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degradation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1초

Green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to the microbiological corrosion deterrence of oil and gas pipelines buried in the soil

  • Zhi Zhang;Jingguo Du;Tayebeh Mahmoudi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355-366
    • /
    • 2023
  • Biological corrosion, a crucial aspect of metal degradation,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despite its significance. It involves the deterioration of metals due to corrosion processes influenced by living organisms, including bacteria. Soil represents a substantial threat to pipeline corrosion as it contains chemical and microbial factors that cause severe damage to water, oil, and gas transmission projects. To combat fouling and corrosion, corrosion inhibitors are commonly used; however, their production often involves expensive and hazardous chemicals. Consequently, researchers are exploring natural and eco-friendly alternatives, specifically nano-sized products, as potent corrosion inhibitors. This study aims to environmentally synthesize silver nanoparticles using an extract from Lagoecia cuminoides L and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in preventing biological corrosion of buried pipes in soil. The optimal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etermined as follows: a volume of 4 ml for the extract, a volume of 4 ml for silver nitrate (AgNO3), pH 9, a duration of 60 minutes, and a temperature of 60 degrees Celsius. Analysi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onfirmed the formation of nanoparticles with an average size of approximately 28 nm, while X-ray diffraction patterns exhibited suitable peak intensities. By employing the Scherer equa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estimated to be around 30 nm. Furthermore, antibacterial studies revealed the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against both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 This property effectively mitigates the biological corrosion caused by bacteria in steel pipes buried in soil.

시판식용유의 가열시간에 따른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nges of Domestic Frying Oils by Thermal Oxidation)

  • 장유경;이정원;김택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118
    • /
    • 1978
  • 튀김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기름인 콩기름(Soybean), 옥수수기름(Corn oil), 채종유(Rapeseed oil) 및 미강유(rice bran oil)등 네가지를 선택하여 가열 시간에 따른 성분 및 물성 변화를 측정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필수 불포화지방산 : 가열하지 않는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리노레산$(C_{18}^{=2})$은 각각 53.2%, 52.0%, 53.3%, 37.4%로서 미강유의 리노레산의 함량이 가장 낮다. 48시간 가열했을 때의 리노레산의 잔존량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가 각각 23.8%, 19.7%, 14.9%, 34.1%이다. 리노렌산$(C_{18}^{=3})$의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함량은 각각 7.1%, 2.4%, 0.3%, 29.7%이고 48시간 가열후 각각 1.7%, 0.1%, 0.1%, 5.0%로 상당히 감소된다. 2. 포화 지방산 : 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의 전 함량은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및 미강유의 경우 각각 12.3%, 10.8%, 11.4%, 16.9%, 이고 48시간 가열후 각각 10.8%, 10.2%, 11.2%, 15.4%로서 가열후에도 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3. 산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산가는 0.09, 0.13, 0.15, 0.45이고 가열시간에 따른 산가의 변화는 콩기름의 경우 제일 적게 나타났으며 미강유는 32시간, 48시간 가열에서, 채종유는 48시간 가열에서 변색 또는 불용성 때문에 산가 측정이 불가능 했다. 4. 요오드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21, 117, 117로서 거의 비슷하나 포화도가 높고 불포화도가 낮은 미강유는 요오드 가가가 100이다. 5. 과산화물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5.6, 13.5, 54.8, 13.1이며 이중에서 채종유의 값이 불포화도가 비슷한 콩기름 및 옥수수기름에 비하여 훨씬 높은 것은 포장이 허술한 병에 보관하므로서 자연광선에 의한 산패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따라서 식용유의 경우 포장 저장 방법 및 저장 기간등이 매우 중요함을 알수 있다. 6. 점도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는 각각 48.58, 51.32, 52.46, 97.39센티스토크로 대체적으로 비슷하나 32시간 이상 가열 후에는 미강유와 채종유는 점도 측정이 불가능 할 정도로 커져 실제 튀김 조리용으로 사용이 거의 불가능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양파 및 겨자분말 추출물의 어유에 대한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Onion and Mustard Powder Extracts on Fish Oil)

  • 변한석;윤호동;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3-458
    • /
    • 1986
  • 천연 항산화제의 유효이용을 위하여, 양파와 겨자분말에서 추출한 항산화유효성분을 정어리 유에 첨가하여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 산가, TBA 가, 중량변화 및 지방산 조성 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그 항산화성을 검토하였다. 1. 저장중 과산화물가의 변화에 있어서, 양파의 지용성 획분은 약 18일간의 유도기가 연장되어 산화억제효과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용성 획분은 저장 10일 째부터, $80\%$ ethanol 가용성 획분은 저장 초기부터 빠른속도로 증가하였다. 겨자의 수용성 회분은 약 20일간의 유도기가 연장되었으나 지용성획분은 저장초기부터 급속히 증가하여 산화억제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저장 중 TBA 가의 변화는 양파 수용성 획분의 증가속도가 가장 완만하였으며, 지용성 획분, $80\%$ ethanol 가용성 획분의 순으로 빠르게 나타났다. 겨자분말의 경우 역시 수용성 획분이 가장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3. 저장중 산가의 변화에 있어서 겨자추출구중, 수용성 획분의 증가속도가 가장 완만하였고, 양파추출구에서는 지용성 획분이 가장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4. 저장중 중량변화에 있어서 겨자의 경우 수용성획분은 20일 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30일째 약 $1.7\%$, 양파 수용성 획분은 30일째 약 $2.3\%,\;80\%$ ethanol 가용성 획분은 약 $5.8\%$정도 증가하였다. 5. 저장중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양파의 $80\%$ ethanol 가용성 획분의 monoene산은 $34.7\%$이었으며 polyene 산은 $4.8\%$로서 monoene 산은 저장 초기에 비하여 약 $15\%$ 증가하였으며 주로 $C_{16:1}$$C_{18:1}$이 증가하였으며, polyene 산은 저장 초기에 비하여 약 $27\%$ 감소하였는데 고도불포화산인 $C_{20:4},\;C_{20:5}$$C_{22:6}$이 감소의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수용성 획분과 지용성 회분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겨자의 각 획분에서도 포화산과 monoene 산은 증가한 반면 polyene 산은 감소하였는데 polyene 산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C{20:4}$$C_{20:5}$의 감소비율은 겨자 수용성획분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강 추출물의 어유에 대한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on Fish Oil)

  • 변한석;윤호동;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7-332
    • /
    • 1986
  • 천연항산화제의 유효이용을 위하여, 생강으로부터 추출한 산항화성물질을 정어리유에 첨가하여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 산가, TBA가, 중량변화 및 지방산조성 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그 항산화성을 검토하였다. 1. 저장중 과산화물가의 변화에 있어서, 생강의 $80\%$ ethanol 추출구와 지용구는 10일 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수용구는 25일 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2. 저장중 TBA가의 변화는 수용구가 10일 째까지 완만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한 반면 $80\%$ ethanol 추출구와 지용구는 초기부터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저장중 산가의 변화에 있어서 대조구는 10일째부터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수용구는 30일 째까지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4. 저장중 중량변화에 있어서 대조구는 15일 째까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80\%$ ethanol 추출구는 20일 째 약 $3.5\%$, 지용구는 $1.7\%$, 증가한 반면 수용구는 약 $0.5\%$ 증가하였다. 5. 저장중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저장초기에 포화산은 약 $41.4\%$ 이었으며 $C_{14:0}$가 약 $9\%$, $C_{16:0}$$28.9\%$로서 포화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고, monoene산은 $19.0\%$로서 $C_{16:1}$이 약 $9\%$, $C_{18:1}$$8.6\%$로서 monoene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polyene산은 약 $32.1\%$로서, $C_{20:4},\;C_{20:5},\;C_{20:6}$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생강의 각 추출구를 첨가한 후 저장 40일 째의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대조구에 있어서 포화산이 약$62.2\%$이고 monoene산은 $29.0\%$, polyene산은 약$5.6\%$인데, polyene산의 경우 저장초기에 비하여 약$26.5\%$ 감소하였는데 $C_{20:4},\;C_{20:5},\;C_{22:6}$이 주감소요인으로 작용하였다. $80\%$ ethanol 추출구. 지용구 및 수용구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polyene산의 감소비율이 작았는데 특히 $C_{22:6}$의 경우 수용구의 감소비율이 가장 적었고 다음으로 지용구 $80\%$ ethanol 추출구의 순이었다.

  • PDF

전기비저항법을 이용한 고압반응기 열화도 현장평가 (Degradation Evaluation of High Pressure Reactor Vessel in field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 박종서;백운봉;남승훈;한상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77-383
    • /
    • 2005
  • 석유화학 및 정유설비는 고온이나 고압에서 폭발 위험성을 지닌 유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재기술에 관한 관심이 높다. 이들 설비 중에서도 고압반응기는 특히 고온/고압 하에서 사용되므로 안전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 플랜트의 고압반응기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2.25Cr-1Mo강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가지 온도조건에서 열화시간을 달리하여 총 8 종류의 인공열화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열화는 고압반응기의 사용온도인 $391^{\circ}C$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둥온 열처리하였다. 미열화재를 포함하여 인공열화재에 대해 비커스경도값과 전기비저항값을 측정하였으며, Larson-Miller parameter와의 상관관계로부터 master curve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현장의 고압반응기에서 비커스경도와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여 실험실에서 작성한 master curve와 비교하였다. 전기비저항법을 이용한 고압반응기의 현장에서의 열화평가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현장에서 측정한 전기비저항은 비슷한 열화수준에서의 인공열화재의 전기비저항값과 비슷하였다.

고온호기발효장치를 이용한 조류 분해 및 가스 발생특성 (The properties of algal degradation and gas emission by thermophilic oxic process)

  • 강창민
    • 유기물자원화
    • /
    • 제7권2호
    • /
    • pp.57-64
    • /
    • 1999
  • 본 연구는 고온호기발효법에 의해 미세조류(부영양화호에서 회수한)를 처리할 경우, 처리조건의 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가스의 발생특성을 살펴, 가스억제를 위한 효과적 처리조건을 검토하는 것이다. 회분 및 연속실험을 실시하여, 이하의 결과가 얻어졌다. 회분실험에서는 폐식용유의 첨가유무 및 공기주입량에 따른 발효효과를 검토했다. 폐식용유 첨가의 경우, 발열량의 증가에 따라 처리물질의 수분증발에 효과적 이었다. 또 공기주입량의 변화에 따라, 유기물제거는 공기량이 100ml/min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고, 발생가스중 $CO_2$는 실험초기에만 영향을 받았고, $N_2O$는 실험중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 $CH_4$는 공기공급이 부족한 초기에 검지 되었으나, 그 후 발생되지 않았다. 연속실험에서 공기량을 100ml/min에 고정한 후,고분자응집제의 첨가유무 및 수분조정제의 종류에 따른 가스발생특성을 비교 검토했다. $N_2O$는 고분자응집제(PAC) 첨가 및 수분조정제의 종류에 의해 가스발생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CO_2$의 경우는 약간의 영향을 받았다. $CH_4$는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스티렌 이량체 유분의 열분해 연구 (A Study on Pyrolysis of Styrene Dimer Fraction (SDF))

  • 배해송;강용;조득희;최명재;이상봉
    • 공업화학
    • /
    • 제17권3호
    • /
    • pp.321-326
    • /
    • 2006
  • 폐발포폴리스티렌(WEPS)의 열분해 반응시 부생되는 약 5~15%의 난분해성 스티렌 이량체 유분(SDF, 주성분: 47 wt% 1,3-diphenylpropane)의 열분해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가압열분해반응에서는 반응온도 $360^{\circ}C$에서 152~202 kPa이 최적의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이 반응조건에서 오일 수율 73.8%와 벤젠 0.4%, 톨루엔 30.9%, 에틸벤젠 15.0%, 스티렌 19.6%, 알파메틸스티렌 4.2%의 선택율로 얻을 수 있었다. 상압연속 열분해반응에서는 반응온도 $510{\sim}610^{\circ}C$, 접촉시간 2~24 min의 무촉매 반응에 대하여서는 온도와 접촉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생성물의 수율이 증가하였고 촉매 반응에 대하여서는 산촉매, 염기성촉매 및 산화환원촉매의 활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Cr_2O_3$ 촉매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Cr_2O_3$ 촉매를 사용하여 $560^{\circ}C$, 접촉시간 24 min의 조건에서 전환율 74.6%와 벤젠 0.4%, 톨루엔 21.6%, 에틸벤젠 9.7%, 스티렌 17.9%, 알파메틸스티렌 3.5%의 수율을 각각 얻을 수 있었다. 이때의 반응 메커니즘은 스티렌이 열에 의해 diradical을 경유하여 에틸벤젠이나 다른 부생성물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Monosodium iodoacetate 유도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보스웰리아 검레진 추출물의 항골관절염 효과 연구 (Anti-osteoarthritis effect of Boswellia serrata gum resin extract in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c Sprague-Dawley rats)

  • 정재인;김룡;김은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3호
    • /
    • pp.231-24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MIA로 골관절염을 유도한 SD 흰쥐에서 인도산 보스웰리아 검레진을 주정 추출 후, 헥산으로 지방 제거 공정을 추가하여 제조한 보스웰리아 검레진 추출물인 FJH-UBS의 항골관절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FJH-UBS는 40 또는 80 mg/kg BW/day 용량으로 5주간 경구투여하였고, FJH-UBS를 2주간 투여 후 MIA (3 mg/50 µL/rat)를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하여 골관절염을 유도하였다. MIA 유도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FJH-UBS는 무릎 관절의 부종을 감소시키고 연골의 분해를 억제하였으며, 연골 내 type II collagen과 aggrecan 발현을 증가시켰다. FJH-UBS (80 mg/kg BW/day)는 혈청 내 PGE2, LTB4, IL-1β, 및 IL-6 함량을 감소시켰고, MMP-13 함량을 감소시켰다. FJH-UBS (80 mg/kg BW/day)는 연골 활막 내 iNOS, COX-2, 5-LOX, IL-1β, IL-6 및 TNF-α 발현을 감소시켰고, MMP-2, MMP-9 및 MMP-13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FJH-UBS가 염증매개물질과 염증성 cytokine의 발현감소를 통해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MMPs의 발현을 억제하여 연골 기질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서 항골관절염 효능을 나타냄을 의미하며 이는 관절 및 연골 건강 개선 기능성 원료로 FJH-UBS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불포화도가 다른 유지가 단식과 정상식이 흰쥐의 체중 및 간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Fat and Oil Types on Weight Gain and Liver Metabolism in Fasting or Normal Diet Rats)

  • 서화중;박현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6
    • /
    • 1993
  • 단식 또는 기초사료를 투여한 성장기 rat 에 우지 또는 들깨유를 매일 일정량 투여하여 2일 간격으로 체중변화와 장기중량, 혈액의 생화학적검사 간조직검사를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완전 단식rat군(F)과 단식중 우지 (FT)와 들깨유(FP)를 투여한 rat군은 1일 평균 -6.2~-4.0%인 체중감소를 보이고 기초식이군 (B) 또는 기초식이에 우지 (BT)나 들깨유(BP)를 투여한 rat군은 1일 2.3~4.0%의 체중증가를 보였다. F군은 4일만에 모두 아사하였고, FT와 FP군은 6~10일 사이에 모두 아사하였다. 단식에 의한 영향으로 아사직전 이들 rat는 간중량(3.6~4.0g) serum cholesterol(70~73.2mg/㎗), serum triglyceride (6.5~7..5mg/㎗) blood glucose (76-91mg/㎗)의 현저한 감소와 GPT (117.5-186.5u), blood urea nitrogen (38~65mg/㎗)을 대폭 증가하는 특징을 가졌다. 유지시료 불포화도에 따른 영향에서 FP군은 FT군에 비해 약 2일 정도 생존일수의 감축과 serum cholesterol, serum triglyceride, blood urea nitrogen 감소를 보이나 GPT, blood glucose를 약간 증가하였다. BP군은 BT군에 비해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를 상당히 감소하고 blood urea nitrogen의 근소한 감소와 GPT는 대폭 증가하였다. Blood glucose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 검사 결과 F군은 아사직전 간실질내 염증 세포 침윤을 보이고 FT, FP군은 유지 시료의 불포화도 차이에 관계없이 아사직전 일부 rat가 염증세포 침윤, 간실질의 염증, 간세포의 손상된 모양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어떤 목적으로 단식 또는 유지만을 공급하는 무단백질 제한식이를 할 때 극심한 체중감소를 보이고 혈중 cholesterol과 trig1yceride는 크게 낮아지며 간을 포함한 모든 조직의 붕괴의 조짐으로 blood urea nitrogen이 크게 증가되고 그에 따른 간기능저하로 GPT도 크게 상승하고 rat의 경우 4~6일만에 사망하였다. 단식중이거나 혹은 정상식이내 고도 불포화 유지 (들깨유)의 섭취는 포화지방 (우지)에비해 혈중 cholesterol 과 triglyceride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GPT가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볼때 장기간 고도 불포화 유지를 다량 섭취함은 간기능을 저하 시킬 수 있음이 나타났다.

  • PDF

전단응력 하에서 에멀젼 상 변이의 실시간 측정을 위한 전기 유변학적 연구 (Development of Real-time Monitoring Device ($\textrm{JELLI}^{TM}$ chip) for Phase Inversion of Emulsions Under Shear Flow)

  • 백승재;이영진;남윤정;김진한;김한곤;강학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2
    • /
    • 2004
  •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에멀젼에 전단응력을 가하며 그때 일어나는 에멀젼의 상 변이를 전기, 유변학적 특징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해보는 것이다. 전기 전도도의 변화는 자체 제작한 JELL $I^{TM}$ (Joint Electro-rheometer for Liquid-Liquid Inversion) 칩을 이용하였으며, 동시에 유변물성측정장치(rheometer)를 이용하여 유변물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JELL $I^{TM}$ 과 인조 피부를 유변물성측정장치 사이에 장착하고 그 사이에 다양한 종류의 에멀젼을 얇게 발라준 후, 일정한 전단응력을 주며 시간에 따른 저항과 전도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O/W 제형의 경우 시간에 따라 저항값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항값은 내부 상이 많을 수록 더 급격한 변화를 나타냈다. 이때의 점도 변화를 보면, 저항값의 변화가 클수록 점도의 변화도 큼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내부 상의 파괴로 인해 외부의 힘에 저항하는 힘이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예상된다. 이런 결과를 이용하여 전단응력에 의한 에멀젼 상 변이 특성과 정도를 실시간, 정량적 비교할 수 있었다., 정량적 비교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