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ber of tooth brushing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2초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 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 비교 (Comparison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of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 이정화;조미숙;이민경;진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95-501
    • /
    • 2014
  • 이 연구는 학교구강보건실 운영과 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에 관련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김해, 양산 지역 초등학교 학생을 7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13년 7월 5일부터 2013년 7월 23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학생이 직접 응답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재학생은 494명이었으며, 비운영학교 재학생은 286명으로 구강보건지식을 분석한 결과 운영학교에서 평균 구강보건지식은 3.36점, 비운영학교 평균 구강보건지식은 2.94점으로 운영학교 학생에서 평균 구강보건지식이 높았다(p<0.001). 학교구강보건실을 운영학교 아동에서는 비운영학교 아동에 비해 구강보건지식(OR=1.58, 95% CI=1.35~1.8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잇솔질 횟수(OR=1.06, 95% CI=0.93~1.2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학교구강보건 사업을 통하여 학생에게 적기에 구강보건교육 및 관리를 시행하여 구강보건 지식과 행동에 대해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사업의 지속적인 운영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is associated with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 Shin, Hye-Sun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3권6호
    • /
    • pp.1150-1159
    • /
    • 2018
  •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and chronic kidney disease (CKD)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2,519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cross-sectionally examined.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was evaluated by clinical oral examination. CKD was defined based on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by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2012 guidelines.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controlling for age, gender, income, education, tooth-brushing frequency, periodontitis, state of dentition, smoking, alcohol consumption,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mellitus, and hypercholesterolemia. Subgroup analyses by age and gender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e number of tee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KD after controlling for all potential confounders (adjusted odds ratio [AOR], 1.6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4 to 2.70 for lower number of teeth; AOR, 1.59; 95% CI, 1.14 to 2.23 for moderate number of teeth). In the subgroup analyses, the association was highlighted in females aged 75 years over (AOR, 2.55; 95% CI, 1.05 to 6.20 for lower number of teeth; AOR, 1.95; 95% CI, 1.01 to 3.80 for moderate number of teeth).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may be associated with CKD among Korean elderly.

구강보건교육 및 지식도와 구강보건행태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경기 일부 지역 보건소 내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A study of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and knowledge: focus on the public health center visitors at Gyeonggi-do districts)

  • 남신은;조미향;전수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9-326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knowledge who visit public health center at Gyeonggi-do districts. Methods: The research has come into a survey from 2th on March to 27th on April 2018 on the youth and the century where is located in Gyeonggi-do public health center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brushing, correct tooth brushing, and the use of oral aids in the pres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p<.05). Oral health education has been shown to affect knowledge and behavior whe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s high. Conclusion: Periodic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not once for the prevention of proper oral care and oral illness.

대학생의 구강관리용품 휴대여부에 따른 구강건강행태 차이 (Association between Carrying a Toothbrush and Oral Health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 정미애;김민지;하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43-249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관리용품 휴대율을 조사하고, 구강관리용품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행태를 파악하며, 대학생이 학교에서 칫솔질을 수행하지 않는 이유 에 대하여 파악하여, 대학생들이 적절하게 구강건강관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소재 K대학 생활관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생활관생 총 504명 중에서 편의추출법에 의하여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응답이 불성실하여 분석이 부적절할 것으로 판단된 일부를 제외한 198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칫솔을 휴대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45.5%로 조사되었고, 구강관리용품(칫솔)을 휴대하는 대학생들이 휴대하지 않는 대학생들보다 구강건강관련 관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하루 칫솔질 횟수, 잠자기 전 칫솔질 여부 및 음주 후 칫솔질 여부와 같은 구강건강행태는 구강관리용품을 휴대하는 대학생에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생활 터 양치시설 설치뿐만 아니라, 물적 자원의 제공이 어렵다면, 구강관리용품의 휴대를 권장하는 등의 실질적인 구강보건활동에 대한 홍보사업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자녀(子女)에 대한 구강(口腔) 보건(保健) 기초(基礎) 지식(知識)에 관한 연구(硏究) (대구시내(大邱市內) 치과내원(齒科內院) 환자(患者)의 부모(父母)를 중심(中心)으로) (Study on the Oral Health Care by Parents Who have The Child)

  • 이종도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5-184
    • /
    • 1997
  • 본 연구는 아동기에 있는 자녀를 둔 부모들로서 치과의원을 내원한 진료환자 중 217명 대상으로 구강건강 실태에 대한 정도를 파악하여 구강보건 관리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목적으로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강보건에 관한 기초적 지식 중 유치갯수(20개)에 대한 인지도는 연령별로는 30대(47.6%)에서, 학력별로는 고졸(29.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연령별, 학력별 통계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충치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이를 잘 안 닦아서가 44.0%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단 것을 많이 먹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6.4%로 차지하고 있다. 충치예방법으로 불소치약 사용이 26.5%, 당분섭취 제한이 23.3%로 높게 나타났다. 3. 자녀의 치아건강을 위해서는 자주 이를 닦는 것이 중요하다는 빈도가 57.6% 가장 높게 나타나 치아건강에 있어 칫솔질의 중요성을 대부분이 인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4. 충치의 보유실태에서는 자녀의 충치발생수가 45.8%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적을수록 경험한 빈도가 높으며(P<0.05), 봉하거나 보철을 한 자녀가 84.7%로 나타나 자녀들의 치아건강 관리에 대해 부모들이 많이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자녀들에 대한 칫솔질 교육과 행동지도에서 잇솔질 시기는 만 2∼3세부터 시키는 것이 적당하다가 42.6%로 나타났으며 칫솔질은 스스로 하게끔 만든다가 80.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6. 구강보건에 대한 정보의 습득경로는 매스컴이 38.9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보건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이 90.1%로 절대적으로 많았다. 지금까지 체계적인 구강보건 교육이 거의 없었으며 대중매체에 의한 단편적인 지식습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체계적인 구강보건 교육을 통해 인지된 지식을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이 구강 보건 전문가들의 과제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구강관리에 있어서 부모들의 지식과 실천이 자녀들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구강 보건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치과계의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 PDF

Effectiveness of a 5-year Community Oral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in Korea

  • Song, Eun-Joo;Hwang, Soo-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2-208
    • /
    • 2017
  • Korea has been running the community oral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including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and scal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345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and of 37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5-year program. The survey consisted of an interview questionnaire and oral examination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compare the variables of the 345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numbers of participants.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oral health statuses before and after the 5-year program in 37 subjec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oral health program in the elderly, including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satisfaction with oral health, concern about oral health, need of dental treatment, oral pain, tooth sensitivity, subjective periodontal health, and subjective symptoms of periodontitis. The 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 of the 1 time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3 times, 4 times or 5 times participants in the upper center, lower left, lower center, and lower right area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PI from $2.59{\pm}1.14$ to $1.41{\pm}1.54$ (p<0.001) and positive oral behavioral change (daily tooth brushing frequency from $2.27{\pm}0.73$ to $2.54{\pm}0.90$) before and 5 years after the program. However, the program did not prevent tooth loss as the numbers of the remaining teeth significantly reduced from $23.77{\pm}1.84$ to $21.95{\pm}2.03$ over 5 years. We showed that running the community oral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for more than three years migh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eriodontal health of participants.

청소년의 구강건강 특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융합 요인: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Convergence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of Oral health characteristics in adolescents: The 16th(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이성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27-134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구강건강 특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청소년건강행태조사(제16차, 2020년)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다(54,948명). 주관적 행복은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학업성적, 경제수준, 거주형태, 자살생각, 음주경험, 흡연경험, 어머니 학력)의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구강건강 특성(칫솔질 횟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외상, 통증, 잇몸출혈 경험)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융합 요인은 칫솔질 횟수(2회(OR=1.45), 3회(OR=1.53)), 점심식사 후 칫솔질(OR=1.19), 실란트경험(OR=1.08), 통증(OR=0.73), 잇몸출혈 경험(OR=0.74)이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약물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건강행위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in juveniles with experience in drug)

  • 박민희;전해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102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tent of the health behaviors of juveniles with experience in drug and the extent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s. Then the impact of such factors on the oral health was analyzed. Methods: The analysis in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from 'The Fif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fter getting approval for use from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juveniles with experience in drug. Analysis was done by using 8 socio-demographic variables, 6 health behaviors related variables, 4 oral-health behaviors related variables and 1 oral health related variable. All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7.0 program. as frequency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that give impact on the oral health of juveniles with drug experience were found as: gender, academic year, study grade, school type, school class, city scale, economic status, residential type, experience in alcohol, experience in smoking, obesity, frequency of medium-level physical exercise, eating breakfast frequency, hours of sleeping, number of tooth-brushing in one day, brushing teeth after lunch frequency, experience in dental treatment and experience in oral health training.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juveniles with drug experience, health behaviors such as stop-smoking, stop-drinking and regular physical exercise are recommended. In addition, they should stop using drugs that threats their oral health.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o maintain the continuous enhancement of their oral health is also required.

  • PDF

Biscover의 잇솔질에 따른 마모양상과 항우식 효과 (Experimental brush wear pattern and cariostatic effect of Biscover)

  • 오은주;박성수;장문주;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4-222
    • /
    • 2008
  • 본 연구는 Biscover를 교정학 영역에서 치아우식 예방 목적으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Biscover의 잇솔질에 대한 마모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인공우식용액에서의 치면 변화를 관찰하여 항우식 효과를 평가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100개의 인간 소구치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90개의 Biscover coating군과 10개의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Biscover coating 군은 잇솔질 횟수에 따라 무작위로 10개씩 9개의 군(B1 - B9)으로 분류하였으며, 대조군 역시 잇솔질 횟수에 따라 5개씩 2개의 군(C1, C2)으로 분류하였다(B1, 0; B2, 450; B3, 900; B4, 1,800; B5, 2,700; B6, 5,400; B7, 8,100; B8 & C1, 10,800; B9 & C2, 21,600 strokes). 3-body 마모 시험기를 이용해 치아 시편에 대한 잇솔질을 재현하였으며, 100 rpm의 빈도와 1.5N의 힘을 적용시켰다. Biscover 도포 후 법랑질면의 조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고, 잇솔질 후에는 증가하였지만, 자연 법랑질보다 낮은 조도를 보였다 (p < 0.001). Biscover 도포 후 잇솔질 기간과 표면의 거칠기의 변화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SEM을 이용한 표면과 단면 관찰 시 10,800회 잇솔질 후에 Biscover 층이 모두 마모된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치아를 인공우식용액에 7일간 침식하여 평가한 결과, 10,800회와 21,600회 잇솔질한 Biscover coating군에서는 매끄러운 표면이 관찰된 반면, 대조군인 자연치면은 심한 탈회가 진행된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Biscover 도포는 치면의 활택도를 향상시키며, 적절한 마모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마모에 의해 Biscover층이 제거된 후에도 자연치면에 비해 우식에 대한 큰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교정장치의 부착에 있어 이의 적절한 활용이 기대된다.

잇솔질 후 헹굼 횟수에 따른 구강 잔여 세치제의 양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amount of remaining toothpaste in the mou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rinse after brushing)

  • 김승연;안다은;양정인;원미경;이정현;장정연;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93-39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잇솔질 후 헹굼 횟수에 따른 흡광도 및 pH 변화를 조사하여 구강 내 잔여 치약의 양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헹굼 횟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 K대학 대학생 중 일생생활에 지장이 없는 건강한 신체를 가진 학생 총 14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잇솔질 후 0회부터 12회까지 40ml의 물로 입울 헹구었다. 각 헹굼액은 수거하여 흡광도 및 pH를 측정하였다. 헹굼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한 결과, 잇솔질 후 6 ~ 7회의 헹굼액부터 흡광도 값이 일정한 수치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1g, 1.5g, 2g으로 달리한 치약의 양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치제 사용에 관한 교육과 구강 내 잔여 세치제가 구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