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flavor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2초

감마선 이용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아이스크림의 개발 (Development of Ice Cream with Improved Microbiological Safety and Acceptable Organoleptic Quality Using Irradiation)

  • 김현주;장애라;함준상;정석근;안종남;변명우;조철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515-522
    • /
    • 2007
  • 감마선을 이용하여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아이스크림을 개발하기 위해 감마선에 안정적인 spearmint, mint 및 citrus향을 선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에 의한 특유의 냄새변화가 없는 아이스크림을 제조한 후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조성은 향 무첨가 대조구와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총균수는 향 무첨가 대조구, spearmint, mint 및 citrus향 첨가구가 각각 2.38, 1.23, 1.38 및 1.15 log CFU/g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대조구는 3 kGy, 그 외 처리구는 1 kGy 선량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mint향을 첨가하고 1 kGy 감마선 처리한 아이스크림과 citrus향을 첨가하고 3 kGy에서 감마선 처리한 아이스크림이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3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와 mint 또는 citrus향의 선택적 첨가는 관능적으로 문제가 없으면서 유아, 노약자, 환자 등 민감한 소비자들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울릉도산 참홍어(Beringraja pulchra)의 관능 및 영양 특성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zation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Caught off Ulleung Island, Korea)

  • 임양재;조현수;정경숙;황보규;강상인;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5-283
    • /
    • 2015
  • This study compared the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caught off Ulleung Island (U-MS), Korea, with those caught off Daecheong Island (D-MS). Based on their trichloroacetic acid-soluble nitrogen content, free amino acid content, and taste value, the taste of intermediate weight female U-MS was superior to that of both other U-MS and D-MS. The urea content of U-MS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and increased in the order heavy>intermediate>light individuals.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 in urea content between U-MS and D-MS. The taste and flavor characteriz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ammonia, which was converted from urea, influenced the quality of fermented U-DS. With the exception of the light U-DS, the other U-MS exhibited no difference in terms of hardnes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U-MS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and increased in the order intermediate > heavy > light individual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U-M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D-MS. The major amino acids of all MS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lysine.

대두 현탁액의 Lipoxygenase의 활성저해 인자들의 영향 (Effect of Inhibitor on Lipoxygenase Inactivation in Soybean Homogenates)

  • 임효식;조영훈;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24
    • /
    • 1995
  • 대두에 함유된 lipoxygenase 효소가 수용액중에서 ascorbic acid 등 각종 저해제의 영향으로 효소 작용이 저해받아서 이 효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취미(off-flavor)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미리 침지시킨 대두를 이들 저해물질의 수용액중에서 균질화시킨 후 lipoxygenase 활성의 저해효과를 산소 전극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0 mM의 ascorbic acid를 첨가한 경우 L-1 효소는 대조구에 비해 41.7%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나 L-2/3 효소는 49.8%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균질화 시키기 위하여 교반시간을 15분까지 하였을 때에는 3분간 처리하였을 때 보다 L-2/3 효소의 경우 70.8%의 저해를 보여 교반에 의한 저해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25^{\circ}C$에 72시간 방치하였을 때 효소 활성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L-2/3 효소의 경우 52.8%의 활성이 떨어졌으나 L-1 효소는 15.8%만 떨어졌으며, $4^{\circ}C$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SH기봉쇄제, SS 환원제, 항산화제 및 금속 chelator 등 각종 저해제 중에서 L-ascorbic acid가 대두 이취미 생성의 주요인자라고 알려져 있는 L-2/3 효소 활성의 억제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 PDF

Cyclodextrin을 이용한 발효홍삼농축액 최적 포접 조건 (Optimization of Encapsulation Conditions for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by Using Cyclodextrin)

  • 신명곤;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708-1714
    • /
    • 2015
  • 생리활성이 우수한 발효홍삼농축액 특유의 쓴맛과 발효과정 중 생성된 신맛 등의 이미를 개선하기 위해 ${\beta}$-, ${\gamma}$-cyclodextrin(CD) 혼합시료를 이용하여 이미를 포접시켜 관능평가와 ginsenoside Rb1 및 총산도를 분석하고 최대 포접효율을 나타내는 ${\beta}$-, ${\gamma}-CD$ 혼합시료의 농도를 반응표면분석 중심합성법으로 계획하여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홍삼농축액을 제조하는 최적화 조건을 확인하였다. ${\beta}$-, ${\gamma}-CD$ 혼합시료를 이용한 쓴맛 포접 효과를 확인한 결과 예측된 정상점은 최저점으로 ${\beta}-CD$가 3.74%이고 ${\gamma}-CD$ 20.63%일 때 쓴맛이 2.07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Ginsenoside Rb1 포접 효과를 확인한 결과 예측된 정상점은 최대값으로 분석한 결과 ${\beta}-CD$가 3.47%이고 ${\gamma}-CD$가 19.89%일 때 ginsenoside Rb1이 96.75%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beta}$-, ${\gamma}-CD$ 혼합시료를 이용한 신맛 포접 효과는 ${\beta}-CD$가 9.34%이고 ${\gamma}-CD$ 7.96%일 때 신맛이 5.63으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젖산의 포접 효과는 ${\beta}-CD$가 16.00%이고 ${\gamma}-CD$ 13.18%일 때 젖산의 포접효율이 67.73%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를 중심으로 최적 조건을 중첩시켜 ${\beta}-CD$${\gamma}-CD$의 함량을 달리하여 발효홍삼농축액의 이미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맛의 포접 정도는 6, 쓴맛 포접 정도는 4, 산의 포접 정도는 65%, ginsenoside 포접 정도는 95%로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으로 ${\beta}-CD$${\gamma}-CD$의 첨가량은 ${\beta}-CD$가 10%이고 ${\gamma}-CD$가 13%임을 알 수 있었다.

Properties and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Cholesterol-reduced Milk Supplemented with Evening Primrose Oil

  • Hwang, Ji Hyun;Lee, Su Jeong;Kwak, Hae S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7호
    • /
    • pp.1041-1047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milk treated with $\beta$-cyclodextrin to reduce cholesterol and supplemented with evening primrose oil (EPO). The average cholesterol removal rate was 93.5%. The thiobarbituric acid (TBA) absorbance increased proportionally to storage period and amount of EPO addition. TBA absorb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PO-added groups from that in unadded groups in all periods.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ree fatty acids (FFA) increased with longer period of storage. From 6 days of storage, the amounts of short-chain FFA in 6 and 10% EPO-add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groups. The scores for all sensory characteristics indicated that sensory quality decreased with both storage time and increasing amount of EPO. Oxidative off-flavor and off-taste were more intense with higher amounts of EPO addition and longer storage period. Also, the higher the amount of EPO addition, the lower overall scores throughout the 15 day storage. Feeding 10% EPO-supplemented cholesterol-reduced milk increase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in male Sprague-Dawley rats by 76%,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27%).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Sensory properties of Satsuma mandarin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 구경형;이경아;최정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1-250
    • /
    • 2015
  • 본 연구는 온주 감귤의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제주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개발과 재배 방법별 품질 지표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제주산 온주 감귤의 훈련된 패널요원에 의해 묘사분석을 한 결과 5개의 외관 특성(광택 강도, 색 강도, 껍질 두께, 손상 정도, 껍질의 조직감), 3종의 냄새(신내, 단내, 신선한 냄새), 6종의 맛(신맛, 단맛, 쓴맛, 신선한 맛, 싱거운 맛, 이미), 4종의 텍스쳐(경도, 알갱이의 경도, 다즙성, 펄프감) 및 3종의 후미(신맛, 단맛, 쓴맛)가 선발되었다. 유기농 하우스재배 및 무농약 노지 재배 감귤과 관행재배 감귤의 품질 특성 중 고형분 함량의 경우 유기농 하우스 감귤의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았고, 큰 감귤이 작은 감귤보다 고형분 함량이 적었다. 유기농 하우스 재배 귤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pH와 약간 높은 산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감귤의 품질 특성간의 상관 분석결과 감귤 껍질와 과육을 씹은 후 남는 펄프 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형분 함량은 당산비, 감귤 과피의 색 강도, 단맛, 신선한 감귤맛, 과육 알갱이의 강도, 단 후미와 1% 유의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쓴맛, 싱거운 맛, 이미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 전체 데이터의 48.39%와 26.77%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75.16%였다. 주성분 F1은 가용성 고형분함량, 당산비, 과피의 광택 강도, 색 강도, 신향, 단향, 단맛, 쓴맛, 신선한 감귤맛, 싱거운 맛, 이미, 과육 알갱이의 강도, 후미의 단맛과 쓴맛이었고, F2는 감귤의 크기, pH, 산도, 과피의 손상도, 과피의 조직감, 신맛, 과육의 강도, 과육을 씹었을 때 남는 펄프 함량, 후미의 신맛이었다. 또 주성분 F3는 과피의 두께와 다즙성이었다. 즉 동일 지역의 동일 품종으로 재배된 유기농 하우스 재배 감귤과 관행 재배 시료와 전반적으로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오디 분말을 첨가한 Chiffon Cake의 물리적.관능적 특성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ffon Cake Prepared with Mulberry Powder)

  • 이영주;심창환;전순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08-516
    • /
    • 2009
  • Chiffon cakes with 2, 4, 6, 8, or 10% of mulberry powder were made. Specific gravity and batter stability of chiffon cake batter were measured. And moisture content, color, height, weight, texture of chiffon cakes were measured. Consumers also evaluated the chiffon cakes for their liking. Specific gravity of control batter was 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chiffon cakes with 2, 4, 6, and 8% of the mulberry powder. The sample with 10% mulberry powder had specific gravity of 0.64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Stability of the batters were measured using Turbiscan and the control was the least stable whereas the batter with 2% mulberry powder was the most stable. The moisture content and weight of the cake did not differ between the control chiffon cake and cakes with mulberry powder. The height of the cake was the highest for the control cake at 7.56cm, but the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samples with 2, 4, 6, and 8% mulberry powder were not significant. The sample with 10% mulberry powder had lower height of 6.55cm. 'L', 'a', and 'b' values of crust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content of mulberry powder. Crumb color('L' and 'b' values) decreased as mulberry powder content increased, while the 'a' value increased. Hardness significantly decreased as mulberry content increased. However, fracturability and springiness did not differ between control and sample cakes. Resilience of the control and sample cakes prepared with 2% mulberry powder were lowest, and resilienc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increased beyond 4%. Control cake was preferred overall by consumers, while the color, softness, and flavor of mulberry powder prepared cakes(particularly 2% powder) were specifically preferred. Mulberry flavor and astringency increased as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increased, while sweetness did not change. The intensity of the egg flavor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increased. Intensity ratings of off-flavor did not differ among control and sample cakes. We recommend the addition of 2~6% mulberry powder to the recipe for chiffon cake.

보온 조건이 쌀밥의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 권미라;한진숙;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5-53
    • /
    • 1999
  • 전기보온밥솥으로 취반한 쌀밥을 70, 75와 $80^{\circ}C$온도에서 0, 6, 12, 24와 48시간 보온하면서 보온조건이 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관능검사와 기기적 검사를 한 결과 보온온도가 높을수록 단향미, 윤기, 질음성, 맛과 수분함량이 감소하였고, 이취, 갈변도와 경도는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하였다. 보온온도가 높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Hunter color value외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면도와 백도는 감소하였다. 노화도는 보온시간이 길어지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온도가 높을수록 보온시간에 따른 노화도의 변화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70과 $75^{\circ}C$에서 6시간까지 저장시 쌀밥의 바람직한 특성인 윤기, 단향미, 경도와 덩어리지는 정도의 변화가 적었으며, 보온시간이 더 길어짐에 따라 이러한 특성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80^{\circ}C$에서 보온한 밥은 냄새, 색, 외관, 맛과 조직감 등이 보온 초기부터 급격히 변화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보온 저장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밥의 식미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저장 조건에 따른 수분함량의 변화가 밥의 관능 특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일반전기밥솥으로 취반하여 저장하였을 때보다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보리차의 향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asting degree of barley on aroma characteristics of boricha)

  • 정우영;김수정;김병구;허병석;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3-131
    • /
    • 2018
  •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보리차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보리와 자숙보리를 로스팅 정도를 다르게 하여 보리차를 제조하고, SAFE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와 GC-O로 분석하였다. 생보리와 자숙보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차이가 없었으나 이를 이용하여 보리차를 제조하였을 때 자숙보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더 풍부하였다. 로스팅 정도가 강해 질수록 피라진, 에틸피라진, 감마-뷰티로락톤과 과이어콜을 포함한 15종의 화합물의 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p<0.05)하여 보리 로스팅 시 생성되는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생각되며 과이어콜(스모크 향), 푸르푸릴알코올(탄 설탕 향)과 푸르푸랄(캐러멜 향)은 보리차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강도로 검출된 향 활성화합물로 보리차의 주요 향 활성 화합물로 생각된다.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강해질수록 보리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증가하였지만 강한 정도로 로스팅한 경우, 탄 향을 가진 미지의 화합물이 새로 감지되어 이취로 생각되며 따라서 보리차를 제조할 때에는 중간 정도의 로스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혼합 스타터를 이용한 묵은지의 제조 및 발효 특성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keunji with a Mixed Starter)

  • 김효주;신현경;양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67-1474
    • /
    • 2013
  • 묵은지 발효에 적합한 종균 발효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묵은지에서 분리한 유산균과 효모를 단일 또는 혼합 상태로 김치에 첨가하여 발효시킨 후 관능평가를 시행하여 묵은지 풍미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낸 유산균 ML17과 효모 MY7을 혼합 스타터로 선정하였다. 묵은지 스타터 균주는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균주동정 결과에 따라 Lactobacillus curvatus ML17과 Saccharomyces servazzii MY7로 명명되었다. 혼합 스타터를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10^{\circ}C$에서 7일 동안 1차 발효한 후, $-1^{\circ}C$에서 90일까지 숙성시키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김치에 비하여 스타터 김치의 pH 저하 및 산도의 증가가 빠르게 진행되어 발효 90일 후에는 1년 숙성 묵은지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물성 변화에서 김치의 경도는 전체 발효기간 동안 스타터 김치가 더 높은 경도 값을 유지하면서 아삭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 균총 변화에서 총균수와 유산균수는 발효 30일에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90일에는 스타터 김치의 총균수와 유산균수가 대조구 김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효모수는 첨가된 스타터에 의하여 스타터 김치가 대조구 김치보다 전체 발효기간 동안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유산균과 효모 스타터는 발효 90일 동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여 발효 종균으로서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은 스타터 김치에서 lact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 김치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스타터 김치는 1년 숙성 묵은지와 유사한 묵은지 맛과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