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adults

검색결과 1,739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71-48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분석 결과, 최종 16개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경향은 모두 인지강화를 주목적으로 하되 국내연구는 운동요법 등의 신체적 활동보다 음악치료와 웃음요법 등의 정서적 활동이 병합된 경우가 많은 반면, 국외연구는 정서적 활동보다는 신체적 활동을 병합한 연구가 많았다. 중재 프로그램 효과는 결과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일차적 변수는 인지기능과 우울로 나타났고, 이차적 변수는 신체적 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중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학제적 접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among Older Adults: Using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 Boo, Sunjoo;Han, Young Ran;Choi, Hye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spc호
    • /
    • pp.549-56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among older adults.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the 2017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67,532 older adults. The individual level data set was combined with regional-level factors from the administrative data released on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site. Distribution of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in 254 public health centers were calculated using sampling weights and presented as percentages.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Results: Overall, 21.1% of subjects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good, ranging from 9.3% to 39.4% by region. The prevalence of multimorbidity was 15.9%, and varied between 6.6% and 22.6% by region. At the individual level, perceived good health was associated with men, younger age, higher educational levels, higher income levels, and those married and living with a partner and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At the regional level, higher rates of health center personnel among public officials and higher levels of financial independence were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Multimorbidity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healthy lifestyle, and higher rates of health center personnel among public officials. Conclusion: Regional factors such as health care personnel and local economy could affect population health. Our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to promote good health among older adults and reduce the health gap by region.

공공도서관 노인서비스 공간 구성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Spatial Composition Strategy for Older Adults in the Public Library)

  • 배경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55-170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이 노인이용자에게 편리한 여가시설이자 세대를 통합하는 공간적 기능을 지닌 사회적 기관으로서 인식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도서관의 공간 및 시설 설계에 대한 시사점과 전략을 찾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며, 이를 위해 해외 도서관 노인서비스 공간·시설 관련 주요 지침을 분석하여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서관 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노인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조사를 수행하여 노인을 위한 공간·시설 조성 시의 기준과 우선순위 등을 규명하고, 그 결과 공공도서관이 노인서비스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개방형 노인서비스 공간'과 '통합형 노인서비스 공간'을 제언하였다.

한국과 미국 고령자의 복지기술 사용의도 차이 연구: 기술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Use of Welfare-Technology among Older Adults between Korea and the U.S.: Focusing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김정근;강석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21-4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별 차이가 고령층의 복지기술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과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과 미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 총 334명(한국 154명, 미국 180명)을 대상으로 복지기술에 대한 지각된 편이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태도, 사용의도의 직접 및 간접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고령층은 '지각된 유용성'이 '사용태도'에 미치는 영향(0.74, p<0.001)이, 미국 고령층은 '지각된 편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0.75, p<0.001)이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두 국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장기적 지향성(Long-term Orientation)에 대한 두 국가 간 문화적 차이가 고령자 기술사용의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간 고령자의 복지기술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활용방안의 차이와 정책적 함의들을 제시하였다.

하지 근력 강화 운동이 중기 여성 노인의 균형과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Balance and Fall Efficacy in Middle Older Adults Women)

  • 염순교;이종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21-427
    • /
    • 2022
  • 본 연구는 하지 근력 강화 운동이 중기 여성 노인(75~84세)의 균형과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여성 중기 노인 34명의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산출하였고, 프로그램 전·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주 2회, 1회 30분씩, 7주 동안 하지 근력 강화 운동을 제공한 결과 대상자의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 그리고 낙상 효능감이 유의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하지 근력 강화 운동이 중기 여성 노인의 균형 능력과 낙상 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우리는 본 연구에서의 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초기 및 후기 노인들은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하지 근력 강화 운동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과 남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성별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ICT 활용 방문간호서비스가 재가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CT Enhanced Home-visit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유근주;신진희;조은희;홍석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2
    • /
    • 2022
  • Purpose: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ICT enhanced home-visit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data of 131 older adults who had experienced a pilot service for ICT enhanced home-visit nursing. ICT enhanced home-visit nursing refers to a method of sharing health records and teleconference between a visiting nurse and a doctor during the home-visit nursing services to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by t-tes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a 17/SE program. Results: After a pilot service for ICT enhanced home-visit nursing,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creased. The teleconferencing meth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a pilot service for ICT enhanced home-visit nursing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community-based healthcare service model in terms of health management. In the future, the advanced service model of a pilot service for ICT enhanced home-visit nursing in which subjects conduct detailed for each health problem, and a well-designed evalu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Application of Decision Tree to Classify Fall Risk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Data and Clinical Measurements

  • Junwoo Park;Jongwon Choi;Seyoung Lee;Kitaek Lim;Woochol Joseph Cho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2-109
    • /
    • 2023
  • Background: While efforts have been made to differentiate fall risk in older adults using wearable devices and clinical methodologies, technologies are still infancy. We applied a decision tree (DT) algorithm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 data and clinical measurements to generate high performance classification models of fall risk of older adults. Objec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odel of fall risk using IMU data and clinical measurements in older adults. Methods: Twenty-six older adults were assessed and categorized into high and low fall risk groups. IMU sensor data were obtained while walking from each group, and features were extracted to be used for a DT algorithm with the Gini index (DT1) and the Entropy index (DT2), which generated classification models to differentiate high and low fall risk groups. Model's performance was compared and presented with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7.8%, 80.0%, and 66.7%, respectively, for DT1; and 72.2%, 91.7%, and 33.3%, respectively, for DT2.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fall risk classification using IMU sensor data obtained during gait has potentials to be developed for practical use. Different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volving larger data set should be warranted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고령층 특성을 반영한 실감 영상 콘텐츠 개발: 멀티 디스플레이 영상 구현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Reality Image Cont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Display Images)

  • 문대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1-8
    • /
    • 2023
  • 노인을 위한 문화·여가 활동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문화·여가 활동 중 TV 방송과 온라인 미디어 시청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실감 영상을 이용한 양질의 서비스 요구도 커지고 있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중화 되어 가격이 예전에 비해 저렴해지고 있으며 다면 영상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이 반영된 고해상도 다면 영상은 보기 쉽지 않다. 이번 연구는 고령층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멀티스크린을 이용한 콘텐츠 제작 모델과 접근성이 가능한 촬영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감 영상 기술을 활용한 노인 문화·여가 활동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개발함으로써 고령 친화 산업 육성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의 상대적 악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제활동과 사회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lative Handgrip Strength on Cognitive Function: The Moderating Roles of Paid Employment Status and Social Activities)

  • 최명진;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549-567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상대적 악력과 인지기능 간 관계를 경제활동과 사회참여가 조절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2016년 제 6차 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두 손 모두 수술 및 외상 경험이 없고 악력이 측정 가능한 상태인 총 3,376명을 선정하였다. 모든 인구를 대표하기 위해 횡단 가중치를 적용하였고 통제변수, 독립변수, 조절변수와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상대적 악력이 인지기능에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경제활동과 사회참여도 인지기능에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한 노인의 경제활동과 사회참여가 각각 노인의 악력과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악력이 낮더라도 경제활동과 사회참여를 할수록 인지기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 활동과 사회참여에 따른 활동적 노화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한국 노인의 가구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 (The Role of Niacin Intak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장의미;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47-859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를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포함된 65세 이상 노인 총 1,63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가중치를 적용 후, SPSS 24.0을 이용하여 Two-way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증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아신(Niacin) 섭취량 역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인의 가구소득 수준에 따른 우울증상의 차이를 줄이고, 노년기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나이아신(Niacin)과 같은 영양소 섭취의 중재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