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intake food intake

검색결과 1,451건 처리시간 0.023초

경북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계절별 영양소섭취 비교 (Seasonal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the Gyeongpuk Rural Area)

  • 임영지;최영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8-67
    • /
    • 2007
  • For the rapidly growing elderly population, the achievement and maintenance of good nutritional status is critical to health,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ve been identified as a group associated with poor nutr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ietary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of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in a rural area and to examine seasonal variation. The subjects are 49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41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who reside in Goryeong-gun, Gyeongbuk, and their food intakes were assessed once each time in summer 2005, winter 2005-2006, and spring 2006. The average ages were 74.7 years for living alone and 72.8 years for living with family. Education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fasting blood gluco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verage intakes of major nutrients, nutrient adequacy ratio, mean adequacy ratio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were lower i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compared with th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in summer, but the differences in intakes of most nutrients became insignificant both in winter and in spring. High carbohydrate and low fat diet was prevalent and intakes of carbohydrate and fat in summer deviated from macronutrient acceptable distribution ranges. Percentages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energy less than 75%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and nutrients less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were higher than those reported by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summer,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energy less than both 75%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and 4 nutrients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was 58.5%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ich was higher than 26.5% of th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and that of National Nutrition Survey. Therefore, nutrition policies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and support are necessary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especially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should reflect regional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전주지역 노인의 식사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Quality Assessment among the Elderly in Jeonju Area)

  • 김인숙;유현희;서은숙;서은아;이형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352-367
    • /
    • 2002
  • 전주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30명 (남자 73명 (31.7%) 여자 157(68.3%))을 대상으로 식생활 조사를 실시하여 식사의 질을 평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수준은 남자는 중-고졸이 47.9%, 여자는 초등졸 이하가 55.4% (p<0.001), 가구소득은 남자는 51~150만원이 49.3%, 여자는 50만원 이하가 54.3% (p<0.001), 용돈은 남자는 6~10만원이 31.5%, 여자는 5만원 이하가 30.2% (p<0.001), 가족형태가 43.3%로 각각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유의적인 차이(p<0.001)가 있었다. 하루에 섭취한 식품가지수인 DVS는 남녀 각각 19.6, 17.7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평균 1일 식품 총 섭취량은 남녀 각각 1492.5, 1204.2g으로, 당류, 채소류, 음료, 난류, 어패류, 유제품은 남자가 여자보다 (p<0.05~p<0.001), 해조류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p<0.05). 식물성;동물성 식품비율은 남녀 각각 85 : 15, 89 : 11로 식물 비율이 남녀 모두 높았다. DDS(곡류, 육류, 유제품, 채소류, 과일류)의 식품군별 패턴에서 남녀 모두 11011 (유제품만 섭취하지 않음)이 각각 47.9, 33.8%로 가장 많았으며, KDDS(곡류, 육류, 채소류, 유제품, 유지류)의 식품군별 패턴 1위는 11100 (곡류, 육류, 채소류는 섭취하고 유제품, 유지류는 섭취하지 않음)으로 남녀 각각 46.6, 31.8%였다. DDS는 남녀 각각 4.0, 3.7 (p<0.05), KDDS는 각각 3.5, 3.2 (p<0.01)로 KDDS가 DDS보다 낮았다. KDDS를 끼니별로 적용한 Meal balance 분류에서 very bad($\leq$6)가 남녀 각각 4.1, 21.7%, bad(7~9)는 각각 58.9, 55.4%, normal (10~13)은 34.2, 22.3%, good (14~15)은 2.7, 0.5% (p<0.01)로 여자가 남자보다 점수가 낮았으며, 평균 점수는 남녀 각각 9.1, 8.1 (p<0.001)로 매 끼니마다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지 못하였다.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이 남녀 각각 1,740, 1,433 kcal (p<0.05)로, 권장량의 각각 84.0, 80.9%로 단백질 섭취량은 남녀 각각 67, 49 g(p<0.001)으로, 권장량의 각각 100.7, 88.3% (p<0.001)로 양호한 섭취를 보였다. 그러나, 칼슘은 권장량의 각각 62.7, 55.3% (p<0.001), 비타민 A는 각각 60.7, 53.9%이었다. 열량 구성 영양소인 단백질 : 지방 : 탄수화물의 비율이 남자는 15.8:15.7:68.5, 여자는 13.8:13.2:73:0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는 유의적으로 높고 (p<0.001), 탄수화물 비는 낮았다(p<0.01), 아침 : 점심 : 간식 : 저녁 : 밤참의 끼니별 에너지 배분을 보면 남자는 29.2 : 32.4 : 5.0 : 31.2 : 2.2, 여자는 30.5 : 33.5 : 4.5 : 28.6 : 2.9로 세끼 식사 중에 남녀 모두 점심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_2$는 여자가 1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NAR 중에서도 낮은 영양소는 비타민 A (남 0.52, 여 0.42 (p<0.05), 칼슘 (남 0.68, 여 0.54 (p<0.001)), 비타민 B$_2$(남 0.77, 여 0.67 (p<0.01))이었다. MAR은 남녀 각각 0.82, 0.73 (p<0.001)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주지역 노인들은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유제품군과 유지류 섭취가 낮았다. 영양소 섭취는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비타민 B$_2$는 질적 평가에서, 칼슘과 비타민 A는 질과 양이 모두 낮은 영양소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의 경우는 권장량의 절반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영양소의 섭취를 위해 효율적인 식품선택이나 추가 보충등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DVS를 종속변수로 하고 DDS, KDDS, MBS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 (Stepwise 방법)을 실시하여, 남자는 KDDS (p<0.001)가, 여자는 MBS, DDS(p<0.001) 순으로 채택되었다. MAR를 종속변수로 하고 DDS, KDDS, MBS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는 남자는 KDDS, DDS 순으로 (p<0.001), 여자는 MBS, DDS(p<0.001)순으로 채택되었다. 이것은 DDS보다는 KDDS가 전체 식품 가짓수를 가늠할 수 있으며, 영양소 섭취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즉, 우리나라 노인은 유지류 섭취빈도가 과일류보다 낮아 유지류 섭취 여부가 전체 식품 가짓수를 가늠할 수 있으며, 영양소 섭취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성인에서 비타민 섭취와 치주염 유병간의 관련성 (An Association between Vitamin Intakes and Establishe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 Population)

  • 천세희;정성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68-476
    • /
    • 201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에서 비타민 섭취와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에서 건강조사와 구강검진 및 식이조사에 모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6,245명의 자료를 추출한 후 복합표본설계를 반영하기 위하여 가중치를 고려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전신건강상태와 행태, 구강건강상태와 행태 및 비타민 섭취 5분위에 따른 치주염 유병률의 차이를 ${\chi}^2$-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전신건강상태와 행태 및 구강건강상태와 행태를 보정한 비타민 섭취와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치주염 유병률은 성별, 나이, 결혼상태, 교육, 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주관적 건강상태, 심혈관질환 여부, 당뇨 여부, 음주행태, 흡연상태, 및 BMI에 따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05), 칫솔질 횟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위생용품 사용여부에 따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한편 고려된 비타민 중 비타민 A와 레티놀 및 비타민 B2 섭취가 적을수록 치주염 유병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전신건강상태와 행태 및 구강건강상태와 행태를 보정한 후에는 비타민 B2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OR: Q1=1.00, Q2=0.72, Q3=0.73, Q4=0.76, Q5=0.84). 따라서 적절한 비타민 B2의 섭취는 치주염 유병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한국 성인 인구의 지속적인 치주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과체중 대학생에서 저열량식이 또는 저열량식이와 운동병합에 의한 체중 감량 효과 (The effects of weight loss by a low-calorie diet and a low-calorie plus exercise in overweight undergraduate students)

  • 윤군애;안현호;박보혜;유단비;박선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4호
    • /
    • pp.315-323
    • /
    • 2012
  •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ttempt to lose weight but often fail due to utilizing ineffective weight loss strategies. Some diet programs have succeeded, yet, they have not provided adequate skills for long-term weight maintenanc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low calorie diet and exercise with nutritional education on weight loss, serum lipid profiles,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behavior modification in overweight and obese undergraduate students. The subjects in the low calorie diet group (LCD; n = 12) and the low calorie diet plus exercise group (LCDE; n = 13) had the same goal of losing 4 kg during a 12 week program. Nutrient intakes were assessed by the 24 hour recall method. Also,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s were investiga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weight control program and one month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LCD and LCDE groups lowered body weight by 2 kg and 1 kg, respectively, although they decreased calorie intake by 355 and 287 kcal per day compared to intakes prior to the study. Body fat mass decreased in both the LCD and LCDE groups; however, the decrease was greater in the LCDE group. In addition, only the LCDE group increased muscle mass. The LCD group had a slightly better effect in reducing body weight, body fat, and waist circumference than the LCDE group. However, their decrease was reversed after the mid-study check in the LCD group; the reduction was better maintained and decreased more in the LCDE group. However, serum lipid profiles were already in borderline prior to the study; moreover, they were not modified after losing weight. The dietary behavior program helped students to develop better dietary habits.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a low calorie diet and exercise is necessary in order to maintain longer weight loss by increasing muscle mass and decreasing body fat.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Lacto-Ovo-Vegetarian과 Non-Vegetarian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Differences in Dietary Habits, and Nutrients Status of Lacto-Ovo Vegetarian and Non-Vegetarian University Students)

  • 제해종;신경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9-280
    • /
    • 2015
  • 본 연구는 노원구 S대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lacto-ovo-vegetarian과 non-vegetarian으로 나누어 신체계측, 건강상태,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하여 건강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실시하였다. 1. Lacto-ovo vegetarian과 non-vegetarian의 신장은 차이가 없었지만, 체중은 non-vegetarian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Lacto-ovo vegetarian은 종교적인 이유로 채식을 하고 있었으며, 영양학적으로 채식 식사의 만족도는 86.0%를 차지하였다. 3. Lacto-ovo vegetarian과 non-vegetarian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영양제 복용율은 낮은 편이었으며, 운동을 하는 비율은 lacto-ovo vegetarian 64.0%와 non-vegetarian 61.4%가 한다고 답하였다. 4. Lacto-ovo vegetarian은 non-vegetarian에 비해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였으며,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전체 조사대상자들은 모두 외식을 한다고 답하였으며, 외식 시 선호하는 음식으로는 한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Lacto-ovo vegetarian은 non-vegetarian에 비해 우유나 유제품(요구르트, 요플레 등)을 매일 1병 이상 마시는 점,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할 때마다 먹는 점, 과일(1개)이나 과일주스(1잔)를 매일 먹는 점, 식사는 매일 세끼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점 및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점에 대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해 non-vegetarian은 달걀, 콩 및 두부 등으로 된 음식을 끼니마다 먹는 점과 튀김이나 기름에 볶는 요리를 주 2회 이상 먹는 점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6. Lacto-ovo vegetarian의 경우, 에너지, 비타민 $B_2$, $B_6$ 및 니아신 섭취율이 낮은 반면에, 식이섬유는 충분히 섭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non-vegetarian은 식이섬유는 부족하게 섭취하였으나, 소디움, 콜레스테롤 등의 영양소는 과잉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건강관련사항이나 식습관에 있어서는 두 군 간에 큰 차이는 없었지만, 영양소 섭취상태에서는 lacto-ovo vegetarian과 non-vegetarian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Lacto-ovo vegetarian의 경우에는 육류나 생선 섭취를 하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열량을 비롯한 다른 영양소의 섭취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신중한 식사계획이 필요하며,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대체식품의 이용률을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non-vegetarian의 경우는 지속적인 영양소의 과잉 섭취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기(靑少年期) 식사(食事)의 질(質)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ietary Quality of Adolescence)

  • 임국이;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3호
    • /
    • pp.225-233
    • /
    • 1985
  • 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식품섭취균형도 점수는 17점 만점에 평균 11.93점으로 대부분의 영양소가 권장량에 미달된 가능성이 큼을 시사해 주었다. 2) 식사의 질이 불량한 군일수록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높았다(P<0.01). 3) 식사의 질이 불량한 군일수록 자신의 체형을 뚱뚱한 형으로 평가했으며 과체중율이 높았고 자신의 체형에 대해 불만족을 표했다(P<0.01). 4) 식사의 질이 불량한 군일수록 결식율이 높았고 식사가 불규칙적으로 이루어 졌다(P<0.01). 5) 식사의 질이 양호한 군일수록 단백질 식품군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다(P<0.05). 6) 식사의 질이 양호한 군일수록 간식 섭취 횟수 (P<0.01)와 인스탄트 식품 이용도(P<0.01)가 높았고 식사시 식품배합을 고려하는 율이 높았다(P<0.05).

  • PDF

한국 성인 여자에서 복부비만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 비교 -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Comparison of Chronic Disease Risk b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Women - Using Data from the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38-945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as predicted b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females. Data on 2,738 adult females aged 40~64 yrs was obtained from the 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rmal (n=1,835), abdominal obesity (AO, n=73), and BMI-diagnosed abdominal obesity (BMI-AO, n=505) groups based on the NCEP-ATP III guidelines and by applying the KSSO definition regarding 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blood levels, fasting blood sugar level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higher in the AO and BMI-AO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HDL-cholesterol levels of subjects in the two abdominal groups were lower as compared to those of subjects in the normal group. The mean adequacy ratio was lower among subjects in the AO and BMI-AO groups than among those in the normal group. Moreover, the NAR and INQ scores of some micro-nutrients in both of the abdominal obesity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Both the AO and BMI-A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ks of hypertriglycemia, hyperglycemia, hypertension, hypoHDL-cholesterol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an were shown by the normal group. Notably,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AO group showed higher risk of hypercholesterolemia, hyperLDL-cholesterolemia, hypertriglyc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an did the BMI-AO group.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evention programs including programs for those with abdominal obesity despite their having a BMI within the normal range.

여자 노인의 거주지별 영양상태 및 관련 요인 (Nutrition States and Related Factors of Female Elderly according to Residence)

  • 박미연;박정영;박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8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evaluate nutritive conditions of the female elderly (2,893 people) based on a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and health-related factors influencing nutritional intake. The results are as follows.- Average age of all subjects was $72.12{\pm}5.2$ old. BMI ($24.48{\pm}3.3kg/m^2$) and waist size ($83.9{\pm}9.5cm$) of urban elderly was larger ($23.74{\pm}3.3kg/m^2$, $82.28{\pm}9.9cm$) than that of rural elderly. MAR[4] and MAR[10] were also higher in urban elderly than rural elder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poor nutrition of elderly subjects were increasing age, smoking, and self-rated health. Old-old and current smokers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poor nutrition (OR 1.82, 95%CI 1.43~2.30) and (OR 3.40, 95%CI 2.17~5.33) elderly female subjects in urban areas. Smoking (OR 2.29, 95%CI 1.33~3.95), poor self-rated health (OR 1.55, 95%CI 1.11~2.16), over nine hours of sleep per nighting (OR 1.72, 95%CI 1.17~2.53) and stress (OR 1.46, 95%CI 1.10~1.92) of elderly female subjects in rural area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ikelihood of a poor nutrition. In conclusion, rural elderly are more influenced by poor health practice behaviors (self-rated health, sleeping stress) and psychological factors. Nutrition status of the rural elderly is worse than that of the urban elderly. To reduce nutritional risk of Korean elderly, especially rural elderly, active nutrition arbitration should include psychological environmental factors.

춘천지역 일부 비만인 성인대상 식생활교육과 운동중재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Obese Adults in Chuncheon Area)

  • 원선임;유영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3-13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using dietary consult and physical exercise conducted by public health center in Chuncheon city for obese adults. This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58 out of 90 obese adults with body mass index (BMI) greater than $25kg/m^2$ who completed all education sessions for 8 weeks. Data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nutritional knowledge,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biochemical indices and daily nutrient intakes assessed by a 24-hour recall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program effectiveness.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exercise status and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ccuracy. Especially, the answer of 'I drink a cup of milk every da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01), and the answer of 'I don't overeat', which is a dietary attitude ques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Dietary intakes of most of nutri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But calcium (p<0.05), potassium (p<0.05), vitamin A (p<0.01), vitamin E (p<0.05), and folic acid (p<0.0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emale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Weight (p<0.05), BMI (p<0.01), blood pressure (p<0.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rogram, but changes of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mass were not significant. Resting heart rate (p<0.01), flexibility (p<0.001), whole body reaction (p<0.05), grip strength (p<0.01) and balance (p<0.01) showed positive changes after the intervention. Blood glucose level in ser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not only for weight reduction but also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in obese adults.

영양 대사체학 (Nutritional Metabolomics)

  • 홍영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9-186
    • /
    • 2014
  • 대사체학이 질병, 약물, 스트레스, 식이, 생활습관, 유전적 차이, 장내 미생물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대사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관련 바이오 마커 발굴에 중요한 역할이 증명됨에 따라, 식품 영양학과 대사체학이 융합된 영양 대사체학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잘못된 식생활에 따른 미래의 질병 예측이 가능해지고 있어 향후 적절한 질병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적절한 식생활이나 식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강 증진은 물론 개인별 맞춤식이나 맞춤약물 처방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personalized health care) 시대가 멀지 않았다. 또한 복잡한 식생활 패턴, 대사 반응에 대한 개인 간 차이 그리고 방대한 대사체 데이터와의 관계들을 효과적으로 밝혀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영양 대사체학(nutritional metabolomics)이 유전체학(genomics or transcriptomics)과 단백체학(proteomics) 기술과 융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때 질병과 식사 섭취 사이의 관계가 더욱 투명하게 규명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