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amid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5초

Dietary Ziziphus jujuba Fruit Influence on Aberrant Crypt Formation and Blood Cells in Colitis-Associated Colorectal Cancer Mice

  • Periasamy, Srinivasan;Liu, Chung-Teng;Wu, Wang-Hung;Chien, Se-Ping;Liu, Ming-Yi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561-7566
    • /
    • 2015
  • Ziziphus jujuba (ZJ) fruit is rich in bioactive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polysaccharides, triterpenoid acid, flavonoids and oleamide. It has been commonly us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diabetes, digestive disorders, diarrhea, skin infections, liver and urinary diseases. However, its dietary effect on chemoprevention of colon cancer has never been studied.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dietary ZJ on colitis-associated colon carcinogenesis in azoxymethane (AOM)-dextran sodium sulphate (DSS)-treated mice. AOM was injected (10 mg/kg b.wt., i.p.) and three cycles of 2% DSS in drinking water for 7 days with 14 days of normal drinking water in-between was administered to induce colitis-associated colon cancer. ZJ fruit was supplemented in feed as 5 and 10%. Dietary ZJ significantly attenuated aberrant crypt foci (ACF) formation thereby decreasing the progression of hyperplasia to dysplasia. In addition, it significantly reduced circulating white blood cells, lymphocytes, neutrophils, monocytes, eosinophils, basophils and platelets compared to colon cancer mice. We conclude that ZJ supplementation delayed the progression of colon cancer from hyperplasia to dysplasia and ultimately adenocarcinoma and cancer. In addition, it decreased circulating tumor-related leucocytes, main regulators of cancer inflammation. Therefore, dietary consumption of ZJ fruit attenuated the formation of ACF and delayed the progression of colon cancer.

제조방법에 따른 떫은감 (Diosyros kaki Thumb.)의 대사체 프로파일링과 중성지질/콜레스테롤 대사 관련 유전자발현 연구 : in vitro 및 in vivo 연구 (Metabolites profiling and hypolipidemic/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persimmon (Diosyros kaki Thumb.) by different processing procedures: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 박수연;오은경;임예니;신지윤;정희아;박송이;이진희;최정숙;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4호
    • /
    • pp.275-286
    • /
    • 2018
  • 본 연구는 떫은감 청도반시의 분말을 열수 추출하고 칼럼 추출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PWE와 TEP에 대한 대사체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유리지방산을 처리한 HepG2 세포와 식이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Wistar계 흰쥐의 간조직을 사용하여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대사체 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과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PLS-DA 분석과 heatmap 분석을 실시한 결과 PWE는 떫은감 분말과 비교적 유사한 대사체 프로파일을, 그리고 TEP는 떫은감 분말과 매우 다른 대사체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포실험과 또한 세포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동물실험에서 PWE와 TEP는 모두 SREBP1c와 FAS 유전자 발현을 감소하여 간의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은 PWE에 비해 TEP에서 우세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별히 TEP는 SREBP2, HMGCR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LDLR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P는 탄닌 중 Gallic acid 그리고 장쇄지방산아미드인 Oleamide와 Palmitamide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므로, 향후 이들 성분과 타깃 유전자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네트워크로 나타내어 대사체 프로파일에 따른 지질 및 콜레스테롤 대사 간 상호 영향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