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sorbent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원유로 오염된 갯벌 지역의 자연정화 기능 향상 기술의 개발 (Enhanced Natural Purification of Crude Oil Contaminated Tidal Flat)

  • 김영아;성기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24-30
    • /
    • 2011
  • Tidal flats which are ecologically sensitive, are hard to remediate once they are contaminated by oil spill accidents. Traditional oil remediation measures focus on removal efficiency, and their improper implementation can adversely affect crude oil contaminated coastal areas and greatly disrupt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crude oil contaminated tidal flats. In this study, the oil degrada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remediation measures naturally enhanced using air and natural oil sorbents was evaluated in the lower strata of tidal flats. The effects of air and natural oil sorbents on oil degradation for two concentration levels (< 500 ppm and > 500 ppm) were tested at artificially contaminated tidal flats. Fifty days after these treatments, the natural oil sorbent treatment showed the lowest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concentration ($4.46{\pm}1.47%$) at the low concentration level, whereas both air and natural oil sorbent treatments showed high degradation efficiencies at the high concentration level ($29.30{\pm}4.39%$). Although the phosphatase activity decreased for all treat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creases for the different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B-glucosidase activities were high for both air and natural oil sorbent treatments. Although degradation efficiencie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ir provision and natural oil sorbent treatment could be an effective ecological restoration measure for oil contaminated tidal flats while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remediation efforts.

부산해역에서의 해양오염방제장비의 필요수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quired Stockpiles of Marine Oil Spill Response Equipments in the Busan Area)

  • 윤종휘;윤혁수;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9-148
    • /
    • 2002
  • As the Busan harbor is getting susceptible to oil Pollution. the authors analyze the historical records of oil spill accidents and investigate the shoreline features. In addition. we evaluate the response capabilities and compute the required stockpiles of marine oil spill response with the worst case scenario in this area.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recommendable oil spill response is to contain and mechanically recover all oils at sea surface in winter. while chemical dispersants can be used in summer with mechanical containment and recovery, and it is also found that off-shore booms of 3,000m and off-shore skimmers of 986MT/hour recovery rate should be stockpiled with 10,000∼60,000 liters of concentrate chemical dispersant and small amount of synthetic organic sorbents for possible use.

  • PDF

Comparison of Oil Sorption Capacity and Biodegradability of PP, PP/kapok(10/90wt%) Blend and Commercial(T2COM) Oil Sorbent Pads

  • Lee, Young-Hee;Lee, Eun-Jin;Chang, Gap-Shik;Lee, Dong-Jin;Jung, Young-Jin;Kim, Han-Do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1-158
    • /
    • 2014
  • The oil sorption capacities and biodegradability of nonwoven fabrics(pads) of PP and PP/kapok(10/90wt%) blend prepared in this study and commercial pad(T2COM: 100% PP) were compared. The biodegradability(58.5%) of PP/kapok(10/90wt%) blend pad was about 5times higher than those(11%) of PP and T2COM pads after 45days. The oil sorption rates of oil sorbent pads for various oils(diesel, lubricant and Bunker C oils) were markedly increased with increasing dipping time up to about 5min and then levelled off. The oil sorption rate and oil sorption capacity were found to increase in the order of PP/kapok(10/90wt%) blend>PP>commercial(T2COM) and Bunker C>lubricant>diesel.

자성 분리를 이용한 해상 유류오염제어에 사용되는 유화제를 제거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 (Innovative Technology for Removal of Dispersants used in Oil Spill Remediation Using the Magnetic Separation)

  • 천찬란;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9-688
    • /
    • 2000
  • 최근 해상유류오염사고시 사용되는 유화제는 해안으로 이동하여 또 다른 수질오염의 원인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성을 띠고 있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해수 속에 잔류하는 유화제를 제거하는 기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자성을 띠는 흡착제로서 마그네타이트와 마그헤마이트를 이용하였고, 대표적인 유화제 성분으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DBS (Sodium dodecylbenzene sulfonic acid)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t-octylphenoxypoly-ethoxyethanol)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두 흡착제의 유화제에 대한 흡착 평형시간과 흡착능에 대한 회분식 실험과 모의 실제 상황에서 흡착제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에 의해 수거되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한 수조실험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마그헤마이트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사용된 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제거효율이 일정하게 나타나는데 비해 마그네타이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효율을 보이고 있고, 이온이 존재하는 해수보다는 증류수의 경우가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다. 미그네타이트의 흡착메커니즘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고, 마그헤마이트의 경우는 정전기적 인력과 함께 흡착능을 향상시키는 구조적 특정과 표면상태의 특성으로 설명되어진다. 수조실험에서는 흡착이 이루어진 후 자석에 의한 회수는 10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흡착제와 사석에 의한 유화제 제거방법이 실제 해상에서 적용되었을 때 유화제를 짧은 시간 내에 고효율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 PDF

Fabr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a Novel Pellicular Adsorbent Customised for the Effectvie Fluidised Bed Adsorption of Protein Products

  • Sun, Yam;Pacek, Andrzej W.;Nienow, Alvin W.;Lyddiatt, Andrew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6호
    • /
    • pp.419-425
    • /
    • 2001
  • A dense pellicular solid matrix has been fabricated by coating 4% agarose gel on to dense zironia-silica(ZS) spheres by watr-in-oil emulsification . The agarose evenly laminated the ZS bead to a depth of 30㎛, and the resultin gpellicular assembly was characterised by densities up to 2.39g/mL and a mean particle dimeter of 136 ㎛. In comparative fluidisation tests, the pellicular solid phase exhibited a two-fold greater flow velocity than commercial benchmark ad-sorbents necessary to achieve common values of bed expansion. Furthermore, the perlicular parti-cles were characterised by improved qualities of chromatographic behaviour,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a three-fold increase in the apparent effective diffusivity of lysozyme within a pellicular assembly modified with Cibacron Blue 3GA. The properties of rapid protein adsorption/desorp-tion were attributed to the physical design and pellicular deployment of the reactive surface in the solid phase. When combined with enhanced feedstock throughput, such practical advantages recommend the pellicular assembly as a base matrix for the selective recovery of protein products from complex, particulate feedstocks(whole fermentation broths, cell disruptates and biological extracts).

  • PDF

가압반응기를 이용한 알칼리금속증기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lkali Metal Vapor Adsorption Behavior by Using Pressurized Reactor)

  • 전수한;최병철;김형택
    • 에너지공학
    • /
    • 제11권2호
    • /
    • pp.114-121
    • /
    • 2002
  • 가압유동층 화력발전소 운전시, 석탄 및 황산화물 흡착제 내에 존재하는 알칼리금속 성분들은 유동층 연소기 출구에서 입자나 증기 형태로 배출된다 이러한 알칼리 성분은 분진제거장치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분진 제거장치는 고온, 고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전체 발전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증기상으로 존재하는 알칼리금속 성분은 터빈날개 부식의 시발점이 되며, 그 배출정도는 석탄 및 흡착제에 포함된 광물의 특성과 조성 및 가압유동층 운전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그 농도는 수십 ppm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가스터빈에 유입되는 연소가스중의 알칼리금속 농도 허용치는 오일 및 석탄 연소의 경우에 50 ppb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석탄의 유동층연소 및 가스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알칼리금속 증기는 고체상의 흡착제를 사용하여 제거하여야만 가스터빈 부식 문제를 해결하고 전체 플랜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크사이트, 고령토 및 석회석 흡착제들을 가압 알칼리증기 제거반응기 조건에 알맞도록 실린더 형태의 펠렛으로 성형 및 제조하여 실첨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크사이트가 가장 우수한 흡착제로 판단되며 고령토, 석회석 순서로 알칼리 흡착능을 보여 주었으며, 흡착제와 알칼리증기 흡착률은 반응온도, 펠렛의 다공도, 및 반응가스 중 알칼리 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보여 주었다.

폐플라스틱의 부유선별 및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in Flotation of Waste-plastics and Its Use as Functional Materials)

  • 한요셉;김리나;홍혜진;박인수;김동균;김윤호;전호석;장한권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6호
    • /
    • pp.15-26
    • /
    • 2020
  • 최근 미세플라스틱의 발생 측면에서 폐플라스틱의 친환경적 처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이 폐기물 간소화,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및 부가가치 제품 재생산의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친환경적인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물리적 선별방법을 통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폐플라스틱내의 재질별 분리가 가능한 부유선별이 물질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분리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혼합 폐플라스틱의 효과적인 재질 분리를 하기 위한 부유 선별의 연구 동향을 조사하였다. 추가적으로 보고된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플라스틱의 원재료인 폴리머로부터 기능성 신소재로서의 활용에 대한 접근방법을 요약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