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ntment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8초

Afatinib 복약 후 발생한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의 피부독성 부작용에 대한 한방치료 1례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Skin Toxic Side Effects from Afatinib in a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A Case Report)

  • 심소현;서희정;최진용;배고은;서형범;김소연;한창우;박성하;윤영주;이인;권정남;홍진우;최준용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973-983
    • /
    • 2018
  •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treatment for skin side effects after taking afatinib (Giotrif$^{(R)}$). Methods: A 62-year-old female who was diagnosed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stage 4 (T4N2M1b) and was on treatment with afatinib (29.56 mg/day for 4 months) complained of skin toxicity as a side effect. For 16 admission day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 (oral decoction and external ointment). Results: Improvement of skin toxicity was measured by a numeric rating scale. In addition, Quality of life (QOL) was measured using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 (EORTC QLQ-C30) and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13-item lung cancer-specific module (EORTC QLQ-LC13) Developed by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Tumor size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were also examined during follow up. Conclusions: After a combined TKM treatment, skin toxicit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sca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no side effects. The tumor size was not changed on computed tomography during follow-up period. CEA levels were decreased.

『산번방(刪繁方)』의 의방(醫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criptions of 『Sanbeon-bang(刪繁方)』)

  • 김도훈;정창현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1-127
    • /
    • 2004
  • This paper is mainly on the rsearch of the prescriptions of "Sanbeon-bang(刪 繁方)". For the research of prescription, investigated "Sanbeon-bang" from the side of symptoms of a disease, number of drugstuffs, table of contents, drugstuffs and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ith these investigation, made out a few tables, and with these tables made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whole prescriptions of "Sanbeon-bang". "Sanbeon-bang" is of rich contents in internal medicine. Among internal medicine, related to Oro-Yukgeuk-Chilsang(五勞-六極-七傷) was most abundant. So we can guess "Sanbeon-bang" was a medical book specialized in exhaustion syndromes. It also deals with the Samcho-syndromes, as investigate from medical comments, has the perfect system of prescription in relative.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combination of drugstuffs, ascertained that, the number of simple prescription composed of one drugstuff was 38, combinational prescription composed of two drugstuffs was 9, minor prescription composed of three to five drugstuffs was 47, midum prescription composed of six to ten drugstuffs was 95, major prescription composed of eleven to twenty drugstuffs was 45, and mixed prescription composed over twenty drugstuffs was 1. Mentionable unique prescriptions in internal use were the forms of keeping in mouth. In external use they were fumigants, suppositories, powdered medicines, spraying the granular medication into the nasal cavity and eyedrops. And were abundant in soft extract(ointment) and plaster. In addition, there were the recordings of 18 types of cellulitis, types of incurable cellulitis and curing an illness by a charm. By the way, when comparing "Sanbeon-bang" with "Cheongeum-bang", all of which was quoted a lot in "Oedaebiyo-bang", "Cheongeum-bang" rather took medical comments of "Sanbeon-bang" than prescription. Although there were some prescriptons in "Sanbeon-bang" at the same category, "Cheongeum-bang" took another prescriptions which are more complexed than those of "Sanbeon-bang". In the same way, when comparing "Cheongeum-bang" with "Sonjinin-Cheongeum-bang(孫眞人千金方)", which didn't go through the correction of GyojeongUiseoguk of Bug-Song goverment, "Cheongeum-bang" often didn't take the prescriptions of "Sonjinin-Cheongeum-bang". Hence we can guess, "Cheongeumyo-bang" may have added a lot of prescriptions when undergoing the correction of of GyojeongUiseoguk. The total number of species of drugstuffs in "Sanbeon-bang" from the investigation was 284. The plant drugs were 208 species, the animal were 31 species, the minerals were 19 species and the other were 26 species. The prescriptions related to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Sanbeon-bang" were only moxibustional prescriptions. Which appeared one time per exhaustion and steaming of bone syndrome, Oro-Yukgeuk-Chilsang and Samcho syndrome. Appeared six times in muscle syndromes. But I cannot imagine the original form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Sanbeon-bang" for deficiency of data.

  • PDF

PpIX 형광영상을 이용한 피부 기저세포암 자동검출 (Automatic Skin Basal Cell Carcinoma Detection Using Protophorphyrin IX((PpIX) Fluorescence Image)

  • 유홍연;전도영;김민성;홍성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1호
    • /
    • pp.47-54
    • /
    • 2008
  • 본 논문은 PpIX 유도물질인 포르피린 혼합제 methyl 5-aminolaevulinate(MAL)를 환자의 피부 종양부위에 도포하고, 우드램프를 이용하여 획득한 PpIX 형광영상으로부터 기저세포암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형광영상의 밝기값 특징을 분석하여 육안으로 확인이 가한 암이 존재하는 영역, 암이 존재할 수 있는 의심영역 및 암이 없는 정상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암이 존재하는 영역을 포함한 의심영역에 대해 국부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접화소와 유사한 값을 가지는 소규모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국부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으로 분할된 소규모 영역들의 평균 밝기값 차이를 병합기준 척도로 사용하는 계층적 큐 기반의 고속 영역병합을 수행하여 정확한 기저세포암을 추출한다. 10명의 기저세포암 환자에게 제안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검출한 암영역에 대해 50개의 조직 샘플을 획득하고, 피부과 전문의가 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했다.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94.1%의 민감도와 82.6%의 정확도로 신뢰성 있는 추출결과를 제공한다.

흰쥐의 외과적 창상에 대한 Ginsenoside Rg1의 치료효과 (Healing Effects of Ginsenoside Rg1 on Experimental Open Wound in Rat)

  • 임애경;김길수;박수정;홍주헌;최향자;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52-1458
    • /
    • 2010
  • 상처치료 과정 중 ginsenoside Rg1(5,000 ppm, 10,000 ppm) 처리에 의한 효력을 평가하기 위해 SD rats의 등쪽 피부에 biopsy punch를 이용한 4개의 창상을 유발 후,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피부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처에 Rg1의 도포로 인해 창상치료과정이 활발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Rg1을 처리한 군에서 절개된 상처의 표피화와 수축이 더 빨라졌고 창상면적에 있어서도 양성대조군인 시판연고 도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염색한 조직의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는 정상대조군에서 볼 수 있는 완전한 상피층은 찾을 수 없었으나 Rg1 처리군에서 모낭과 신생혈관이 관찰되었고 상피층의 회복조짐도 관찰되었다. 병변의 TGF-$\beta$ 및 VEGF의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Rg1의 도포에 의하여 더 많은 VEGF의 발현을 유도하고 TGF-$\beta$의 활성화를 차단하여 반흔 형성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Rg1은 흰쥐의 외과적 창상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 초.중.고.대학생들에서 약물정보습득의 방법 및 약물오남용의 위험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Drug Information for Acquisition Methods and Risk of Drug Misuse in Korean Students)

  • 김진식;이옥상;임성실
    • 약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55-62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following issues - acquisition level in terms of the information on frequently used drugs of youth, access paths for the information, actual status of the use of drugs frequently used by youth, types of the used drugs, drug abuse among youth, and the consequent drawbacks. This study also takes aims at suggestion of correct role of pharmacists in consideration of drug abuse among youth. Methods: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 2011 to October 31, 2012, a research design and a question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To the students of the school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elementary school's N=99, middle school's N=106, high school's N=115 and university's N=115), it was asked to complete given questionnaire from August 1, 2012 to August 31, 2012.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 2012 to October 30, 2012,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ack and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m were carried out. Results: Drugs known to the respondents were a total of 115 different medicines and most of the drugs belonged to over-the-counter drugs. The most well known drug was pain reliever and the second most familiar drug was wound ointment. Most of the respondents found the drugs through direct use and advertisement. In everyday lif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using over-the-counter drugs as well as health supplements. The most commonly used drug was analgesic drug. It wa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also frequently used the drugs for improving their grades and appearances. It was shown that among the cases of drug use, there were also the cases of misuse and abuse of drugs for the respondents or people around them. Reliability of pharmacists was shown to be high and many students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pharmacists' guidance for medication. Conclusion: Currently many students are using different kinds of drug in daily lif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isk of misuse and abuse of drugs will be increased. Those age groups can easily engage in bad habit of drug use. Thus, promotion on accurate drug information has to be strengthened, and pharmacists are required to conduct correct guidance for drug user's medication in terms of use amount, usage, interactions among different drugs, and potential risks.

사물소풍음(四物消風飮)과 Prednisolone이 NC/Nga mice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mulsopungeum and Prednisolone on NC/Nga Atopic Mice)

  • 윤채성;주현아;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74
    • /
    • 2010
  • Objectives : Atopic dermatitis(AD) is a chronic recurrent skin disease which usually developed in infancy or childhood. AD often repeat improvement and relapse. The cause of AD is so indefinite that many methods of therapies(moisturizer, steroid ointment, antihistamine, immunomodulator, immunosuppressant, herbal medicine, alternative medicine, etc.) are tried. Recently, a lot of studies were made. But there is no report about the effect of Samulsopungeum(SM) and Prednisolone(PN) on AD. So, author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 and PN on AD of NC/Nga mice. Methods : Thirty two mice(8 Balb/c mice and 24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lb/c mice was normal group. NC/Nga mice were divide into three group : control, PN, SM group. AD was induced in the control, PN, SM group by spreading DNCB. Then normal saline, PN and SM were orally administered three times in a week for 8 weeks to the control, PN, SM group, respectively. We observed changes of clinical skin severity score, serum IgE, IgG1, IFN-$\gamma$, IL-2, IL-4, IL-5, IL-10, IL-13, and so on. We used one-way ANOVA test statistically(p<0.01). Results : The clinical skin severity scores of PN group and SM group in 8th week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IgE, IgGl level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IFN-$\gamma$ in SM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Serum IFN-$\gamma$ in PN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IL-10 level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IL-2, IL-4, IL-5, IL-13 level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RNA expression levels of IL-2, IL-4, IL-5, IL-13 in the dorsal skin tissue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biopsy reports of the ear and skin tissues showed that the tissue damage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high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reatinine, BUN, ALT, AST level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normal.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SM is effective treatment for the AD.

일개 병원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에서 시행한 비강 내 MRSA 집락의 특성 및 전파예방에 관한 보고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olonization Among Neonatal Unit Staff and Infection Control Measures)

  • 김동환;김선미;박지영;조은영;최창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131-141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2명의 정상 신생아에서 다제 감수성을 보이는 MRSA 균주에 의한 피부 고름집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병원 내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을 대상으로 MRSA 집락의 특성, 그리고 전파 예방에 대해 알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2007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삼육서울병원 신생아실에 근무하는 의료인과 신생아실 물품들을 대상으로 2-4개월 간격으로 의료인 10명의 비강과 손에서 총 7회(비강 45례, 손 44례)에 걸쳐 세균배양 검사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신생아실 내 물품을 대상으로 총 8회의 세균배양 검사 그리고 4개월 간격으로 총 6회의 낙하균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강 세균배양 검사에서 MRSA 균주가 동정되었을 경우, 탈집락 요법으로 7일간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80 mg/400 mg twice daily) 경구 투여, 혹은 2% mupirocin 연고를 도포하여, 치료 종료 후 2주 후 비강 세균배양 재검사를 시행하여 MRSA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를 단기 치료에 성공한 것으로 보고, MRSA가 동정된 경우를 치료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MRSA 탈집락요법 2주 후 92%에서 탈집락이 관찰되었으나 대부분에서 2개월에서 16개월 사이에 재 집락이 관찰되었으며 2-4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의 비강 세균배양 검사 시 마다 16.7%에서 50%의 MRSA 보균이 관찰되었다. 비강 내 MRSA 균주는 초기 다제 감수성을 보이다가 다제 내성 균주 증가 양상이 관찰되었다. 물품 배양검사에서 드레싱 운반차 50%, 컴퓨터 키보드 43.8%, 신생아 침대 25%, 목욕대야 25%, 그리고 전화대야서 18.8%에서 균이 동정되었다. 낙하균 검사에서 연구 초기에 비해 후기에 유의하게 낙하균 감소가 관찰되었다(P <0.05). 결 론: 병원 내 지역 사회 연관 MRSA 유행 시에 선별검사를 통한 보균자의 조기치료가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항생제의 경구 복용과 비강 도포 모두에서 효과가 좋았으나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유의하게 보균율의 차이가 없었으며 순응도 감소 및 항생제 내성의 증가가 관찰되어 보균자의 조기 치료만으로는 MRSA의 지속적 전파를 차단할 수 없으며, 교육을 통한 손 소독 강화, 주기적인 감시체제를 통한 경각심, 그리고 신생아실 내 손소독제의 사용, 환경 소독 등의 고식적인 방법 들이 더욱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소아비뇨기과 관혈적 수술 시 피부봉합제로 사용된 Octyl-2-Cyanoacrylate (Dermabond$^{TM}$)의 효용성 (Analysis of Octyl-2-Cyanoacrylate as a Dressing Material after Pediatric Urological Procedures)

  • 이한이;민선호;김광명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6권2호
    • /
    • pp.115-120
    • /
    • 2012
  • 목적: 소아비뇨기과 관혈적 수술 시 피부봉합제로 사용된 Octyl-2-Cyanoacrylate (Dermabond$^{TM}$)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8월부터 2011년 8월까지 1년 동안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비뇨기과에서 단일 술자에 의해 음낭수종절제술, 고환고정술, 음경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상처 합병증 발생율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총 128명을 대상으로 210개의 절개 창에서 시행되었으며, 피부 봉합에 Dermabond$^{TM}$을 사용하였다. 모든 절 개창은 Dermabond$^{TM}$을 사용하기 전 흡수사를 이용하여 표피 밑 봉합 혹은 몇 개의 단순 봉합을 시행하였다. Dermabond$^{TM}$는 4 mm 너비로 얇게 두 번 사용되었으며, 건조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추가적인 붕대나 드레싱은 적용되지 않았다. 결과: 128명의 환자들을 수술 종류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Group 1: 음낭수종 절제술, 55례, 41.3%; Group 2: 고환고정술, 43례, 32.3%; Group 3: 음경성형술, 35례, 26.4%). 수술 후 외래에서 추적 관찰한 210개의 절개창 중에서 총 5개(2.3%)에서 상처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이를 그룹별로 다시 분석해 보면 Group 1에서 0개(0/55, 0%), Group 2에서 1개(1/43, 2.3%), Group 3에서 4개(4/35, 11.4%)가 각각 발생하였다. 상처 부위별로 다시 분석해 보면 서혜부 상처 1개(1/120, 0.83%), 고환 상처 0개(0/55, 0%), 음경 상처 4개(4/35, 11.4%)가 각각 발생하였다. Group 3의 음경 상처에서 다른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P=0.008). Group 2와 3에서 상처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각각 1세, 9.50세 이었고 상처 합병증이 없는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2.34세, 5.61세 였지만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P=0.639, 0.122). 5개의 상처 합병증은 모두 가벼운 염증반응이었으며, 항생제 연고만을 적용 후 술 후 평균 13.8일(13-15일) 후 모두 치료되었다. 결론: Dermabond$^{TM}$는 소아비뇨기과에서 음낭수종절제술과 고환고정술 시 피부봉합제로서 기존의 피부 봉합에 대한 대안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음경성형술에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젖소 유방염에 대한 Ozonated oil의 치료효과 (A Therapeutic Effect of Ozonated Oil on Bovine Mastitis)

  • 조성남;유건주;이상은;홍민성;김덕환;김명철;조성환;전무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8-321
    • /
    • 2005
  • 충남 공주, 조치원, 연기 및 전북 익산 지역에서 사육 중인 만성유방염에 이환된 비유우 24두로부터 49분방을 선발하였다. 유방염에 이환된 49분방은 대조군(항생제 투여군: 7분방)및 실험군(ozonated oil투여군· 42분방)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또한 실험군의 분방은 우유 중 체세포를 기준으로 실험군 A(체세포 수$50-100\times10^4/ml)$ : 10분방), 실험군 B(체세포 수 $100-300{\times}10^4/ml)$ : 14분방) 및 실험군 C(체세포 수$>300\times10^4/ml$ : 18분방)로 각각 구분하였다. 대조군의 분방은 항생제 감수성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norfloxacin(10g/tube)을 2회/1일, 3일간 유두내로 주입하였고, 또한 실험군의 분방에는 ozonated oil(200ppm 농도, 3일간 폭기) 10m1를 2회/1일, 3일간 유두내로 주입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간 우유 중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변화를 각각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분방은 처치 7일째 우유 중 체세포 수 및 세균수가 각각 감소 소견을 나타내었으나, 처치 전에 비하여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실험 군의 분방은 처치 후 7일째 처치 전에 비하여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감소소견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험군 B(p<0.01) 및 실험군 C(p<0.01)에서 우유 중 체세포수는 처치 후 7일째에 처치 전에 비하여 각각 유의한 감소 소견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조군 및 실험군 양 군간에는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변화에 있어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ozonated oil을 이용한 오존요법은 만성 유방염에 이환된 분방에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정할 때 꼭두서니 염료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조구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퇴화 전후의 색차에 대한 측정결과는 퇴화에 따른 염료의 색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출토복식의 갈변현상은 염료의 변색과 더불어 토양 유기물에 의한 착색도 기인하므로, 출토복식의 색상 변화를 실질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토양유기물에 의한 착색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받고 또한 높은 수준의 직무 관여를 소매업 종사자들이 경험한다면, 그들의 직업 만족은 증가하고 이는 곧 장래에 그들이 소매업을 직업으로 선택하게 할 수 있는 가장 최우선적인 동력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TEX>연질, 대${\cdot}$소립의 영향과 높은 상관관계 가능성을 암시해주었다. R1과 R2분에서는 찰성밀이 일률적으로 보통밀보다 높은 수율을 지님으로서 배유조직의 제분특성에서 찰성밀이 보통밀보다 분말화가 용이하지 않음을 나타내 주었다.>${\~}$l16.9 RVU (SW97105) 범위로서 보통밀 148.0 (우리밀)${\~}$171.8 RVU (올그루밀)보다 낮았다.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고 이의 객관적 평가로는 KT-2000 관절 계측기가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임상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도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없애거나 재발율을 낮출 수 없었던 스테로이드 의존성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의 치료에서는 스테로이드 의존성 혹은 재발율의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장기간의 MP 요법은 스테로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