산, 95$^{\circ}C$, 4분간 처리하였을 때였으며, 최종생산물로 중합도 3-6의 레반 올리고당을 얻었다. 생성된 레반을 올리고당을 탄소 원으로 이용하여 두 젖산 생성균주(Lactobacillus plantaurm KCTC 3104와 Pedioccccus pentosaceus KCTC3507)의 생장배지에 첨가하고 레반 자체를 첨가한 배지와 비교시, 뚜렷한 생육촉진효과와 pH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A. oryzae와 K. fragilis 유래의 ${\beta}-Galactosidase$ 혼합처리에 의한 전이 Galactooligo당의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alactooligosaccharides Produced from Transgalactosylation with ${\beta}-Galactosidase$ of Aspergillus and Kluyveromyces)

  • 문지웅;허경택;이수원;이재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1-280
    • /
    • 1995
  • 30%(w/v)의 lactose 용액에 A. oryzae 유래의 ${\beta}-galactosidase$를 전이반응시 최적 조건 하에서의 TOS의 최적 생산량을 산출한 결과는 26.9%이었고, K. fragilus 유래의 ${\beta}-galactosidase$를 전이 반응시켰을 때는 37.0%이었으나 40%(w/v)의 lactose 용액에서 두 효소를 혼합 사용하여 비교 반응시켰을 때는 27.2%의 수율을 보였다. TOS의 생성경향은 단당류의 생성비로 보아 SOS에서는 초기에 lactose 가수분해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LOS에서는 반응초기에서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생성되었다. 또한 SLOS에서는 반응 초기에서 중기까지 oligo당의 생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반응 중기 이후에는 급속히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역분해 현상이 쉽게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열과 산에 대한 안정성에 있어서 TOS의 30% EtOH 획분과 40% EtOH 획분은 높은 내열성과 내산성을 가지며 ${\beta}-galactosidase$의 기원에 따른 30%(w/v) lactose 가수분해물의 열안정성과 내산성 시험에서는 LOS보다 SOS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actose와 효모의 첨가가 대두요구르트 발효 중 올리고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ctose and Yeast on the Changes of Oligosaccharid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 Yogurts)

  • 박미정;이숙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39-54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대두요구르트의 올리고당을 증가시키기 위해 장엽콩 및 진품콩으로 제조한 두유에 lactose를 첨가한 후 L. bulgaricus와 K. lactic를 혼합배양 하여 L. bulgaricus로 단독배양한 시료들과 비교하였다. Lactose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는 젖산발효에 의해 stachyose, raffinose, sucrose, glucose의 양이 모두 감소하였으나, lactose를 첨가하여 단독배양한 시료는 올리고당의 감소량이 lactose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보다 더 적었다. Lactose를 첨가한 장엽시료에서, 배양방법과 lactose 첨가농도별 stachyose와 raffinose의 증가량을 보면, 단독배양은 장엽두유의 양과 같거나 감소하였던 반면 혼합배양의 경우는 lactose를 2%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시료는 125.0%, 36시간 배양한 시료는 127.0% 증가하였으며 lactose를 4%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시료는 112.5%, 36시간 배양한 시료는 120%가 증가하였으므로 lactose를 2% 첨가한 장엽시료에서 올리고당의 생성량이 더 많았다. Lactose를 첨가한 진품시료에 있어서도 단독배양의 경우 진품두유보다 올리고당이 감소하였던 반면, 혼합배양의 경우는 lactose를 2%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시료는 118.0%, 36시간 배양한 시료는 141.0% 증가하였고 lactose 4%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시료는 123.0%, 36시간 배양한 시료는 135.9% 증가하였으므로, 36시간 혼합 배양한 진품시료의 경우 lactose 2% 첨가한 시료에서 올리고당의 생성량이 더 많았다. 한편 대두품종별 혼합배양에 의한 올리고당 생성량을 보면 36시간 혼합 배양시 진품시료에서 장엽시료에서 보다 올리고당의 생성량이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lactose를 첨가한 장엽 및 진품 대두요구르트의 발효과정에서 lactose가 분해되어 생성된 galactose는 효모(K. lactis)의 당전이력에 의해 sucrose와 결합하여 올리고당을 생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Streptomyces violaceoruber 유래 Alginate Lyase의 정제 및 Sodium Alginate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과 Lactobacillus spp.에 대한 생육활성 (Purification of Alginate Lyase from Streptomyces violaceoruber and the Growth Activity of Intestinal Bacteria by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lginate Hydrolysates)

  • 윤민;박영서;박귀근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03-109
    • /
    • 2017
  • DEAE sephacel anion chromatography 및 SP sepharose c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Streptomyces violaceoruber 유래 alginate ly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14.59 units/mL 정제배율 40.64배를 나타내었다. Tricine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23.3 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sodium alginate를 가수분해하여 1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와 2차 bio gel P-2 gel filtration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와 FACE를 통해 중합도를 확인하고 Timell's method에 의해 hetero type M/G-oligosaccharide 중합도 6, 8로 결정되었다. B. animalis, B. bifidum, B. breve, B. infantis, B. longum와 L. acidophilus, L. casei, L. reuteri에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6, 8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media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6, 8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6 M/G-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4.25배, D.P. 8에서 6.44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의 경우에서도 D.P. 6에서 3.27배, D.P. 8에서 5.4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B. animalis, B. breve그리고 L. casei에 있어서도 D.P. 8의 경우 3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으나, L. reuteri에 대한 D.P. 8의 경우에서는 표준 MRS media와 비교하여 0.29배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D.P. 8의 올리고당이 D.P. 6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and Fructo-oligosaccharides in Semi-purified Diets on Broilers' Performance and Caecal Microflora and Their Metabolites

  • Cao, B.H.;Karasawa, Y.;Guo, Y.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85-89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GTP) and fructo-oligosaccharides (FOS) supplement on performance, counts of caecal microflora and its metabolites production. In female broiler chickens fed on semi-purified diets from 28 to 42 d of age, dietary green tea polyphenols (GTP) and fructo-oligosaccharides (FOS) significantly reduced mortality (p<0.05). Dietary GT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tal count of caecal microflora, each colonic population count and caecal flora metabolites contents when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Dietary FOS did not influence the total count of caecal flora but it selectively increased Bifidobacteri and Eubacteria counts (p<0.05) and decreased the count of other microflora and concentrations of caecal phenols and indole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GTP and FOS in semi-purified diets can decrease mortality and change the caecal colonic flora population, but GTP shows antibiotic-like effects of non-selectively decreasing all colonic flora and then metabolites, and FOS acts selectively by increasing profitable microflora and decreasing production of caecal microflora metabolites besides volatile fatty acids.

Bacillus cereus IAM1072에 의한 올리고당 생산의 최적조건 (Optimum Production Condition of Oligosaccharide by Bacillus cereus IAM1072)

  • 이명열;정만재;이신영;강태수;이웅수;민윤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71-778
    • /
    • 1995
  • 이 연구는 Bacillus cereus IAM1072의 배양액에서 직접 올리고당을 생산하기 위해 행하였다. 올리고당 생성 배양조건은 접종비 3%, pH, 7.0, 온도 $30^{\circ}C$, 배지액량 40ml, 배양시간 24시간이었으며, 올리고당 생성에 가장 효과적인 최적 배지조성은 12% soluble starch, 1.5% perptone, 0.25% $K_2HPO_4$이었다. 생성된 올리고당 중 $G_5$ 올리고당을 정제하였다. Methylation을 한 후 GC 분석을 한 결과 $G_5$ 올리고당은 glucose 단위가 5개로 구성된 ${\alpha}-1,4-glucosidic$ 결합한 올리고당이었다.

  • PDF

Carbohydrate Structure of N- and O-linked Oligosaccharides of Human Erythropoietin Expressed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 Lee, Dong-Eok;Ha, Byung-Jhip;Kim, Suk-Joon;Park, Ji-Sook;Yoo, Ree-Ann;Oh, Myung-Suk;Kim, Hyun-Su
    • BMB Reports
    • /
    • 제29권3호
    • /
    • pp.266-271
    • /
    • 1996
  • A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EPO), expressed in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is glycosylated at Asn 24, Asn 38, Asn 83, and Ser 126. After release of the N-linked carbohydrate chains by $peptide-N^{4}-(N-acetyl-{\beta}-glucosaminyl)$ asparagine amidase F, the oligosaccharides were analyzed by FACE (Fluorophore-Assisted Carbohydrate Electrophoresis). The O-linked carbohydrate chain was separated by hydrazine, and analyzed by FACE. The monosacccharide composition of recombinant EPO showed man nose, fucose, galactose, N-acetylglucosamine, N-acetylneuraminic acid, and a trace of N-acetylgalactosamine, which are typical monosaccharides in the glycoproteins from the CHO cell. Sequences of N-linked and O-linked oligosaccharides were determined.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oligosaccharides attached to recombinant human EPO, expressed in the CHO cell, are identical to the reported oligosaccharide structure in human EPO isolated from urine.

  • PDF

Lipomyces starkeyi와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혼합배양에 의한 올리고당과 Dextran의 생성 및 생성당의 특성 연구 (Development of a Mixed-culture Fermentation Process and Characterization for New Oligosaccharides and Dextran Using Lipomyces starkeyi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 허수진;김도만;이인수;장판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4-310
    • /
    • 1999
  • We have developed a new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ew structure oligosaccharides using the mixed-culture fementation of Lipomyces starkeyi KSM22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MCM.L.starkeyi KSM22 produces a novel DXAMase(an enzyme containing both dextranase and amylase activities). It hydrolyzes the soluble starch and dextran. The hydrolyzates were used as acceptors for dextransucrase of L.mesenteroides to synthesize the new oligosaccharides(NOS). In fermentation, as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was increased from 9%(w/v) to 15%(w/v), the yields of dextran(sum of dextran I, MW=66kD, and dextran II, MW=21kD) was increased from 12.7% to 42.5%, and NOS was increased from 3.9% to 5.2% of the theoretical, respectively. The NOS of dp(degree of polymerization) 5 and over was increased from 33.1% to 58.3% of the total NOS. The NOS showed heat resistant up to 12$0^{\circ}C$ and was stable at pHs ranged from 2 to 6. The NOS decreased the pH changes in the culture of S. mutans, and also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S. aureus or S. typhimurium.

  • PDF

Bacillus subtilis의 mannanase에 의한 갈락토만난과 만노올리고당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Galactomannan and Manno-oligosaccharides by A Bacillus subtiis Mannanase)

  • 권민아;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7-351
    • /
    • 2004
  • Hydrolysis of manno-oligosaccharides and galactomannan was studied with the purified Bacillus subtilis WL-7 mannanase from recombinant Eschericoli. The predominant products of hydrolysis were mannose, mannobiose and mannotriose. The enzyme could hydrolyze $\beta$-1 A-linked manno-oligosaccharides larger than mannobiose, but was not active on mannobiose. When the mannanase hydrolyzed manno-oligo saccharides of degree of polymerization(DP) 4-6, it was more active on the substrate of higher DP. Based on analysis of transient reaction products by TLC, the enzyme was found to have a preference for internal $\beta$-IA-mannosidic linkages, which are the central mannosidic bond of mannotetraose and the two middle mannosidic bonds of mannopentaose. The $\beta$-l A-mannosidic bonds situated at the second and fourth positions from the nonreducing end of mannohexaose were preferenhydrolyzed by the mannanase. Locust bean gum(LBG)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with higher efficiency than guar gum, resulting that amount of reducing sugars was liberated more efficiently from LBG than guar gum with same activity of mannan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