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esity middle aged wome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8초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s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nutrient intake,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dults based on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현경;정자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435-448
    • /
    • 2019
  • 현대 사회에서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 및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40 ~ 64세 중년층 7,728명을 대상으로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각 영양소의 섭취수준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남 여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년 남녀에서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에 따른 영양 및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하루 1회 이상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혼자 식사하는 군은 함께 식사하는 군에 비해 낮은 소득과 교육수준, 높은 비경제활동과 흡연 비율을 나타냈다.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남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단백질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과 칼륨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지방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여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은 그룹에서 에너지를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과 리보플라빈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에 따른 BMI와 대사증후군 구성지표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라 평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교란변수를 보정하여 대사증후군과 구성지표에 대한 오즈비를 비교한 결과,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라 대사증후군과 복부비만 및 혈압 상승의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혈당 상승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반대로, 여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룹별 평균 BMI가 감소하였으며, 보정 후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구성지표에 대한 위험도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영양 및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름을 보였으며, 중년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 증가와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에게서 칼륨과 단백질 섭취가 감소하였음을 고려하여, 혼자 식사하는 중년 남성들에 적합한 영양 관리와 식사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어성초 복용과 운동 수행이 중년여성의 복부 지방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Houttuynia Cordata Thunb Intake and Exercise Performance on Lipid Components and Abdominal Fat in Middle-Aged Women)

  • 김미숙;최현희;장명재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9-67
    • /
    • 2009
  • Houttuynia Cordata Thunb, well known as "E-Sung Cho" in Korea,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herpes simplex, chronic sinusitis and nasal polyps. Recently, some studies reported the antileukemic activity, anticancer activity, adjuvanticity, and antioxidant action of Houttuynia Cordata Thunb.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obesity activity of Houttuynia Cordata Thunb was investigated. Middle-aged women were examined over a period of 8 weeks (n=30).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Houttuynia Cordata Thunb Exercise (HCE, n=7), Placebo Exercise (PE, n=8), Houttuynia Cordata Thunb Non Exercise (HCNE, n=8), and Placebo Non Exercise (PNE, n=7). Participants in Houttuynia Cordata Thunb groups were received 4.5 g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in placebo groups were received same dose of placebo thrice daily with meals. The result after 8 weeks demonstrated that HCE significant decreased visceral fat than PNE. Our present study provides the evidence that Houttuynia Cordata Thunb intake and exercise performance may reduce visceral fat and further studies with larger numbers of subjects are warranted to conclusively demonstrate effectiveness.

중년기 비만여성에 대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e Middle Aged Obese Women)

  • 강진순;김희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6-367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conducted by public health center in Jinju city for obese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7 obese women(BMI $\geq$ 25) aged 35∼55 years in Jinju area, and the educational period was 6 weeks. We evaluated the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biochemical indices,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nutritional attitude of obese women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also daily intake during the educational period were measured. Weight, obesity index, BMT, waist circumferences and hip circumferences of obese wom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01) after nutritional education, but changes of WHR,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ot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LDH and blood glucose level in serum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al education, but the indices tend to decrease after the nutritional education.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hange of dietary behaviors in 3 items among the dietary behavior after the nutritional education. Their dietary habit,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attitude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nutritional education. Mean daily energy intakes was low compared with the RDA as 78.88%. The average carbohydrates, protein, fat ratio on the energy intakes was 63 : 17 : 20. The proportion of energy intake from snacks the was 12.91${\pm}$6.15%.

3차원 계측데이터를 활용한 고령 여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 -70-85세 여성을 중심으로 - (The Type of the Lower Body Shape of the Elderly Women Using the 3D Anthropometric Data -Focused on Women Aged 70-85-)

  • 차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2호
    • /
    • pp.27-3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body shape of women over 70 years and classified their body shap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nts patterns that can complement the weakness of the body shape of elderly women. It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0.0. Fiv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lower body: obesity and thigh thickness, lower body length, under knee thickness, ankle height, and hip sag. In type 1, the lower body was obese and the legs were thick, but the hips were not sagging. It was named 'high-hip obesity figure'. Type 2's abdomen, hip, and waist were obese, but the legs were thin and the hip were not sagging. Thus, 'bird-leg middle obesity figure' was the name. Type 3 had a long and slender lower body, but legs were thick and the hips were saggy, it was named 'strong-leg low-hip slender figure'. The elderly women showed less difference in waist, abdomen, and hip circumference. The abdominal circumference was 2-3cm more than the waist and hip circumference; hence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the shape and number of darts in the production of bottom-wear patterns for older women. In addition, the leg circumference is gradually reduced by aging compared to the size of the lower body.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earch for a method that can effectively design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p circumference and the leg circumference in relation to the body shape and the aesthetics of older women.

40, 50대 여성 비만도와 연령 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비교 (Comparison of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Prevalence Forty and Fifty Something Women)

  • 김희승;오정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3-458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etabolic syndrome (MS) risk factor prevalence by obesity and age in middle-aged women. Method: Two hundred and fifty-on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tertiary care hospital in an urban city. MS was defined by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ATP III), and obesity was determined by body mass $index(BMI){\geq}25kg/m^2$. Results: The mean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n-obese group. The prevalence of MS, hypertension,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n-obese group. In the forties,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n-obese group. In the fifties, body fat, sy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n-obese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urse should focus on the obese fifty year old female patients for improvement of the MS risk factors.

복합표본분석을 활용한 한국성인 대사증후군 환자들의 비만과 주관적 건강인식 (Prevalence of Obesity and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using Complex Samples Analysis)

  • 임현정;김응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75-18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의 성별, 연령에 따른 비만과 성별과 연령,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VI-2)의 건강설문조사에 응답한 5,674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판정을 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3.0의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에 높은 비율로 비만 유병률이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남성에서는 청장년(19~39세)이 77.2%의 비율로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나타냈고, 대사증후군을 가진 여성에서는 중년(40~65세)이 73.9% 비율로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나타냈다. 주관적 건강인식은 성별에서는 남성, 연령별로는 3개의 그룹 중 청장년이 가장 높았고, 대사증후군 유무로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집단이 주관적 건강인지 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질환과 주관적 건강인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하타요가 운동이 폐경기 비만중년여성의 렙틴농도와 대사증후군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tha Yoga Exercise on Serum Leptin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in Menopause Obese Middle-Aged Women)

  • 이정아;김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100-1106
    • /
    • 2010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5% 이상인 폐경기 비만중년여성 26명을 대상으로 하타요가 운동이 체조성과 렙틴 및 대사증후군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과 렙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인자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타요가 운동을 16주간 실시한 후 운동전과 후의 체조성, 렙틴 및 대사증후군인자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하타요가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내장지방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골격근량(SMM)은 증가하였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렙틴,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인슐린, 글루코스 및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하타요가집단의 렙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인자는 HDL-C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하타요가운동으로 체지방의 감량이 렙틴저항성을 개선하여 렙틴의 감소와 대사증후군인자의 개선으로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년 여성의 혈당수준에 따른 영양상태 및 식이염증지수의 융합적 관련성 평가: 2013-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Evaluation of the Relevance of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Inflammation Index to Blood Glucose Levels in Middle-aged Women: in terms of 2013-2018'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 박필숙;안토니키됴;박미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69-82
    • /
    • 2021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혈당수준에 따른 영양상태와 식이염증지수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년여성 4,57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다. 데이터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분석 기능의 교차분석, 일반선형모형, 로지스틱 회귀모형 등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당이 높은군(정상혈당군→당뇨군)의 대상자일수록 비만율과 혈중 TG/HDL-콜레스테롤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10 종)와 두류, 종실류, 버섯류, 과일류 등의 항염증식이의 섭취량은 낮았다. 또한 식이염증지수에 대한 혈당과의 관련성 결과는, 당뇨경계 및 당뇨병의 위험도가 항염증식이 Q1에 비해 친염증식이 Q5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혈당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의 섭취를 강조하는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중년 비만여성을 위한 수영복 치수규격 제안 (A Suggestion for the Size-designation for Obese Middle-aged Women's Swimsuits)

  • 임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91-399
    • /
    • 2012
  • This study helps out-size consumers purchase swimsuits and improves fitness by classifying the torso of middle-aged obese women; in addition, it creates a size system based on each size interval for obese types. The criteria for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ver 25kg/$m^2$ of the BMI, over 85cm of waist, and over 95cm of bust; 199 females were surveyed. Three torso types were categorized by a cluster analysis into X type (the vertical size of hip girth was the biggest of the three and the waist was slender), H-O type (larger than other groups in bust girth with more fat above the circumstance of the abdomen), and Y type (the upper half of body development type and lower body fatness were between those of type X and those of type H-O). As a consequence of size system establishment according to obesity types, the basic body sizes and reference body siz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even in commonly-appeared size names at sections of respective type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e necessity to understand obesity types according to bust girth and hip girth sizes that represent basic sizes as well as to design pattern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bese body shapes when swimsuits are designed for obese groups. Th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cide the desirable output of production according to respective body types.

중년 비만여성들의 가압 트레이닝이 체성분, 호흡·순환계 기능 및 심혈관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essurization Training with Walking on Body Composition, Respiratory Function, and Cardiovascular Response in Middle-Aged Obese Women)

  • 최현민;이동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45-551
    • /
    • 2012
  • 중년 비만여성들을 대상으로 다리 근육의 정맥 혈류를 제한한 가압 걷기 트레이닝 그룹 15명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3주간의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LBM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 1.2 kg이 증가, FM과 %fat에서는 각각 2.8 kg, 3.3%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둘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VO_2max$와 VEmax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 각각 3.6 ml/kg/min, 6.0 l/min 증가하였고, HRmax에서는 7 beat/min으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셋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심혈관 반응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서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CO과 TVC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서 호흡 순환계 및 심혈관 기능의 증가와 근육량 증가에 따른 체성분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범위를 넓혀 노년층까지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와 3주 이상의 운동을 적용시키면 보다 높은 임상학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