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classification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31초

Review on ICF-related Research Trends in Korean Clinical Field

  • Song, Ju-Min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4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to suggest an ICF utilization plan in the Korean clinical field. METHODS: In the RISS, KISS, NSDL, and PubMed databases, papers published between 2016 and July 2021 were collected by applying the search terms,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linic', 'patient', and 'diagno'. The 44 papers select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RESULTS: In domestic clinical trials, the frequency of ICF-related studies was in the order of physical therapy (n = 19) and occupational therapy (n = 14). The frequency of each study subject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studies related to a specific disease (n = 34) and prior studies (n = 7). The research topics were in the order of studies using ICF as a measurement tool (n = 21) and case studies with patients with specific diseases (n = 11). There were 18 studies using ICF codes and 14 papers applying the ICF domains. CONCLUSION: Over the last five years, ICF-related research in the domestic clinical field targeted patients with more diverse diseases in more expertise fields. Research for the unification of terms should be conducted for communication among various experts in clinical practice. To promote the use of ICF in the clinical field,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such as the unification of terms, standardized education, development of ICF casebook, and development of ICF coding programs and guidelines.

한국의 경력내 직업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reer Occupational Mobility in Korea)

  • 김병관
    • 한국인구학
    • /
    • 제20권1호
    • /
    • pp.97-128
    • /
    • 1997
  • 이 논문의 목적은 급속한 경제발전과 산업화 초기단계의 한국사회에서 경력내 직업이동구조가 어떻게 구축되었는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생애사 자료에 나타난 직업이동의 개인사들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산업화 초기단계인 1954년에서 1983년까지 30년 동안의 성인 남녀의 경력내 연간 직업이동들을 모형화하였다. 상위 비육체노동직업, 하위 비육체노동직업, 자영업, 육체노동직업, 농업의 5개 직업범주를 통하여 연원 이동표상에 나타난 이동형태는 비이동성에 의해 일차적으로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이동의 절대량으로 볼 때 비이동성의 정도는 각 직업군에서 달리 나타나, 요약하면 U자형이라고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연간이동의 형태는 직업간의 거리라는 개념으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를 연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수선형모형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비판하면서 필자는 개념적,이론적 작업과 모형추정의 방법론적 작업을 결합시키는 형태의 대수선형모형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모형은 1) 세대간 이동과 세대내(경력간)이동의 구별을 가능하게 하며, 2) 불평등구조 관점, 노동시장적 관점, 생애사적 관점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동표의 분석에서 출발직업과 도달직업의 상대적 규모 외에 크게 6가지의 개념적으로 구별되는 설명요인들(지속성, 천정, 전통부문, 비육체노동, 대안적 이동경로, 직업간 거리)에 바탕을 둔 모형을 통하여 경력이동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우리사회에서 세대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지속성 요인과 천정효과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세대간 이동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우리사회에서 세대내 (경력내) 직업이동에서는 자영업으로의 대안적 이동경로의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대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로 특징지울 수 있다. 첫째, 대각선상에서 일어나는 지속성 요인의 효과가 절대적이다. 지속성 요인의 효과는 서구 선진산업사회에서의 U자형과는 달리 역-J자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비육체노동직업과 육체노동직업 및 농업간의 직업간 거리에 의한 부의 이동효과가 명백히 발견된다. 셋째 농업으로부터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도달직업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어나고 있다. 넷째, 비육체노동직업간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쌍방향적이며, 다른 직업군에 대해 배타적이다. 다섯째, 유출과 유입의 양 측면에 있어 자영업은 매우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여섯째, 우리사회에서 경력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비대칭적이다.

  • PDF

도시민의 침치료에 대한 의식과 관련요인분석 (A Study on the status of treatment by acupunctury of community people in city area)

  • 정홍수;변정환;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6-78
    • /
    • 1992
  • This study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level and situation of treatment by acupuntury (the most important part of oriental medicine) and analyze factors affection to the praetice of exercis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ive basic and necessery data in formulating a policy related to Oriental Medical Treatment. The study was conducted by trained surveyers, for dueller in three cities (Seoul, Busan and Taegu) during 1990. 1. 4 -1990. 1. 23.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 of criticism an investigation for general charactristic be conducted in seoul, Busan and Taegu city area an objective 417 person, 423 person, and 366 person was among those comparatively little more by male was higher rate than female. Those in classification age group evaluation was adopted by age group 10, 20 years old adult 41.3% of most higher rate, next rank was adopted by age group 40 years old (24.9%). 2. An objective of investigation survery was made to personnel were comparative an educated level significantly higher such as college graduated 48.8%, high school graduated 30.1%. And the native comes from urban area, rural, midium and small city rate were shown as 29.6%, 28.4% and 19.9% each other. There by classification of occupational job was shown by students has 27.4% are most higher significantly also there sales and servive field job appearanced 15.1% and expert technical job is 9.0%. Religion is buddist, Christianity, Catholicism all them each other shown 33.6%, 16.7% and 12.4%. An evaluation in economic situation value rate was appearanced by middle class is 61.7% and upper and lower classes are 14.4% and 23.9% with each other and married were 59.2% 3. The people resident in cities area has experience of acupuncture were 70.4% There by classification of an area was shown by Seoul, Busan and Taegu all them other shown 59.7%, 85.2%, 68.1%. According as sex was shown by male 71.7% was more higher than female. According as age was shown by 40 years 85.0% 50 years 77% 20 years old was more higher than 30, 60 years old.

  • PDF

자녀양육비의 추정

  • 김원년
    • 한국인구학
    • /
    • 제10권1호
    • /
    • pp.28-38
    • /
    • 1987
  • 이 논문의 목적은 급속한 경제발전과 산업화 초기단계의 한국사회에서 경력내 직업이동구조가 어떻게 구축되었는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생애사 자료에 나타난 직업이동의 개인사들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산업화 초기단계인 1954년에서 1983년까지 30년 동안의 성인 남녀의 경력내 연간 직업이동들을 모형화하였다. 상위 비육체노동직업, 하위 비육체노동직업, 자영업, 육체노동직업, 농업의 5개 직업범주를 통하여 연원 이동표상에 나타난 이동형태는 비이동성에 의해 일차적으로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이동의 절대량으로 볼 때 비이동성의 정도는 각 직업군에서 달리 나타나, 요약하면 U자형이라고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연간이동의 형태는 직업간의 거리라는 개념으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를 연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수선형모형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비판하면서 필자는 개념적,이론적 작업과 모형추정의 방법론적 작업을 결합시키는 형태의 대수선형모형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모형은 1) 세대간 이동과 세대내(경력간)이동의 구별을 가능하게 하며, 2) 불평등구조 관점, 노동시장적 관점, 생애사적 관점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동표의 분석에서 출발직업과 도달직업의 상대적 규모 외에 크게 6가지의 개념적으로 구별되는 설명요인들(지속성, 천정, 전통부문, 비육체노동, 대안적 이동경로, 직업간 거리)에 바탕을 둔 모형을 통하여 경력이동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우리사회에서 세대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지속성 요인과 천정효과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세대간 이동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우리사회에서 세대내 (경력내) 직업이동에서는 자영업으로의 대안적 이동경로의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대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로 특징지울 수 있다. 첫째, 대각선상에서 일어나는 지속성 요인의 효과가 절대적이다. 지속성 요인의 효과는 서구 선진산업사회에서의 U자형과는 달리 역-J자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비육체노동직업과 육체노동직업 및 농업간의 직업간 거리에 의한 부의 이동효과가 명백히 발견된다. 셋째 농업으로부터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도달직업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어나고 있다. 넷째, 비육체노동직업간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쌍방향적이며, 다른 직업군에 대해 배타적이다. 다섯째, 유출과 유입의 양 측면에 있어 자영업은 매우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여섯째, 우리사회에서 경력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비대칭적이다.

  • PDF

수도권 고령층 분포지역의 유형화와 유형별 거주 및 고용 특성 분석 (Classification of the Aged Distribution and the Occupation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소현;이금숙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79-100
    • /
    • 2017
  • 본 연구는 저성장 시대 인구고령화에 대응하여 고용과 노동의 측면에서 취업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고령층이 노동현장에 필요인력으로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와 고령층 취업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고령인구의 분포가 높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고령인구의 학력별, 고령취업자의 주요 산업별, 직업별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고령층의 거주 및 고용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별 군집화한 후, 고령층 군집지역별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결과, 수도권에 분포하는 고령층은 그들의 학력수준과 산업별, 직업별 분포의 유사성에 따라 지역 간 공간적 차이를 보이며 분포하는 양상이 관측되었다. 특히 대졸 이상의 고학력 고령인구와 지식기반 서비스업, 관리 전문직에 종사하는 고령취업자의 밀집지역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공간적으로 분리되었고, 초졸 이하의 저학력 고령인구와 농림어업 및 관련 숙련 직에 종사하는 고령취업자도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분포하였다. 중 저학력의 도시고령층은 주요 산업별 분포에서 비교적 상관성을 보이며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직업분포는 단순노무직에 편중되어 있어 세부 유형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각 지역별 고령층의 학력수준과 종사하고 있는 업종과 직종 분포 및 지역별 고령인력의 구직수요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차등화 된 취업알선 및 평생교육 차원의 재교육과 직업훈련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고졸 등 중 저학력 고령인구의 직능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일자리 제공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골조공사 관련 공종 근로자의 안전보호구별 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Survey of Worker's Satisfaction with Safety Gear in Structural Frame Work)

  • 신한우;김태희;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6
    • /
    • 2008
  • Safety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f the construction company don't control the risk, it causes the accident which give the company fatal loss. According to the Korea industrial safety analysis reports, the 25.72% of the disasters are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13.6% construction disasters are caused by not properly using the safety gears.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aring Safety Gear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results are ; Carpent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shoes and belt, re-bar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shoes, Concrete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goggles.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 양심영;박영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16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firstly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 dependency, non-addiction and predicting factors of cellular phone use and secondly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cellular phone use by adolescent'. Participants were 368 students of academic and occup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A prediction mod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was developed and show떠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cellular phone use-time, use-motives, counseling experience, impulsiveness, and depression on cellular phone addiction.

정보검색 기법을 이용한 산업/직업 코드 분류 도구 (An automatic Industrial/Occupational Code Classification Tool Using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

  • 임희석;박두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5-78
    • /
    • 2001
  • 본 논문은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인구주택 총조사로부터 획득된 각 개인의 직업 및 직종을 기술하고 있는 자연어를 입력받아 입력된 자연어가 의미하는 한국 표준 산업/구업 분류 코드의 후보들을 생성하는 산업/직업 코드 분류 도구를 제안한다. 코드 분류는 분류할 코드를 문서 범주로 간주하면 문서 분류와 동일한 문제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산업/직업 코드 분류 문제는 입력되는 자연어의 길이가 한 두 문장 정도로 매우 짧아 문서 분류에 사용될 자질들이 개수가 주어 기존의 문서 분류 기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표준 코드를 기술하고 있는 내용을 미리 색인하고 입력된 자연어로부터 질의어를 생성하여 벡터공간모델로 질의어를 검색후 질의어와 일치율이 가장 높은 코드들을 분류될 후보 코드로 계시하는 정보검색 기법을 이용한 산업/직업 코드 분류 도구를 개발하였다.

  • PDF

Instant Messaging Usage and Interruptions in the Workplace

  • Chang, Hui-Jung;Ian, Wan-Zhe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25-47
    • /
    • 2014
  •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IM interruption by relating it to media choices and purposes of IM use in the workplace. Two major media choice concepts were: media richness and social influence; while four purposes of IM use were: organization work, knowledge work, socializing, and boundary spanning activities. Data (N = 283) were collected via a combination of convenience and snowball sampling of "computer-using workers" in Taiwan, based on the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published by the Taiwan government. Results indicated that media choice works better than purpose of IM use to explain IM interruption. Among them, social influence was the best predictor to IM interruption in the workplace. In addition, instant feedback and personalization provided by IM, and IM usage for the purposes of knowledge work and socializing, also relate to IM interruption in the workplace.

산업/직업 분류 자동코딩 시스템

  • 강유경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3-45
    • /
    • 2001
  • 많은 통계조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업/직업분류코드가 기존에는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부호화되어 왔는데, 이러한 작업은 시간과 인력면에서 고비용을 요구할 뿐 아니라 개인별 시각, 이해도의 차이 등으로 정확성에 많은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수동코딩 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코딩 시스템을 개발, 이를 인구 주택총조사와 사업체기초통계조사에 시험 적용하여 본 바를 바탕으로 향후 자동시스템으로의 전환 방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