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stetrics and gynecology

검색결과 3,404건 처리시간 0.032초

자살 시도자에서 혈장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농도 저하 (Decreased Concentration of Plasma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 Suicide Attempters)

  • 원성두;심세훈;양종철;이헌정;이분희;한창수;김계현;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189-195
    • /
    • 2005
  • Objects:Som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one of the most important neurotrophins, is involved in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and suicid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plasma BDNF concentration in suicidal attempters. Methods:The subjects were 71 suicidal attempters who visited emergency rooms in multi-medical centers. All subjects had been interviewed by using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DRS), Young Mania Rating Scale(YMRS), and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severity of the suicidal behavior was measured by Lethality of Suicide Attempt Rating Scale(LSARS) and Risk-Rescue Rating(RRR) system. Seventy-one age, sex, and diagnosis matched non-suicidal psychiatric patients who were consecutively admitted to a psychiatric ward during the same period recruited as psychiatric controls. They were drug-naive or drug-free at least more than 2 months. In addition, 80 healthy controls were randomly selected as normal controls. Plasma BDNF level was measured by the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methods. Results:In overall F-test, differences of the plasma BDNF levels among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F=20.226, p<0.001). In the multiple comparisons(Scheffe), while mean levels of plasma BDNF between normal controls and non-suicidal psychiatric patients were similar(p=0.984), the BDNF levels of suicidal attempters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two groups(p<0.001). LSARS and RRR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DNF levels in suicidal attempters.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uction of plasma BDNF level is related to suicidal behavior and BDNF level may be a biological marker of suicidal behavior.

  • PDF

Misuse of testosterone replacement therapy in men in infertile couples and its influence on infertility treatment

  • Song, Seung-Hun;Sung, Suye;Her, Young Sun;Oh, Mihee;Shin, Dong Hyuk;Lee, Jinil;Baek, Jeongwon;Lee, Woo Sik;Kim, Dong Su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4호
    • /
    • pp.173-177
    • /
    • 2019
  •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en with testosterone replacement therapy (TRT)-induced hypogonadism and its effect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in infertile couple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records of 20 consecutive male patients diagnosed with azoospermia or severe oligozoospermia (< 5 × 106/mL) who visited a single infertility center from January 2008 to July 2018. All patients were treated at a primary clinic for erectile dysfunction or androgen deficiency symptoms combined with low serum testosterone. All men received a phosphodiesterase 5 inhibitor and TRT with testosterone undecanoate (Nebido®) or testosterone enanthate (Jenasteron®). Patients older than 50 years or with a chronic medical disease such as diabetes were excluded.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37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infertility was 16.3 ± 11.6 months. At the initial presentation, eight patients had azoospermia, nine had cryptozoospermia, and three had severe oligozoospermia. Serum follicle-stimulating hormone levels were below 1.0 mIU/mL in most patients. Three ongoing ART programs with female factor infertility were cancelled due to male spermatogenic dysfunction; two of these men had normal semen parameters in the previous cycle. After withholding TRT, serum hormone levels and sperm concentrations returned to normal range after a median duration of 8 months. Conclusion: TRT with high-dose testosterone can cause spermatogenic dysfunction due to suppress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testicular axis, with adverse effects on infertility treatment programs. TRT is therefore contraindicated for infertile couples attempting to conceive, and the patient's desire for fertility must be considered before initiation of TRT in a hypogonadal man.

Postnatal Manage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Patent Urachus with Bladder Prolapse

  • Choi, Hyun-Shin;Kim, Hae-Eun;Kim, Eun-Sun;Oh, Soo-Young;Chang, Yun-Sil;Seo, Jeong-Meen;Park, Won-Soon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62-264
    • /
    • 2010
  • 요막관은 총 배설관에서 유래된 구조물로서, 태생기에 방광의 첨부와 제대 사이를 연결해주는 관이며, 임신 8-9개월에 완전히 막히게 되어 출생시에는 정중제인대로 남게된다. 드물게 요막관이 출생 후에도 요막관 게실, 요막관 낭종, 개방성 요막관 등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중 가장 심한 형태가 개방성 요막관으로 이를 통해 방광이 탈출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아는 재태연령 41주, 출생체중 3,110 g, 아프가점수 1분 1점, 5분 7점, 정상 질식 분만되었으며, 산모는 35세로 임신 기간 중 약물 복용이나 다른 병력은 없었다. 재태연령 20주 2일에 시행한 산전 초음파상 낭성의 요막관 잔여물이 발견되었으며, 태아 자기공명영상에서 방광과 연결되는 낭종이 관찰되었다. 재태연령 40주 4일에는 고형종물 양상으로 관찰되어 초기의 낭종 형태에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출생 후 진찰 소견상, 제대 하방에 점막으로 둘러싸인 $3{\times}4cm$의 종물이 있었으며 요도로 삽입한 도관이 종물의 개구부를 통해 나오는 것이 확인되어 종물이 요도와 연결된 천공된 상태의 방광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생후 1일에 시행한 복부 초음파상 수신증이나 다른 요로기형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생후 2일째 방광 복원술 및 요막관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생후 9일째 시행한 배설성 방광 요로 조영술에서 방광 요로 역류는 없었고, 방광 기능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후 10일째, 정상적인 배뇨를 보여 퇴원하였고 이후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저자들은 재태연령 20주 2일에 산전 초음파에서 요막관 잔여물로 추정되었던 낭종이 출생 후 요막관을 통한 방광 탈줄증으로 확진된 후 합병증 없이 수술적으로 완치되어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독립요소분석을 이용한 태아심전도 추출을 위한 시변 칼만 평활기의 개발 : 예비연구 (Development of Time Varying Kalman Smoother for Extracting Fetal ECG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 Preliminary Study)

  • 이충근;김봉수;권자영;최영득;송광섭;남기창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0호
    • /
    • pp.202-208
    • /
    • 2012
  • 태아심박의 모니터링은 태아의 안녕을 평가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이다. 비관혈적인 태아심전도는 산모의 복부 신호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산모 복부의 혼합 신호로부터 태아심전도를 추출하기 위해 많은 유망한 신호처리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비관혈적인 태아심전도는 안정적인 신호 측정법이 부족하고 신호처리 방법의 어려움으로 여전히 임상에서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태아심전도를 추출하는 신호처리 결과는 가우시안 백색잡음에 의해 신호대잡음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아심전도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백색잡음 신호를 제거하여 신호대잡음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시변 칼만 평활기를 제안하였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Wiener 과정을 시스템 모델로 설정하고 백색잡음 크기에 따라 공분산 행렬을 수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칼만 이득을 변화시켜 평활화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5채널 태아심전도 모델을 이용하여 백색잡음의 크기에 따른 최적 공분산 행렬 값을 구하였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V Detection and Genotyping in Vulvar Squamous Cell Carcinoma in Northern Thailand

  • Siriaunkgul, Sumalee;Settakorn, Jongkolnee;Sukpan, Kornkanok;Srisomboon, Jatupol;Utaipat, Utaiwan;Lekawanvijit, Suree;Khunamornpong, Surap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773-3778
    • /
    • 2014
  • Background: The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genotype distribution of HPV infection in vulvar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n northern Thailand and the clinicopathological difference with regard to HPV infection status. Materials and Methods: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amples of vulvar SCC diagnosed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2 were collected. HPV infection was detected by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primers MY09/11 and GP5+/6+. HPV genotyping was performed using the Linear Array Genotyping Test, followed by type-specific PCR targeting the E6/E7 region of HPV16/18/52 if the Linear Array test was negative. The histologic slides of vulvar lesions and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sults: There were 47 cases of vulvar SCC included in the study (mean patient age $57.9{\pm}13.2$ years). HPV infection was detected in 29 cases (62%), all of which had single HPV infections. HPV16 accounted for 23 (49%). The patients with HPV-positive SCC had a significantly younger mean age than those with HPV-negative tumors (52.7 years vs 66.2 years,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umor stage distribution with regard to the status of HPV infection. The presence of vulvar intraepithelial neoplasia (VIN) of usual type (basaloid or warty)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HPV-positive cases compared with HPV-negative cases (62% vs 6%, p<0.001), whereas differentiated-type VIN was more common in HPV-negative cases (24% vs 0%, p=0.019). Conclusions: HPV infection was detected in 62% of vulvar SCC in northern Thailand. HPV16 was the predominant genotype similar to the data reported from other regions. HPV-positive SCC occurred in younger patients compared with HPV-negative SCC, and was associated with usual-type VIN. Vaccination against HPV16/18 may potentially prevent almost one half of vulvar SCC in northern Thailand.

산모의 직업활동이 태아, 신생아 및 분만방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ccupational Activities of Mother to Fetus, Newborn Infant, and Delivery Methode)

  • 최정현;장재선;김성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46-352
    • /
    • 2012
  • 2010년 1월에서 2010년 12월까지 경기도 광명 소재 산부인과에서 초진에서부터 분만까지 동일 병원에서 실시한 산모 중 37주 이후에 정상 분만한 141명(비직업인군 73명과 직업군 68명)을 대상으로 태아, 신생아체중 및 분만방법을 산모의 직업여부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후 37주 기간의 산모체중 및 평균임신기간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2. 37주시 태아체중은 비직업군은 평균 $2.90{\pm}0.27kg$, 저체중아 비율은 2.75%, 직업군에서는 평균 $2.76{\pm}0.28kg$, 저체중아 비율은 10.3%로 나타나 비직업군에서 37주 태아체중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3. 신생아체중은 비직업군은 평균 $3.42{\pm}0.43kg$, 직업군은 $3.18{\pm}0.35kg$으로 비직업군의 신생아체중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4. 분만방법은 비직업군에서 제왕절개수술이 32.9%, 직업군에서는 16.2%로 비직업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게 나타났다(p<0.05).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에 있어서 NO의 역할 (The role of nitric oxide as an effector of macrophage-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Trichomonas vaginalis)

  • 박건채;류재숙;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89-196
    • /
    • 1997
  •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가 질편모충에 대해 세포독성이 있는지를 관찰하고자 질소 중간산물에 영향을 주는 약제를 첨가한 후 nitrite 생산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식세포로는 마우스(BAkBlc) 복강 대식세포와 마우스 복강 내 종양세포인 RAW264.7 세포로 LPS(lipopolysaccharide)나 $rIFN-{\gamma}$로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세포독성의 측정을 위해서 질편모충을 methyl-[$^3H$]-thymidine으로 표지하였고 NO의 측정은 Griess reagent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는 LPS로 활성화시켰을 때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RAW264.7 세포는 $rIFN-{\gamma}$ 또는 $rIFN-{\gamma}$ 및 LPS로 활성화시켰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독성 및 nitrite 생산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PS로 활성화시킨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와 $rIFN-{\gamma}$로 활성화시킨 RAW264.7 세포에 NO 생산에 영향을 주는 NG-monomethyl-L-arginine(L-NMMA), NC-nitro-L-arginine methyl ester(NAME), arginase를 첨가하였을 때 약제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과 nitrite 생산이 감소하였다. NO synthase coractor인 tetrahydrobiopterin($H_4B$)을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 넣었을 때 질편모충 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하였다. Ferrous sulfate를 두 종류의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에 첨가하였을 때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과 nitrite생산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NO 생산 및 세포독성이 증가하였고. NO 생산을 저하시키는 약제들은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 및 RAW264.7 세포에 의한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NO는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숙주 방어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임산부 및 골반장기 종양환자에서의 Toxoplasma Latex 응집항체치의 의의 (Significance of Toxoplasma Antibody Titers by Indirect Latex Agglutination Tests in Pregnant Women and Pelvic Tumor Patients)

  • 최원영;최형락;나종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300-304
    • /
    • 1985
  • 서울강남성모병원에 내원한 산부인과환자 중 임산부 377명과 골반장기종양환자 43명 그리고 종합건강진단을 위해서 내원한 부인 8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간접 Latex응집반응항체가를 조사하였다. 1. 임산부 377례중 Tp항체가는 음성이 319례(84.6%), 1:2가 44례(11.7%), 1:4가 9례(2.4%) 1:8이 2례(0.5%), 1:16이 1례(0.3%), 1:32가 2례(0.5%)이었다. 2. 골반 장기종양환자 43례중에서는 Tp항체가가 음성이 29례(67.4%), 1:2가 8례(18.6%), 1:4가 1례(2.3%), 1:16이 2례(4.7%), 1:32가 1례(2.3%), 그리고 1:128이 2례(4.7%)이었다. 3. 건진쎈터의 부인 80례중 Tp항체가는 음성이 56명(70.0%), 1:2가 19례(23.8%), 1:4가 3례(3.8%), 1:8이 1례(1.3%), 그리고 1:128)이 1례(1.3%)이었다. 4. 실험군 420례중 피실험청희석배수로 1:32이상을 양성반응으로 보고 5례(1.2%)가 양성이었는데 그중 2례(0.5%)는 임산부에서, 그리고 3례(7.0%)는 골반내장기종양환자중에서 발견되었다. 5. 대조군 80례 중에서 1례(1.3%)에서만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크루켄버그 종양 61예에 대한 임상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61 Krukenberg Tumors)

  • 김주동;육정환;김용만;최원용;김용진;임정택;오성태;김병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2호
    • /
    • pp.126-130
    • /
    • 2004
  • Purpose: A Krukenberg tumor is an ovarian tumor of a signet-ring cell type. This tumor arises more commonly in young women, and the prognosis is poor. The primary focus of this tumor is often found at gastrointestinal malignancy, especially gastric cancer. We tried to ident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is tumor, and in that regard, this report might be helpful.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61 patients with Krukenberg tumors, who had been diagnosed at our hospital from 1994 to 2002, and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Results: The age distribution ranged from 15 to 59 years, and the mean age was 41 years.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 lower abdominal mass ($46\%$). Fourty-two cases ($77\%$) showed bilateral ovarian involvement, and the size of this tumor was variable, but in 24 cases ($4\%$) the size was $5\∼10$ cm for the largest diameter. Among 54 cases, 40 cases had ascites, and the volume of ascites was variable. The median survival of the 61 patients was 10 months, and Krukenberg tumor developed 19.7 months after the primary operation. The median survival durations of recurrence patterns were 20 months for the Krukenberg tumor alone, and 7 months for the Krukenberg tumor with peritoneal seeding. Conclusion: In young women treated with a gastrectomy, especially one for an advanced tumor, closed observation with abdominal ultrasonography or computed tomography to detect a Krukenberg tumor is recommended. The patient with a Krukenberg tumor alone has a better prognosis than one with a Krukenberg tumor combined peritoneal seeding. We will have to consider more progressive treatment for the patient with a Krukenberg tumor alone.

  • PDF

부산지역 여성의 고위험군 인유두종 바이러스 유병률과 유전자형 분석 (Prevalence and Genotype Analysis of High Risk-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 Busan Women)

  • 강창수;이경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67-1272
    • /
    • 2019
  •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로 알려져 있으며, 자궁경부암 환자의 99.7%에서 HPV DNA가 검출된다고 하였다. 또한 세계적으로 HPV 16 및 18의 유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는 HPV 52 및 58의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여성의 HPV 유병률과 고위험군 인유두종 바이러스(HR-HPV)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부산 산부인과병원을 내원한 여성 중 HPV 유전자형 검사를 시행한 여성 1,995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여성에서 28.3%(565/1995)의 HPV 유병률을 확인하였다. 특히 HR-HPV 감염률은 75.4%(426/565)로 높게 나타났으며, HR-HPV 유전자형은 52형(63/565, 11.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58형(56/565, 9.9%), 53형(55/565. 9.7%), 16형(53/565, 9.4%)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18~39세이하의 젊은 여성들의 HR-HPV 감염률이 60.3%(257/426)로 높게 나타나므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세포학적 결과에서 자궁경부내 상피의 이상소견이 높아지는 HSIL과 SCC에서 HPV 16형이 높은 감염률을 보였으나, 향후 더 많은 검체를 이용하여 자궁경부내 종양 발생과 관련된 HR-HPV 유전자형을 확인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