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ject audio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멀티채널 오디오 부호화를 위한 TMS320C6701 DSP 보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TMS320C6701 DSP Board for Multichannel Audio Coding)

  • 장대영;홍진우;곽진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99-203
    • /
    • 1999
  • 본 논문은 MPEG-2 AAC 멀티채널 오디오 및 MPEG-4 오디오의 다중객체 부호화를 위한 DSP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DSP로서는 TI 사의 최근 제품인 고성능의 TMS320C6701 (이하 6701로 함) 2개를 사용하였고, DSP 보드는 PC에 장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PCI 인터페이스를 함께 구현하였으며, 부호화기 및 복화기로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설계하였다. 또한 멀티채널 오디오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다중화하여 직렬신호로서 입력하고, 다시 역으로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을 별도로 외부에 구현하였으며, 접속 인터페이스로서 ADI (Alesys Digital audio Interface)론 사용하여, AD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채널오디오 장비론 입출력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의 결과로서는 MPEG-2 AAC 4채널 오디오를 2개의 DSP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안정되게 부호화 할 수 있으며, 1개의 DSP로도 8채널까지의 복호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Preliminary Examination on the Multimedia Information Needs and Web Searche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 Chung, Eun-Kyung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95-114
    • /
    • 2010
  • Multimedia searching is an important activity on the Web, especiall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llege students’ multimedia information needs and searching on the Internet. While there is a clear pattern among students with respect to their multimedia uses, searching sources, relevance criteria and searching barriers, some differences exist especially according to searching of different multimedia types such as image, audio and video. For multimedia uses, information/data-focused uses are frequently found in image and video, while the use of audio is mainly for object-focused searches. As multimedia searching sources, audio and video files present a similar pattern of being high in media specific searching sources and low in generic search engines. Browsing through related blogs and homepages is an important part of searching for media file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20% of total search for each media. The relevance criteria used by study participants when search for image files was primarily concerned with topicality while the contextual and media quality in the audio and video types are also considered important. Searching barriers for audio and video fil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broad aspects, including access and search quality, preview limitations and collection limitations, while obstacles for image files searching include access difficulties and low qualities of various collection.

효과적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오디오 마커 검출 (Audio Marker Detection of the implementation for Effective Augmented Reality)

  • 전수진;김영섭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1-124
    • /
    • 2011
  • Augmented Reality integrates virtual objects onto a real world so that it extends the human's sensibility of real-world.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ombines real and virtual object in a real environment, and runs interactive in real time, and is regarded as an emerging technology in a large part of the future of information technology. So the benefits for the various businesses are estimated to be very high. In this paper, combine ARToolkit with OpenAL we can provide audio to users. These proposed methodologie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immersive realization of the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system.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 개발 (A Study on Object-based Realistic Audio)

  • 장대영;이태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29-43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채널기반의 오디오 기술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고, 재생환경에 독립적인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현재, 극장 사운드를 중심으로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이 적용된 사운드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 차세대 방송용 오디오에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은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 재생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현장의 음향을 신호와 3 차원 공간 정보로 구분하여 음향 공간의 정보를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재생환경에서는 3 차원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3 차원 음향 재생 기술을 활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편리한 제작 및 3 차원 공간 정보 표현 기술이 필요하며, 청취환경에서는 객체기반 실감음향 콘텐츠를 제작자의 의도대로 렌더링할 수 있는 재생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의 기술동향과 객체기반 실감음향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표현/제작 및 재생 기술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CORBA 환경에서 실시간 응용을 자원을 위한 분산 객체그룹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Object Group Platform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 in CORBA Environments)

  • 김명희;이재완;주수종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062-1072
    • /
    • 2000
  • The applications developing in distributed object computing enviroments are faced with the difficulties for managing various lots of distributed objects. Also, because the most multimedia service, like video, audio, and so forth, must be satisfied itself with real-time constraints, the users also are feeling with necessary to apply real-time mechanisms to distributed multimedia service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 problems for managing distributed objects, and to be easy to develop complex applications that can provide real-time services. To do thi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real-time object group platform that can be placed between applications and CORBA. This platform is extended the existing object group model[13,14] added to the scheduler and timer object components for supporting real-time concept. We designed the components for platform by using James Rumbaugh object modeling technology that consists of object, function, and dynamic model. And then we described the detailed interfaces of the components by IDL, and implemented our real-time object group's platform using OrbixMT 22 which is the IONA Technologies' ORB product. Finally, we showed the execution procedures of the schduler object of each components in a real-time object group platform.

  • PDF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위한 분산 전송 플랫폼 (The Distributed Transport Platform for Real-Time Multimedia Stream)

  • 송병훈;정광수;정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2호
    • /
    • pp.260-269
    • /
    • 2003
  • 기존의 분산 객체 미들웨어가 제공하는 RPC(Remote Procedure Call) 기반의 메시지전송 방식은 내부 오버헤드로 인해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스트림 데이타의 전송에는 부적합하다. 그래서 OMG (Object Management Group)에서는 분산 환경에서도 실시간 스트리밍을 지원 할 수 있는 새로운 AV (Audio and Video) 스트림 서비스 참조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모델은 오직 참조 모델이기 때문에 실제 구현 방법에 따라 재 정의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특히 실제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혼잡 제어와 같은 기능이 없기 때문에 스트림 전송의 QoS를 제어할 수가 없다. 이러한 고려는 최근 연구되어 지고 있는 다양한 스트림 전송 플랫폼들이 가져야 할 고급 기능으로 전체 네트워크의 효율 증가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환경의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킬 수 있는 OMG의 스트림 서비스 참조 모델을 재 정의한 스트림 전송 플랫폼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한 플랫폼은 스트림 전송을 위한 새로운 TCP-Friendly 프로토콜인 SRTP(Smart RTP)를 하부 구성 요소로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본 플랫폼을 통한 스트리밍 응용들의 효율을 향상시켰다.

인터넷 웹페이지의 음성합성을 위한 엔진 및 플러그-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eech Synthesis Engine and a Plug-in for Internet Web Page)

  • 이희만;김지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61-469
    • /
    • 2000
  • 본 논문은 인터넷 웹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음성으로 합성하기 위한 음성합성 엔진 및 넷스케이프 플러그인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웹페이지를 음성으로 합성하는 방법은 audio/x-esp MIME 타입을 임베딩한 웹페이지가 발견되면서 이에 상응하는 플러그-인이 작되며 해당 플러그인은 URL로 지정된 HTML 문서를 네트워크에서 가져와 컴맨더 모브젝트에 보내교, 컴맨더 오브젝트는 HTML 문서를 파싱하여 합성엔진 제어용 TAG를 추출한다. 제어용 TAG에는 음성합성 데이터베이스 변경 및 합성음의 길이 또는 피치조절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갖고 있어 동적으로 합성음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컴맨더 오브젝트는 HTML 문서 내부의 특정 태그로 지정된 문장을 추출하여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합성엔진을 위한 컴맨드 스트림을 발생한다. 음성합성엔진은 컴맨드 스트림을 훼치(Fetch)하여 명령어를 해석하고 해당 명령어를 상응하는 멤버함수를 실행하여 음성을 합성한다. 컴맨더 오브젝트와 음성합성엔진은 각각 독립적인 객체로 설계하여 이식성과 유연성을 높인다.

  • PDF

객체지향형 설계정보관리시스템 모델링 (The Object-Oriented Modeling for Draw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 오태훈;김선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7-92
    • /
    • 1996
  • In recent years, the manufacturing industry begins to demand the PDM which integarates design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concurrently to reduce the time-to-market of new products. However, current commercialized PDM tools have drawbacks in representing by relational data modeling a variety of data types such as CAD files, images, audio, long text, etc. For this reason, object-oriented approaches ar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In this paper, using one of object-oriented approaches, Rumbaugh's OMT(Object-Modeling Technique), we propose a data model of draw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essential for PDM. The scope of the model is limi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for drawings, parts, and product structures. Static, dynamic and functional models are suggested in detail. In the models, the drawing status is classified into on-progress, approved, disposed, and released. Also, parts are classified into products, assemblies, and components.

  • PDF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저작도구 툴북에서 객체 자동 변환을 이용한 자동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 Presentation System of Toolbook Using Object Auto Transition on Multimedia Authoring Tool)

  • 양옥렬;정영식;이용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1182-1195
    • /
    • 1997
  •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기존의 저작도구를 멀티미디어 툴북의 경우 객체들이 사건을 기반으로 하는 상태 변환 방식을 사용하므로 프리젠테이션 을 자동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객체의 자동 변환 기법을 통하여 자동 프리젠테이션 기능을 멀티미디어 저작도구가 시스템 DLL(Dynamic Link Library) 형태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객체 자동 변환기법을 개발하고자 이를 멀티미디어 툴복의 페이지 전환 및 미디어 제어 인터 페이스를 이용하여 오디오 자원의 상태 변환 기능을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기능 확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 PDF

다중 스트림을 이용한 객체기반 MPEG-4 컨텐트의 적응 기법 (Adaptation for Object-based MPEG-4 Content with Multiple Streams)

  • 차경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69-81
    • /
    • 2006
  • In this paper, an adaptive algorithm is proposed in streaming MPEG-4 contents with fluctuating resource amount such as throughput of network conditions. In the area of adaptive streaming issue,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how to represent encoded media(such as video) bitstream in scalable way. By contrast, MPEG-4 supports object-based multimedia content which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media streams such as audio, video, image and other graphical elements. Thus, it can be more effective to provide individual media streams in scalable way for streaming object-based content to heterogeneous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the multiple media streams corresponding to an object with different qualities and bit rate in order to support object based scalability to the MPEG-4 content. In addition, an optimal selection of the multiple streams for each object to meet a given constraint is proposed. The selection process is adopted a multiple choice knapsack problem with multi-step selection for the MPEG-4 objects with different scalability levels. The proposed algorithm enforces the optimal selection process to maintain the perceptual qualities of more important objects at the best effor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et of selected media stream for presenting objects meets a current transmission condition with more high perceptual qu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