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line channel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5초

농산물 직거래 유통채널별 저해요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Analysis of Factor Hindering and Promotion Strategy on the Direct Marke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 김덕현;박길석;이수영;이승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2호
    • /
    • pp.71-78
    • /
    • 2016
  • Purpose - This paper is for the Analysis on the Hindrance Factors and Activation Scheme by the Type of Distribution Channel in Direct trans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s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become changable, farmers seem to use the type of direct distribution in order to enhance the receiving pri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indrance factors and income variation rate in direct transaction of agricultural produce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167 far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ascertain the hindrance factors exactly by the type of distribution channel, the managements were classified by four subcategories, that is high sales percentage with shopping malls, SNS, shopping malls and SNS, and off-line direct transaction. Results -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hinderance factors in online direct deal activation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the difficulty in continuous content production, the difficulty in shopping mall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the difficulty in card commission problems, and in the order of the difficulties in continuous content production, the difficulty in continuous content production, the difficulty in shopping mall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the difficulty in branding for the SNS group.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difficulty in continuous content production, shopping mall operation and maintenance were found to be the biggest obstacles. In addition, hindering factors in online direct deal activation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the difficulty in credit card settlement, the difficulty in publicity, and the difficulty in dealing with unsold goods. The group with high sales rate in shopping mall was found to be increased by 23.9% in the gross incom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group with high SNS sales ratio increased by 56.5%, the group with direct offline transaction increased by 37.1%, among which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crease rate of SNS sales ratio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rom the rate of increase/decrease of the incom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It can be suggested that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may provide agricultural management with supporting plan which in turn can activate direct transaction in any possible ways.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Utilizing Digital Room in Public Library)

  • 문성빈;김판준;이미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21-350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이 완료된 이후 약 5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와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무엇보다도 인프라 측면의 보완 및 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향후 운영 방안으로는 크게 디지털자료실 통합운영체계 구축과 디지털자료실 기능 다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먼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운영실태 조사 내용과 활성화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현 시점에서는 디지털자료실에서 가능한 부문을 위주로 최대한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기능 다변화는 기존의 디지털자료실 기능에 다양한 유형의 원자료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정보의 제작뿐만 아니라 교육 기능, 참고정보서비스 기능,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티 형성 및 정보공유 활성화 기능 등을 추가 또는 강화하여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은 단순한 인터넷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위한 장소에서 사서와 이용자, 이용자와 이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는 물론 정보나 지식의 공유 및 협력활동을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옴니채널에서 쇼루밍의 결정요인 연구: 모바일 기술과 이용자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terminants of Showrooming in the Context of Omni-channel: Focusing on Mobile Technology and User Characteristics)

  • 함주연;최수정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385-407
    • /
    • 2024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의 정보검색과 구매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직접 제품을 확인하고 정보를 획득하는 소비자의 쇼루밍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쇼루밍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수를 모바일 기술 특성과 이용자 개인 특성의 두 차원을 중심으로 도출하여 검증한다. 모바일 기술의 이용은 쇼루밍 활동에서 중요한 부분이나 기술적 특성들이 미치는 효과는 간과되었다. 아울러 소비자 개인의 특성은 쇼루밍을 예측하는 주요변수로 오랫동안 제기되었다. 이와 더불어, 쇼루밍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지각된 위험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한다. 연구결과는 첫째, 모바일 기술 특성으로 고려한 서비스연결성과 시간편의성은 모두 쇼루밍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할 때 모바일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 이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경우에 쇼루밍은 증가한다. 둘째, 이용자 특성으로 고려한 터치욕구와 개인혁신성은 쇼루밍을 증가시키는 반면, 충동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매장에서 제품을 실제 확인하려는 터치욕구는 쇼루밍의 가장 기본적인 예측변수이며, 새로운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보려는 개인혁신성은 쇼루밍을 촉진한다. 셋째, 소비자의 쇼루밍은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 핵심요인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위험은 쇼루밍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감소시키나 이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쇼루밍을 촉진하는 주요변수를 제시하고 쇼루밍이 구매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모바일 소셜 커머스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쇼핑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obile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hopping Values-)

  • 최빛나;한경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89-98
    • /
    • 2018
  •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최근 새로운 대세로 떠오르며 국내 온라인 시장에서 모바일 쇼핑이 중요한 유통채널로 부각되고 있으며, 모바일 구매상황이나 행위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 커머스 사용자들이 지각하는 쇼핑 가치에 주목하여 모바일 소셜 커머스를 통한 쇼핑 가치와 구매의도에 소셜커머스 특성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서 SPSS 19.0, AMOS 19.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공변형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소셜 커머스 특성 중 실용적 쇼핑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가격할인율, 쾌락적 쇼핑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상호작용성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이트 제공자와 판매회사들은 소셜 커머스의 특성들도 매우 중요하지만 특히, 이용자들의 모바일 구매상황이나 행위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를 고려한 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인터넷상점의 가격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Study on Price Changes in e-Commerce)

  • 이홍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37
    • /
    • 2011
  •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을 통한 상거래 활동은 급증해 왔다. 전자상거래 초기에 기존의 오프라인 업체들과 온라인 업체들 간의 가격수준 및 편차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성숙된 지금은 이러한 채널 유형별 비교보다는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가격변화 행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 상에서 제품이 판매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가격비교 사이트로부터 가격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시간이 흐를수록 최저가와 평균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보였으며, 최고가는 시간이 흐를수록 오히려 상승하는 패턴을 보였다. 최고가의 상승에는 판매업체 수 증가가 양의 영향을, 출시 이후 기간이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였으며 이 두 가지의 영향력에 따라 제품군별로 상이한 상승 패턴을 보였다. 또한, 제품군의 유형별로도 판매업체 수에 따라 상이한 가격변화 패턴을 보였다.

중고 자동차 선택시 구매경로별 선호속성에 관한 융합적 시각 (A Convergent Perspective on Preference Attributes by Purchase Channel Choosing Used Cars)

  • 변현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15-223
    • /
    • 2017
  • 본 연구는 중고차 시장에 있어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래시 고객의 선호도 차이를 확인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컨조인트 기법을 이용하여 중고차 거래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속성에 대한 조사를 실행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은 개별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성하는 여러 속성 중 가치있는 것을 판별하는 데에 적합한 기법이다. 연구결과 오프라인 시장에서의 중고차 거래시에는 제조사, 차종, 가격, 연식, 주행거리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온라인 시장에서는 제조사, 신뢰, 가격, 웹사이트 구성, 사고 여부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고차 거래시 구매경로에 따라 고객의 선호 속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점과 각 구매경로별로 중요한 속성에 대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고차 시장이 신차 시장 못지 않게 중요한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향후 중고차 시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업구상이나 정책 개발 등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국내 여성의 애슬레저 웨어 제품구매추구 및 착용실태 조사 - 20~50대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rchasing and Wearing Status of Korean Women's Athleisure Wear Products -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to 50s -)

  • 이종규;임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0-379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earing status and design preferences regarding athleisure wear, focusing on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participating in yoga and fitness activities. A total of 332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survey by setting the same number of samples for each age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exhibited weight control, and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maintained their health in relation to exercise. Athleisure wear brands were found to prefer foreign brands over domestic brands. When purchasing athleisure wear, the foremost considerations were material functionality, fit according to body shape, and reasonable prices. The preferred athleisure wear leggings design showed that both middle-aged women and young women preferred nine-piece leggings. Women in their 20s to 50s were found to purchase and acquire information on athleisure wear online. Hence, the pattern of life is rapidly transitioning from offline to online, and the market structure of athleisure wear is gradually transitioning toward an omni-channel society with a distribution market structure that combines information technology(IT) and mobile technolog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thleisure wear of various functional products that meet the trends according to the global market environment and consumer class.

가전제품 구매의 디지털 고객 경험: 온라인 구매 여정 프로세스 분석 (Digital Customer Experience of Home Appliance Purchase: Analysis of Online Purchase Journey Process)

  • 강성권;유은;정재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61-90
    • /
    • 2019
  • 디지털 관점에서의 고객 여정과 고객 경험 관리는 기업의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대형 가전제품 시장도 최근 온라인 판매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디지털 고객 경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오프라인 중심의 기존 방식이 유지되면서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고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의 경험은 차별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고관여 제품인 대형 가전제품의 온라인 구매 고객을 중심으로 구매 여정 각 단계별 고객 경험의 특징과 상호 영향을 분석하고, 제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검색 단계의 인지적, 정서적 경험 모두가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주고 있으나, 구매 단계에서 정서적 경험은 인지적 경험을 통해 간접적 영향을 주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정보검색 단계의 경험은 다음 단계인 구매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구매 단계의 경험은 다시 제품의 재구매 의도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구매 채널별 소집단 분석을 통해 구매 채널의 선택에 따라서 구매 경험보다 정보검색 경험이 제품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포스트 코로나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과 주얼리 산업의 활용 사례 분석 (Analysis of Metaverse Technology Trends and Case Studies of Utilization in the Jewelry Industry in the Post-COVID)

  • 강혜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675-680
    • /
    • 2024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를 기점으로 메타버스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주얼리 산업체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엔데믹(endemic)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그 중심의 축이 이동했고, 이에 따라 메타버스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멀어졌다. 하지만 글로벌 주얼리 브랜드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을 살펴보면, AR/VR의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실재감을 높이고 있고, 가상과 현실 간의 이질감이 없는 공간에서 메타버스는 진화하고 있다. 메타버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세 가지 주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디지털 트윈을 기점으로 비즈니스 영역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하고 있다. 셋째, 옴니채널로서 메타버스 운영에 대한 방향성 설정이 중요시 되고 있다. 코로나19 시기에 학습된 자산을 활용하여 디지털 및 온라인 관련 기술에 대한 학습을 지속해야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을 기반으로 주얼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인터넷 티켓팅 시스템의 사용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and Satisfaction of Internet Ticketing Systems)

  • 우성화;김경규;장항배;신호경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7권3호
    • /
    • pp.1-24
    • /
    • 2007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various information systems (IS) such as Web-based systems and mobile systems have appeared utilizing different technologies. However, recent studies on IS use and user satisfaction rarely account for technological differences among I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ere IS are intended to be us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use of Web-based ticketing systems for cultural activities and to empirically validate their relationships. Environmental psychology suggests that human beings respond to external stimuli from environments with their emotions, and their emotional states influence human actions, e.g., IS use in this research. Applying environmental psychology to the use of Web-based systems in the culture and entertainment industry, we propose that web site characteristics first influence a user's internal state of mind (i.e., flow) and then the flow state influences the IS use. Studies related to the state of flow collectively affirm the key role played by the flow construct in shaping individual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IS. Users' flow states are captured by their shopping enjoyment,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the level of concentration on the IS use. Referring to social presence theory, we have included such web site characteristics as content quality, context of web site, and community quality. In our research model, a second order construct is utilized to represent web site quality, because flow theory suggests that holistic experiences with web-based systems (rather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web site) are important in explaining the IS use. Further, we have included trust as another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IS use since business transactions on the web encompass higher uncertainty comparing to offline transactions.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have conducted an online survey which results in 1,141 valid responses in the final sampl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s in Internet ticketing systems. Although it was a convenient sample, the sample represents a wide variety of user demographic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 were tested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examined using PLS Graph 3.0. The results indicate that web site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level of user concentration, user's enjoyment in shopping,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urther, the use of Internet ticketing systems is influenced by users' flow states and trust in the web channel. User satisfaction is turned out to be affected by the use of Internet ticketing systems. Unlike extan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b site characteristics and its use, our study has found that, in the culture and entertainment industry, the impact of web site characteristics on IS use is mediated by a user's flow state. This finding ha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web site design should include as many features that enhance shopping enjoyment and concentration. Other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