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 hen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7초

차아염소산나트륨 세척 및 진공 포장이 노계 가슴육의 냉장 저장 중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shing of Carcasses with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and Vacuum Packaging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ochemical Quality of the Breast Meat from Old Hen during Storage at 4℃)

  • 나재천;김선효;정사무엘;이수기;강환구;최희철;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7-336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노계육(산란노계, 환우계 및 종계)의 우수한 저장성 확보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차아염소산나트륨 세척 및 진공 포장 방법이 $4^{\circ}C$ 냉장 저장 중 노계가슴육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계육을 물 또는 5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 세척 후 가슴육의 가열 감량과 조직감 분석 결과, 노계 종류 및 세척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노계육을 물 또는 5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세척 후 가슴육을 함기 또는 진공 포장하여 $4^{\circ}C$ 냉장 저장하면서 가슴육의 총 호기성 미생물을 측정한 결과, 식육의 부패 기준이 7 Log CFU/g 임을 고려하였을 때 차아염소산나트륨 세척 또는 진공 포장단일 처리에 의해 노계 가슴육을 7일 이상 저장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차아염소산나트륨 세척 및 진공 포장 병용처리 시 14일 이상의 저장 기간을 확보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노계 가슴육을 진공 포장하여 저장하였을 때 노계 가슴육의 VBN 함량이 저장 7일 후에도 식육의 부패기준인 20 m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지방 산패 또한 함기포장 처리구에 비해 억제됨이 확인되었다. 저장 중 노계 가슴육의 pH는 저장 기간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노계 종류에 따른 차이가 컸고, 진공 포장하였을 때 증가가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노계육을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세척 후 진공 포장하여 냉장 저장 시 노계육의 우수한 저장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란계사의 계란 이송단계에 따른 파란발생 실태분석 (Analyses on the Status of Eggshell Breakage in the Step of Egg Conveyer System of the Laying Hen House)

  • 오권영;유병기;노진상;최동수;최광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2
    • /
    • 2008
  • 1. 조사농장의 산란율은 하이라인, 이사브라운 모두 $85{\sim}93%$ 수준 이였으며, 농가자체 파란율은 하이라인 $1.5{\sim}2.2%$, 이사브라운 $1{\sim}1.4%$이었다. 2. 계란 이송단계별 파란발생비율은 집란벨트 4.7%> 엘리베이터 2.5%> 선란기 1.7%> 컨베이어 0.9% 순 이었다. 3. 집란벨트에서 엘리베이터로 이송 중 계란이송가이드를 설치할 경우 약 1%의 파란경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하이라인 브라운은 주령이 높아지면서 파란율은 높아지고, 파각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계수 분석 유의성은 $R^2=0.7$로 파각력의 변화가 파란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이사브라운에서는 환우 전에 비하여 환우 후 파각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6. 난각 두께와 파각력, 그리고 접촉 후 파각변위와 파각력과의 관계에서 이들 함수의 변수간에 회귀관계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닭의 산란연령에 따른 자궁내막조직의 변화 및 난각 관련 유전자의 발현양상 (Histological Change of Uterus Endometrium and Expression of the Eggshell-related Genes according to Hen Age)

  • 박지애;조은정;박정연;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28
    • /
    • 2017
  • 계란의 난각은 닭의 자궁에서 형성되는 복잡하고 고도화된 다층 석회화 구조이다. 본 연구는 닭의 산란연령에 따른 자궁내막조직의 변화 양상과 난각 형성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난각 형성과 관련하여 난각 단백질과 관련한 OCX-32, OCX-36, OC-17, OC-116 유전자와 난각 이온과 관련한 CALB1, SPP1, SCNN1G, ATP2A2, CA2, CALM1 유전자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궁내막조직의 현미경적 관찰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궁 섬모상피세포의 탈락 및 세포의 위축과 섬유화 진행양상이 심화되었다. 그러나 연령 증가에 따른 혈중 이온성분의 농도차이는 없었다. 자궁내막 상피세포의 텔로미어 함량 분석 결과, 산란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텔로미어 함유율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난각 형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은 산란연령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일부 난각 단백질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은 산란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양상을 보였으나, 이들 유전자들 간의 상호 관련성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난각 형성 이온 관련 유전자인 ATP2A2, SCNN1G, CA2, CALM1 유전자 간에는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각 단백질 관련 OCX-32 및 OCX-36 유전자는 대부분의 이온 관련 유전자들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OCX-32, OCX-36, CALB-1, ATP2A2, SCNN1G, CA2 및 CALM1유전자들이 난각 형성에 상호 협력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산란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궁내막세포의 손상이 일어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난각을 형성할 수 있는 이유는 난각 단백질 및 난각 형성 이온 관련 일부 유전자들이 발현을 조절하여 난각 형성의 항상성 유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용 환자복 디자인 개발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Child Hospital Gown)

  • 서동애;천종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54-864
    • /
    • 1997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velop a uniform design suitable for child inpatients. The experimental hospital inpatient uniform design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ior studies. The panel was composed of 5 experienced nurses and 5 clothing specialists. They evaluated the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inpatient uniform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hospital gown design was reformed based on the panel's evaluation.1'hen the child inpatients performed the wear test for the reformed experimental hospital gow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ild inpatient hospital gown design of the most hospitals were similar to the adult patient's uniform : the V-neckline shirts with full length set-in sleeves. The bottom was full length pull-on pants. The fabric was white cotton with blue hospital logo and stripe print in most cases. 2. The panel's specialty affected the evaluation of the uniform design. The nurses concerned about the durability after washing and ease for medical treatment. The clothing specialists cared about the features related to the clothing construction and ease for physical movement of body. 3. The most preferred hospital inpatient uniform design by the panels was the shirts or one- piece gown with three-quarter length sleeve and overarm seam opening. 4. The researchers developed one-piece dress gown for the children under two years old. Three different size pajamas were developed for children 2∼5 years old,5∼8 years and 8∼12 years old.

  • PDF

어미닭의 나이, 계란의 저장기간 및 부화중 난중의 변화가 육용계 병아리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ge of Hens, Egg Storage, and the Change of Egg Weight during Incubation on the Growth of Broiler Chicks)

  • 석윤오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9-306
    • /
    • 2004
  • 본 연구는 어미닭의 나이, 계란의 저장기간 및 부화중 난중의 변화가 병아리의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용종계 Cobb종으로부터 산란초기 계군($27\~28$주령)과 산란중기 계군($51\~52$ 주령)으로부터 종란을 수집하여 $10^{\circ}C$에서 6일간 계란을 저장(Young-EXP 혹은 Old-EXP 그룹)하거나, 부화기 입란 당일에 수거(Young-CON혹은 014-CON그룹)하여 부화시킨 4-그룹의 병아리(female 11수 + male 12수/그룹)를 6주 동안 평사에서 사육하였다. 산란중기 두 그룹(old-CON, old-EXP)상호간 입란시 난중의 차이는 1 g정도였는데 비해서, 산란초기 두 그룹(Young-CON, Young-EXP) 상호간 입란시 난중의 차이는 2.9 g정도(P<0.05)로 산란중기보다 산란초기에 일령의 증가에 따라 난중의 변화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입란시 난중에 대한 부화 18일경 난중의 감소 비율($\%$)은 그룹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 부화기간(21일간)의 난중 감소 비율($\%$)은 산란초기 그룹들보다 산란중기 그룹들이 유의하게(P<0.05) 더 컸다. 산란중기 계군들은 산란초기 계군들보다 부화시 체중이 평균 8.7g정도 유의하게(P<0.05) 더 무거웠으나, 시험종료시인 6주령시 체중은 4-그룹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대부분 모든 주령의 체중에 있어서 계란의 저장기간 상호간에도 두 계군 모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도체율에 있어서도 계란의 저장기간 또는 어미자의 나이 상호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며, 입란시 난중과 부화 18일경 난중, 부화 후 성장률 및 43일령시 도체율 상호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Oligosaccharides 계열 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및 혈청 면역 글로불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Oligosaccharides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Serum Immunoglobulin Contents in Laying Hens)

  • 김찬호;신광석;우경천;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5-131
    • /
    • 2009
  • 본 실험은 mannan-oligosaccharide(MOS)와 fructo-oligosaccharides(FOS)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소장 내 미생물 균총 및 혈액 내 항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27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96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6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40수씩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 일조 + 조명; 16 h)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대조구, 항생제구; avilamycin 6 ppm, MOS 0.025%구, MOS 0.05%구, FOS 0.25%구, FOS 0.5%구 등 총 6처리구를 두어 실시하였다. 일계 산란율과 hen-housed 산란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일계 산란율과 hen-housed 산란율은 MOS 0.025%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난중, 사료 섭취량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OS 0.25%구가 다른 첨가구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난각 두께에서는 FOS 0.25% 처리구가 MOS 0.025%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난각 강도, 난각 색깔 지수, 난황 색깔 지수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augh unit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IgG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혈청 IgA 농도는 FOS 0.25%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Lactobacillus는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고, Cl. perfrigens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E. coli는 첨가구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MOS와 FOS는 산란계에서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고 혈중 IgA 및 장내 미생물 균총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산란성계에서 사료 급이량 조절이 생산성과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ulate in Feed Intake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Old Laying Hens)

  • 강환구;김찬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5-214
    • /
    • 2015
  • 본 연구는 100주령 이상의 산란성계에서 사료 급이량 조절에 따른 생산성, 도체 수율 및 육질을 주령에 따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100주령 Hy-Line Brown 2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2수 수용 케이지 10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은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 + 조명; 16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일일 사료 섭취량 100%), 90%, 60%, 50%, 20% 총 5처리였다. 산란율은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산란율 및 사료 요구량은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도체 수율 역시 사양시험 기간 동안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도체 수율 및 부분육(가슴, 다리, 날개)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Leukocyte 함량은 일일 사료 섭취량이 50%, 20%일 때 WBC, HE, LY, MO 및 EO 함량의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가슴육 내 일반 성분항목, 보수력, 가열감량 및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는 사양시험 기간과 일일 사료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할수록 생산성과 도체율이 감소하였으나, 일일사료 섭취량을 60% 수준까지 낮춰도 무방하다고 생각되며,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침자극(鍼刺戟)이 생식능력(生殖能力) 저하(低下) 닭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eterinary acupuncture (VA) on the eggs-laying rate)

  • 강대희;손양선;류연희;전익수;박히준;임사비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0권3호
    • /
    • pp.1-8
    • /
    • 2003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increasing effect of veterinary acupuncture (VA) on the eggs-laying rate,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 in old hens. Methods : Twenty four old hens (ISA Brown; 1,200 - 1,400 g) over 75 weeks old whose eggs-laying rates were under the 50% for recent 15 days were used. In experimental group, VA treatments were performed seven times during 10 days. Unang point at the end of bilateral wing and Migun point at the tail bone were stimulated about 30 seconds by the stainless steel needle (0.3 mm o.d.). In control group, similar manual stress were performed at same frequency. The numbers of laid eggs were observed for 26 days after the beginning of treatment. Bloods were sampled two times from wing veins during and after the treatment period and serum concentrations of luteinizing hormone (LH) and Estradiol were detected. Results : Eggs-laying rates of experimental group $(34.29{\pm}2.79%)$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27.56{\pm}2.00%,\;p<0.05)$ with the significant increasing of LH serum concentration in experimental group $(from\;0.77{\pm}0.13\;IU/I\;to\; 1.42{\pm}0.22\;IU/I,\;p<0.05)$. Conclusions : Increasing effect of VA treatment on the eggs-laying rate in old hens were proved in this study, and it may be the first prompt on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of VA.

  • PDF

기관지성 낭종(2례수술보고) (Bronchogenic Cyst (Two Case Report))

  • 김형묵;김영철;최인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7권1호
    • /
    • pp.9-12
    • /
    • 1974
  • Bronchogenic cysts, though known as a relatively common malformation of the mediastinum, were rarely discussed in Korean literatures. Since the surgical removal of asymptomatic lesions was adopted as the reasonable therapeutic principle, the incidence of bronchogenic cys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previously expected. Two cases of bronchogenic cysts operated on in The Dept. of Thoracic Surgery, Korea University Woo Sok Hospital were reported and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Case 1. 5 year old boy with chief complaints of bulging cystic mass on left supraclavicular region during straining or coughing since his age of 2 was admitted, and cystogram with Lipiodol revealed hen-egg sized mass in the left antero-superior mediastinum without any communication with bronchus or esophagus. Cyst was successfully removed under general anesthesia thru left supraclavicular incision, and 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cyst revealed thin cystic wall lined with 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and it`s content was milky white mucoid fluid devoid of any bacterial growth. Case 2. 15 year old school girl has been noted slowly growing walnut-sized mass on anterolateral side of the neck for 4 months without any subjective symptom except cosmetic problem... Mass was aspirated to find milky white mucoid fluid in some loculation and yellowish turbid fluid in other part due to chronic infection. Cystic tumor was removed under local anesthesia, which was loculated in between the trachea and esophagus without any communication, and pathological diagnosis of the cyst was bronchogenic cyst with columnar epithelial cell lining with moderate chronic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 Postoperative conditions of the two cases were all excellent with normal life.

  • PDF

산란계에서 탄수화물 분해효소제의 첨가가 계란의 품질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Carbohydrase on Egg Qua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 민병준;김인호;홍종욱;문태현;이지훈;한영근;권오석;이상환;이원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23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란계 사료내 복합효소제의 첨가가 난각특성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47주령 ISA Brown산란계 144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복합효소제를 0.7% 첨가한 구(ME0.1; 기초사료 + 0.1%복합효소제), 기초사료에 복합효소제를 0.2% 첨가한 구(ME0.2; 기초사료 + 0.2% 복합효소제)로 3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총 28일간의 사양시험 기간 동안, 산란을, 난중, 난각강도 그리고 난각두께에 있어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난황색에 있어서는 복합효소제를 첨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난황계수에 있어서도 복합효소제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건물 소화율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복합효소제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복합효소제의 첨가가 난황색, 난황계수 그리고 질소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