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76건 처리시간 0.038초

벼 종실의 휴면 관련 성분과 휴면성 및 수발아성과의 관계 (Chemical Components Related with Seed Dormancy and Viviparous Germination in Rice)

  • 김용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3-119
    • /
    • 1995
  • 본 실험은 벼종실의 휴면성 관련성분과 휴면성 및 수발아성성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시행되었으며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후 20일과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현미 중 Sucrose 함량은 모두 자포니카형 품종이 샤레형, 통일형 및 인디카형 품종들보다 높았고, 자포니카형 품종에서는 모두 시기간에 그 함량의 변이도 작았다. 출수후 20일 및 40일의 현미 Sucrose의 함량과 수발아율은 정의 상관이 확정었다. 2. 출수 후 20일 및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현미에 함유한 지방산 조성은 자포니카 형이나 샤레형 품종들 보다 통일형 및 인티카형 품종들에서 Oleic acid의 비율이 높은 반면 Linoleic acid의 비율이 낮았으며, 종실의 수발아성은 Oleic acid의 조성비와 부의 상관, 그리고 Linoleic acid 비율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출수 후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주야 25/15$^{\circ}C$ 변온 조건과 4$^{\circ}C$의 저온 조건에 각각 30일간 저장한 후 왕겨에 함유된 ABA함 량을 조사한 것보다 그 함량이 낮았으며, 수발아성성이 높은 자포니카형 품종들이 수발아성이 낮은 통일형이나 인디카형 품종들 보다 ABA 함량이 크게 낮았다.

  • PDF

Differential effec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on vascular reactivity in isolated mesenteric and femoral arteries of rats

  • Vorn, Rany;Yoo, Hae 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5호
    • /
    • pp.403-409
    • /
    • 2019
  • Free fatty acid (FFA) intake regulates blood pressure and vascular reactivity but its direct effect on contractility of systemic arteries is not well understoo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aturated fatty acid (SFA, palmitic aci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linoleic aci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oleic acid)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mesenteric (MA) and deep femoral arteries (DFA) of Sprague-Dawley rats. Isolated MA and DFA were mounted on a dual wire myograph and phenylephrine (PhE, $1-10{\mu}M$) concentration-dependent contraction was obtained with or without FFAs. Incubation with $100{\mu}M$ of palmitic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PhE-induced contraction in both arteries. In MA, treatment with $100{\mu}M$ of linoleic acid decreased $1{\mu}M$ PhE-induced contraction while increasing the response to higher PhE concentrations. In DFA, linoleic acid slightly decreased PhE-induced contraction while $200{\mu}M$ oleic acid significantly decreased it. In MA, oleic acid reduced contraction at low PhE concentration (1 and $2{\mu}M$) while increasing it at $10{\mu}M$ PhE. Perplexingly, depolarization by 40 mM KCl-induced contraction of MA was commonly enhanced by the three fatty acids. The 40 mM KCl-contraction of DFA was also augmented by linoleic and oleic acids while not affected by palmitic acid. SFA persistently increased alpha-adrenergic contraction of systemic arteries whereas PUFA and MUFA attenuated PhE-induced contraction of skeletal arteries. PUFA and MUFA concentration-dependent dual effects on MA suggest differential mechanisms depending on the types of arteri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various effects of FFA on systemic arteries.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부위 및 생육시기별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by Various Developmental Stage and Fruit Body Section in Pleurotus ostreatus)

  • 류영현;이숙희;조우식;윤재탁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11
    • /
    • 2000
  • 느타리버섯(원형1호 느타리) 자실체의 부위별로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 linoleic acid는 갓부위에서 가장 높았고 대부위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stearic acid와 palmitic acid는 대부위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생육시기별 지방산조성은 oleic acid의 경우 버섯원기형성 후 $11{\sim}12$일 까지는 점차 증가하다가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linoleic acid와 불포화지방산대비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원기형성 후 $3{\sim}4$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LCFA on the Gas Production, Cellulose Digestion and Cellulase Activities by the Rumen Anaerobic Fungus, Neocallimastix frontalis RE1

  • Lee, S.S.;Ha, J.K.;Cheng, K.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8호
    • /
    • pp.1110-1117
    • /
    • 2001
  • Responses of the rumen fungus, Neocallimastix frontalis RE1, to long chain fatty acid (LCFA) were evaluated by measuring gas production, filter paper (FP) cellulose digestion and polysaccharidase enzyme activities. LCFA (stearic acid, $C_{18:0}$; oleic acid, $C_{18:1}$; linoleic acid, $C_{18:2}$ and linolenic acid, $C_{18:3}$) were emulsitied by ultrasonication under anaerobic condition, and added to the medium. When N frontalis RE1 was grown in culture with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 the cumulative gas production, gas pool size, FP cellulose digestion and enzymes activitie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t some incubation times(especially, exponential phases of fungal growth, 48~120 h of incubation) relative to that for control cultures. However, the addition of linolenic acid strongly inhibited all of the investigated parameters up to 120 h incubation, but not after 168 and 216 h of incub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s tended to have great stimulatory effects on fungal cellulolysis, whereas linolenic acid caused a significant (p<0.05) inhibitory effects on the cellulolysis by the rumen fungus. These results are the first report of the effect of LCFAs on the ruminal fungi.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mode of action of LCFAs on fungal strains and to verify whether or not ruminal fungi have ability to hydrate unsaturated LCFAs to saturated FAs.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cumulative in vitro gas production and fungal growth (94.78%), FP cellulose degradation (96.34%), CMCase activity(90.86%) or xylanase activity (87.67%). Thus measuring of cumulative gas production could be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fungal growth and/or enzyme production by ruminal fungi.

인삼(人蔘)의 부위별(部位別)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Various Parts of Ginseng Plant)

  • 최강주;김만욱;김동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7-363
    • /
    • 1983
  • 인삼(人蔘)의 근부(根部)(뇌두(腦頭), 표피(表皮), 동체피층(胴體皮層), 동체내층(胴體內層), 지근(支根), 세미(細尾))와 지상부(地上部)(과육(果肉), 종자(種字), 경(莖), 엽(葉))의 부위별(部位別) 지방질의 함량과 그 구성지방산을 조사하였다. 9부위(部位)의 유리지질(遊離脂質)과 결합지질(結合脂質)을 합한 총 지방질 함량은 0.91~3.48%였으나 종자(種子)는 15.08%로 다른 부위(部位)에 비하여 그 함량이 대단히 높았다.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14종(種)의 짝수지방산과 4종(種)의 홀수지방산을 분리, 정량하였으며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였다. 부위별(部位別) 지방산 조성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특히 종자(種子)는 부위(部位)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10종(種)의 지방산만이 동정되었고 oleic acid와 linoleic acid(51.21%와 37.46%)가 다른 부위(部位)들보다 상당히 많았다. 또한 종자(種子), 동체내층(胴體內層) 및 동체피층(胴體皮層)에 함유된 유리지질(遊離脂質)은 다른 부위(部位)의 지방질(脂肪質)에 비하여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았다.

  • PDF

Non Destructive Fast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in Sesame

  • Kang, Churl-Whan;Kim, Dong-Hwi;Lee, Sung-Woo;Kim, Ki-Jong;Cho, Kyu-Chae;Shim, Kang-B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83-291
    • /
    • 2006
  • To investigate seed non destructive and fast determination technique utiliz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for screening ultra high oleic (C18:1) and linoleic (C18:2) fatty acid content sesame varieties among genetic resources and lines of pedigree generations of cross and mutation breeding were carried out i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150 among 378 landraces and introduced cultivars were released to analyse fatty acids by NIRs and gas chromatography (GC). Average content of each fatty acid was 9.64% in palmitic acid (C16:0), 4.73% in stearic acid (C18:0), 42.26% in oleic acid and 43.38% in linoleic acid by GC. The content range of each fatty acid was from 7.29 to 12.27% in palmitic, 6.49% from 2.39 to 8.88% in stearic, 12.59% of wider range compared to that of stearic and palmitic from 37.36 to 49.95% in oleic and of the widest from 30.60 to 47.40% in linoleic acid. Spectrums analyzed by NIRs were distributed from 400 to 2,500 nm wavelengths and varietal distribution of fatty acids were appeared as regular distribution. Varietal differences of oleic acid content good for food processing and human health by NIRs was 14.08% of which 1.49% wider range than that of GC from 38.31 to 52.39%. Varietal differences of linoleic acid content by NIRs was 16.41% of which 0.39% narrower range than that of GC from 30.60 to 47.01%. Varietal differences of oleic and linoleic acid content in NIRs analysis were appeared relatively similar inclination compared with those of GC.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PLSR) among multiple variant regression (MVR) in NIRs calibration statistics was carried out in spectrum characteristics on the wavelength from 700 to 2,500 nm with oleic and linoleic acids. Correlation coefficient of root square (RSQ) in oleic acid content was 0.724 of which 72.4 percent of sample varieties among all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570 percent of standard error when calibrated (SEC) which were considerably acceptable in statistic confidence significantly for analysis between NIRs and GC. Standard error of cross validation (SECV) of oleic acid was 0.725 of which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725 percent standard error among the samples of mother population between analyzed value by NIRs analysis and analyzed value by GC. RSQ of linoleic acid content was 0.735 of which 73.5 percent of sample varieties among all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643 percent of SEC. SECV of linoleic acid was 0.711 of which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711 percent standard error among the samples of mother population between NIRs analysis and GC analysis. Consequently, adoption NIR analysis for fatty acids of oleic and linoleic instead that of GC was recogniz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NIRs and GC analysis through not only majority of sample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negligible SEC but also SECV. For enlarging and increasing statistic significance of NIRs analysis, wider range of fatty acids contented sesame germplasm should be kept on releasing additionally for increasing correlation coefficient of RSQ and reducing SEC and SECV in the future.

맥아제조시 유리.결합 및 중성 지질의 변화 (Changes in the Free, Bound and Neutral Lipids of Malt during Malting)

  • 신승렬;송준희;김광수;박정륭;이갑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46-351
    • /
    • 1986
  • 이조대맥의 맥아제조시 유리 및 결합지질과 중성지질의 함량변화와 구성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이조대맥의 지질함량 27.9mg/g-d.w.중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이 각각 22.6, 5.3mg/g-d.w.으로서 유리지질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맥아제조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다 같이 감소하였다. 2. 이조대맥의 중성지질의 함량은 21.0mg/g-d.w.으로서 전지질의 75% 정도 차지하였으며, 맥아제조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3. 이조대맥의 주지질인 중성지질의 조성은 triglyceride가 54.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free fatty acid, free sterol, 1,2-diglyceride, 1,3-diglyceride순이었고, 이들 중 triglyceride는 발아기간중 감소하였으며, free fatty acid와 sterol ester는 증가하였다. 4. 유리지질 및 결합지질의 구성지방산은 다같이 linoleic acid가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palmitic acid, oleic acid 등이 주지방산이었다. 그리고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는 발아기간 중 증강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palmitic acid는 유리지질에서 증가하는 반면에 결합지질에서는 감소하였고, oleic acid는 유리지질에서 감소하는 반면 결합지질에서 변화하지 않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중성지질의 구성지방산 조성은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은 다같이 linoleic acid가 주지방산이었고 다음으로 palmitic acid, oleic acid순이었다. 발아과정중의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증가하는데 비하여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나 stearic acid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한우 등심의 지방산 유전특성 분석을 위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Characterization of Carcass Traits and Fatty Acid in Hanwoo)

  • 김현권;선두원;주선태;이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4호
    • /
    • pp.55-59
    • /
    • 2019
  • 한우는 도체형질의 개량으로 높은 개량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우의 육질은 등급이 높을수록 식감과 맛이 좋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가격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식육에서 맛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크게 작용하는 부분 중 하나가 풍미이다. 식육의 풍미는 열처리를 통해 발현되고 풍미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성분은 지방, 탄수화물 및 수용성 비단백질 물질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지방산의 특성을 알아보고 높은 가치의 식육 생산을 위한 개량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한우 후대검정우 373두의 등심을 채취하여 지방산과 도체형질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의 성적은 각각 383.73 kg, 83.88 ㎠, 10.91 mm, 3.89로 나타났고 한우 등심의 oleic acid (C18:1)와 Linolenic acid (C18:3)의 조성비율은 각각 48.08%와 0.11%로 나타났다. Oleic acid의 유전력은 0.726으로 추정되었고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와의 표현형 상관이 각각 0.105와 0.141로 추정되었다. 근내지방도와 배최장근단면적의 표현형은 Oleic acid와 정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두 형질의 개량은 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의 증가에도 영향을 미쳐 우수한 풍미를 가진 개체가 생산될 확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카멜리나 (Camelina sativa L. cv. CAME)로부터 3 microsomal delta-12 fatty acid desaturase 유전자들의 분리 및 기능 분석 (Isol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ree microsomal delta-12 fatty acid desaturase genes from Camelina sativa (L.) cv. CAME)

  • 김효진;고영삼;김용휘;이상협;김경남;이긍주;김기준;서미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46-158
    • /
    • 2014
  • 카멜리나(Camelina sativa)는 십자화과(Brassicaceae)에 속하는 유지작물이다. 카멜리나 종자에는 건물 중의 약 40%에 해당하는 저장 오일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저장오일은 식품뿐만 아니라 산업재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Microsomal delta-12 fatty acid desaturase2 (FAD2) 효소는 oleic acid를 linoleic acid로 전환시키는데, 종자 내 oleic acid의 함량 차이를 보이는 품종들에서 FAD2 유전자의 polymorphism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카멜리나(Camelina sativa L. 품종 CAME)에 존재하는 3개의 FAD2 유전자를 발달하는 종자로부터 분리하였다. 3개의 카멜리나 FAD2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은 카멜리나 품종 Sunesone과 SRS933으로부터 확인된 FAD2 유전자들과 여러 단자엽 및 쌍자엽 식물의 FAD2 유전자들의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과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FAD2 효소의 활성을 결정짓는다고 알려진 histidine motif (HECGHH, HRRHH 그리고 HVAHH)와 효소 활성에 영향을 주는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라고 알려진 소수성 아미노산 계열인 valine 혹은 isoleucine이 3 개의 카멜리나 FAD2에서도 잘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개의 카멜리나 FAD2 유전자들 중 CsFAD2-1의 경우 카멜리나의 발달하는 조직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발현 양상을 보이는 반면 CsFAD2-2와 CsFAD2-3.1은 꽃과 발달하는 종자에서 특이적인 발현을 보였다. 애기장대 fad2-2 돌연변이체에 3개의 카멜리나 FAD2를 각각 도입한 형질전환 식물체의 종자에는 애기장대 fad2-2 돌연변이체 종자대비 oleic acid의 함량이 감소하고, linoleic acid 함량은 증가하는 표현형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카멜리나로부터 분리된 3개의 FAD2가 효소로서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분리된 카멜리나의 FAD2 유전자는 종자 오일 성분이 변화된 유지작물을 개발하는데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활성탄의 첨가가 계육의 지방산, 육색 및 무기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s of Supplemental Activated Carbon on the Fatty Acid, Meat Color and Minerals of Chicken Meat)

  • 박창일;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5-291
    • /
    • 2001
  • 본 연구는 활성탄을 사료에 첨가하여 그 첨가수준(0, 0.6, 0.9, 1.2%)에 따라 계육의 지방산 조성, 육색, 무김루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broiler 48수를 공시하여 6주간 실험하였으며 특히 지방산과 무기물의 함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대조구에 비해서 활성탄 0.6, 0.9%의 첨가구에서 oleic acid, arachidonic acid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5), 또한 활성탄 첨가수준에 따라 L*, a*, b* 값의 변화는 없었고, a* 값은 부위에 따라 유의성에 인정되었다(p<0.05). 활성탄 첨가수준에 따른 무기물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활성탄 첨가수준에 따른 무기물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활성탄 첨가구에서 Ca, Mg, P 함량이 많았으며(p<0.05) 총 무기물 함량은 활성탄 첨가구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활성탄을 첨가하면 지방산은 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 그리고 총무기물함량이 많아지는 경향이라고 결론 지을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