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ber of stomata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9초

Cd$^{2+}$ 에 의한 닭의장풀의 식물 독성에 Indole acetic acid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ole Acetic Acid (IAA) on Cd$^{2+}$_induced Physiological Toxicities in Commelina communis L.)

  • 이준상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34-239
    • /
    • 2003
  • 3주간 정상적으로 생장한 닭의장풀을 Hoagland용액 ($\pm 100 \mu M \;Cd^{2+}, 100 \mu M \;Cd^{2+}+10 \mu M\;IAA,100 \mu M\; Cd^{2+}+100 \mu M \; IAA,100 \mu M \; Cd^{2+} +1 \mu M \; IAA)$에서 3주간 수경재배 한 후 생장, 기공개폐, 엽록소 함유량, 엽록소 형광 및 수분퍼텐셜을 조사하였다. Hoagland용액에 $Cd^{2+}$ 처리시 3주 동안 2.0 cm 생장했으나, 대조구는 7.0 cm생장했다. 반면에 카드뮴에 10$\mu$M IAA를 같이 처리한 경우는 3주 동안 3.7 cm자랐으며, 100 $\mu$M IAA를 같이 처리하면 3주 동안 5 cm그리고 1mM IAA의 경우는 3.3 cm 생장하였다. $Cd^{2+}$은 기공열림을 촉진하였으며, 아울러 IAA첨가는 $Cd^{2+}$을 단독처리 한 경우보다 기공열림을 더 촉진하였다. 엽록소 함량의 변화는 $Cd^{2+}$ 처리구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Cd$^{2+}$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3주 때 엽록소 함량이 13%억제되었다. $Cd^{2+}$과 IAA를 함께 처리한 경우는 10 $\mu$M과 100 $\mu$M에서는 뚜렷한 엽록소 함량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1 mM IAA 처리구에서는 약 9%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정상적인 엽록소 a/b비율을 보여주었으나, $Cd^{2+}$처리구에서 3주 배양한 경우 2.38을 보여주었다. Fv/Fm 측정 결과 $Cd^{2+}$ 처리는 Fv/Fm값에 영향을 주었다. 카드뮴 처리 1주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2주와 3주 처리시에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9%와 11% 억제되었다. $Cd^{2+}$처리시 약 3주 후에 약 67%가 수분퍼텐셜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Cd^{2+}$에 IAA를 다양한 농도에서 첨가하면 수분퍼텐셜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위의 결과들로부터 IAA는 식물의 생장, 엽록소 함량,Fm/Fv그리고 수분퍼텐셜에서 $Cd^{2+}$에 의한 심각한 독성을 뚜렷하게 완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草本植物의 重金屬 抵抗性에 關한 硏究 - Cadmium, Lead 處理 土壤에 의한 反應 - (Study on the resistance of various herbaceous plants to the effect of heavy metals-responses of plants to soil treated with cadmium and lead-)

  • Kim, Byung-Woo;Park, Jong-S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433-449
    • /
    • 1992
  • Three horticultural herbaceous plants and a natural herbaceous plant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growth responses, biomass and uptake of cadmium(cd), lead(pb) by application of cd and pb soil treatment in pot culture. The ecological effects on the growth of the plant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tolerance for the heavy metal pollutants cd and pb. the marginal concentrain of cd treatment on the growth of the each plant was below the 1, 000 ppm treatment of cd. The marginal concentration of pb treatment was below the 1, 000ppm treatment of pb in cultivation of salvia splendens ker., celosia cristata l. and below the 3, 000ppm treatment of pb in cultivation of portulaca grandiflora hook., sedum saramentosum bunge. the resistance for cd of sedum saramentosum bunge, celosia criastata l., portulaca grandiflora hook. and salvia splendens ker. was in the listed order. The resistence for pb was in order of sedum saramentosum bunge, portulaca grandiflora hook. Salvia splendens ker.and celosia criastata l.stems. The flowering of portulaca grandiflora hook. was sustained in the pb 1, 000ppm treated group only.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pb in the soil cultivated the plants was, the less the content of leaf chlorophy11 in each plant was. The number of stomata per unit leaf area was the highest in salvia splendens ker. and in order of celosia l., sedum saramentosum bunge., portulaca grandiflora hook., the higher the cd and pb concentration of cd and pb treatment was, the more the concent of cd and pb in the part of each plant increased. the content of cd and pb in the stems of salvia spiendens ker. was the highest in the 1, 000ppm-treated ground and in order of the roots, the leaves and the flowers.

  • PDF

Cytohistological study of the leaf structures of Panax ginseng Meyer and Panax quinquefolius L.

  • Lee, Ok Ran;Nguyen, Ngoc Quy;Lee, Kwang Ho;Kim, Young Chang;Seo, Ji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463-468
    • /
    • 2017
  • Background: Both Panax ginseng Meyer and Panax quinquefolius are obligate shade-loving plants whose natural habitats are broadleaved forests of Eastern Asia and North America. Panax species are easily damaged by photoinhibition when they a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or insufficient shade. In this study, a cytohistological study of the leaf structures of two of the most well-known Panax species was performed to better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processes that limit photosynthesis. Methods: Leaves of ginseng plants grown in soil and hydroponic culture were sectioned for analysis. Leaf structures of both Panax species were observed using a light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sults: The mesostructure of both P. ginseng and P. quinquefolius frequently had one layer of non-cylindrical palisade cells and three or four layers of spongy parenchymal cells. P. quinquefolius contained a similar number of stomata in the abaxial leaf surface but more tightly appressed enlarged grana stacks than P. ginseng contained. The adaxial surface of the epidermis in P. quinquefolius showed cuticle ridges with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P. ginseng. Conclusion: The anatomical leaf structure of both P. ginseng and P. quinquefolius shows that they are typical shade-loving sciophytes. Slight differences in chloroplast structure suggests that the two different species can be authenticat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s, and light-resistant cultivar breeding can be performed via controlling photosynthesis efficiency.

韓國에 分布하는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Nakai)의 生態型的 變異 (Ecotypic Variation of Pulsatilla koreana Nakai Distributed in Korea)

  • Lee, Ho-Joon;Say-Young Kim;Change-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4호
    • /
    • pp.379-398
    • /
    • 1991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cotypic variations of pulsatilla koreana nakai distributed in korea, 8 local populations of the plant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latitude and compared on the differences of leaf shape, elongstion, stomatal distribution and dhlorophyll content. The incised angle of the plant is 38。32' in cheju, showing a grea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23。77'-30。 32' of the other sites. as to the incised rate, mt. togyu and cheju representsed relatively high values of 49.04% and 48.21% the parted leaved individuals were only observed along the warm current coastal area including cheju, sokcho and sunchon and were 54(62.8%), 2(2.5%) and 3(3.3%) in the site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individuals consisting of only parted learves were 5(5.8%) in cheju alone and none of the other sites showed such individuals at all. So p. cernua distributed in cheju and p. koreana in inland area can be considered to beecotypic variations of the same species from the upper investigations. According to the elongations of leaf and rachis, the local populations could be classified into 3 types, such as warm current coastal area type(cheju,sunchon and sokcho),southern inland area type(andong, chungju and mt. togyu)and central inland ara type(mt. komdan and hongchon). The dentate numbera of 39.80-43.73 in the warm current area were also different from those of 87% in mt.togyu and 15% in hongchon, while opposite leaflets account for 100% in the other sites. The content of chlorophyll ranged from 0.609 mg/g. d.w.(cheju)to 0.924 mg/g.d.w.(hongchon), showing an increasing trends as the latitudes grow higher. The number of stomata on the low epidermis is much larger than that on the upper epidermis in the whole area. But both aspects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too as the latitude becomes higher.

  • PDF

조림지(造林地)에서 선발(選拔)한 자연(自然) 4배체(倍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a Tetraploid of Robinia pseudoacacia L. Selected in the Planted Forest)

  • 김정석;이석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4
    • /
    • 1972
  • 당연구소(當硏究所) 북서편(北西便)에 위치(位置)한 칠보산(七寶山)에서 자연생(自然生) 광엽계통(廣葉系統)의 아까시나무를 선발(選拔)하여 몇가지 특성(特性)들을 조사(調査)하였다. 염색체수(染色體數)에 있어서는 역시 2n=40으로 인위(人爲) 4배체(倍體)와 같은 수(數)를 갖이고 있었으며 외부형태(外部形態)은 잎이 크고 농록색(濃綠色)을 나타내며 두터웠다. 그리고 기공(氣孔)의 길이와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기공(氣孔)의 수(數)에 있어서는 2배체(倍體)와 비슷하였으나 섬유(纖維)의 길이 및 폭(幅)은 2배체(倍體)보다 증대(增大)되였고 생장상황(生長狀況)에 있어서는 인위(人爲) 4배체(倍體) 광엽(廣葉) 아까시나무와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부추속(Allium L.) 잎 표피의 구조와 이의 분류학적 중요성 (Leaf epidermal structure of the Allium L. and its taxonomic significance)

  • 최혁재;장창기;고성철;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7-118
    • /
    • 2004
  • 부추속 분류군들에 대한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잎 표피의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종 수준 또는 절이나 아속의 수준에서 각 분류군의 주요형질 및 형질의 변이 한계를 파악하였다. 잎 표피세포의 모양은 장방형에서부터 아주 긴 선형으로 관찰되었고, 크기는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였다. 엽신이 넓은 달래절, 산마늘절, 두메부추절 등에 속하는 분류군의 표피세포는 장방형으로 선형을 가지는 다른 절로부터 이들을 구분되었다. 산마늘절의 잎은 이면기공엽으로 관찰되어 양면기공엽을 가지는 나머지 분류군들과는 구분되었다. 기공복합체에서 공변세포 크기는 각 분류군 간에 거의 변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위면적 당 기공의 수는 표피세포의 크기가 커지면 적어지고,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면 많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엽신이 넓고, 표피세포의 모양이 장방형인 산마늘절에서는 다른 선형의 세포를 가진 종에서 보다 아주 적게 나타났다. 관찰된 모든 분류군에서는 불규칙형 기공이 나타났다. SEM에 의한 잎 표피세포의 미세구조 관찰 결과, 표피 외벽의 융기 형태와 wax의 침적 양상이 종간에 다소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표면이 융기된 돌기물의 형태는 달래절과 산마늘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달래절에서는 세포벽의 표면에 주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미세무늬가 나타났고 산마늘절에서는 평행인 미세무늬가 나타났다. 세포벽 외부의 돌기물의 구조는 돌추절과 두메부추절에서는 뚜렷한 선모양으로, 노랑부추절에서는 미약한 선모양으로 관찰되었으나, 다른 분류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달래절과 산마늘절의 분류군을 제외한 다른 분류군에서는 왁스가 침적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소나무천연집단(天然集團)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II) -명주(溟州), 울진(蔚珍), 수원집단(水原集團)의 침엽(針葉) 및 재질형질(材質形質)-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II)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Myong-Ju, Ul-Jin, and Suweon Populations-)

  • 임경빈;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20
    • /
    • 1976
  • 소나무 천연임분(天然林分)의 변이(變異)를 연구하기 위해 1974년도(年度)의 3개집단선발(個集團選拔)에 이어서 소나무 3개집단(個集團)이 강원도(江原道) 명주군(溟州群) 연곡면(連谷面) 삼산리(三山里)(4), 경북(慶北) 울진군(蔚珍郡) 서면(西面) 하원리(下院里)(5), 경기도(京畿道) 수원시(水原市) 이목동(梨木洞)(6)에서 선발(選拔)되었다. 각(各) 집단별(集團別)로 20개체(個體)의 임목(林木)이 선정되어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특성(特性) 그리고 침엽(針葉) 및 재질(材質)의 특성(特性)이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침엽(針葉)의 특성중(特性中)에서 거치밀도(鋸齒密度), 수지도수(樹脂道數)는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집단간(集團間)에 차이(差異)를 갖지 않았지만 엽(葉) 양면(兩面)의 기공열(氣孔列)은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집단간(集團間)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그러나 개체간(個體間)에는 모든 침엽(針葉)의 특성(特性)에서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지적(指摘)될 수 있었다. 2. 어느 집단(集團)을 막론하고 기공열(氣孔列)에 있어서는 잎의 복면(腹面)과 배면간(背面間)에 높은 상관(相關)을 지니고 있었다. 3. 연주군(溟州郡) 집단(集團)이 수지도(樹脂道) 지수(指數)에서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것은 그 집단(集團)이 잡종성(雜種性)을 지녔다는 것을 뜻한다. 4. 재질(材質)의 특성(特性)에서 연륜폭(年輪幅)과 추재율(秋材率)은 집단간(集團間)에 통계학상(統計學上) 차이(差異)를 보였지만 비중(比重)과 가도관장(假導管長)은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가 없었다. 그러나 한 집단내(集團內)에 있어서는 모든 값이 연륜구분간(年輪區分間)에 통계학적(統計學的)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5. 연륜폭(年輪幅)은 수령증가(樹令增加)에 따라 급(急)히 감소(減少)했지만 추재율(秋材率), 비중(比重), 가도관장(假導管長)은 장령기(壯令期)까지는 서서(徐徐)히 증가(增加)하고 그 후(後)에 점차로 감소(減少)하였다. 그렇지만 감소(減少)하는 증가(增加)하는 양상(樣相)은 집단(集團)에 따라 다소(多少) 차이(差異)가 있었다. 6. 모든 침엽특성(針葉特性)에 의(義)한 변이계수(變異係數)에서 울진집단(蔚珍集團)의 값이 대체로 높았다. 그리고 모든 재질(材質)의 특성(特性)에 의(義)한 변이계수(變異係數)에서 수원집단(水原集團)의 값이 언제나 가장 높았고 명주군집단(溟洲郡集團)의 값은 가장 낮았다.

  • PDF

거미꼬리고사리의 잡종성 분석 (Analysis of hybridity of Asplenium castaneo-viride Baker)

  • 권영주;김철환;안진갑;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23
    • /
    • 2009
  • 거미꼬리고사리의 잡종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종으로 추정되는 꼬리고사리, 거미고사리와 함께 외부형태, 포자형태, 해부학적 형질 그리고 염색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거미꼬리고사리는 엽신이 선상 피침형으로 1회 우상분열을 하지만, 우편 기부가 중축에 넓게 붙어 거의 단엽에 가까운 형태를 띠어 거미고사리와 유사하거나 또는 도피침형이며 기부의 우편이 삼각상 피침형으로 2-3갈래져서 꼬리고사리와 유사한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3 분류군의 포자의 표면무늬는 돌출된 날개를 형성하는 주름이 있고, 이들이 불규칙하거나 완전치 않은 망상을 형성하였다. 망상무늬의 분포양상은 꼬리고사리의 경우, 성긴 것부터 중간형까지, 거미고사리의 경우, 조밀한 것부터 중간형까지 나타난 반면, 거미꼬리고사리는 성긴 것부터 중간형 및 조밀한 것까지 모두 나타났다. 포자의 크기는 거미꼬리고사리가 평균 $54.63{\mu}m$$47.81{\mu}m$의 크기를 갖는 꼬리고사리와 $44.22{\mu}m$의 크기를 갖는 거미고사리보다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분류군에서 잎의 표면세포는 파상형으로 나타났으나 꼬리고사리의 굴곡이 가장 얕았고, 거미고사리가 가장 깊었으며 거미꼬리고사리는 중간형으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단위면적당($mm^2$) 기공의 수는 꼬리고사리가 67.00개로 가장 많았고, 거미고사리가 37.86개로 가장 적었으며, 거미꼬리고사리는 이들의 거의 중간인 45.91개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염색체의 수는 꼬리고사리와 거미고사리에서 2n = 72개로 나타난 반면, 거미꼬리고사리의 경우 마이산(전북)과 두륜산(전남)에서 채집된 개체에서 2n = 72개인 2배체와 불암산(서울)의 개체에서 2n = 144개인 4배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거미꼬리고사리는 잎의 형질, 포자의 표면무늬 및 크기, 잎의 표면세포의 형태와 기공 수 및 염색체의 변이등을 고려하였을 때 꼬리고사리와 거미고사리의 타가배수화과정을 거쳐 기원된 잡종으로 확인되었다.

국화잎 선충에 대한 저항성 검정, 관수방법에 따른 국화잎선충의 피해율 및 화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te of Occurrence according to Watering Methods, Susceptibility and Chemical Control of Chrysanthemum Nematode)

  • 김영진;최영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06-111
    • /
    • 1987
  • 현재(現在)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국화(菊花) 8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국화(菊花)잎선충에 대(對)한 저항성조사(抵抗性調査), 피해엽율(被害葉率)과 강우(降雨)와의 관계(關係), 그리고 관수방법(灌水方法)이 피해엽율(被害葉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고 몇가지 살충제의 방제효과(防除效果)에 관(關)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l. 국화(菊花)잎선충(Aphelenchoides ritzemabosi)에 대(對)한 국화품종(菊花品種)의 저항성(抵抗性) 검정(檢定)에서 Shuhonothikara는 11.7%, Sagakiku는 14.5%로서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었고 Sinrokusiogio, Dangonanako, Sintoa 등(等)은 50% 이상(以上)의 피해엽율(被害葉率)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냈으며 Gold wave, Tenju 등(等)은 24~26%로 중간정도(中間程度)를 나타냈다. 2. 피해엽율(被害葉率)과 엽면적(葉面積), 엽후(葉厚), 기공수(氣孔數), 기공(氣孔)의 크기 및 모즙장(毛葺長) 등(等)과는 상관(相關)이 없었고 모즙수(毛葺數)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3. 관수방법(灌水方法)에 따른 피해엽율(被害葉率)은 P. E. film에 의(依)한 강우(降雨)를 차단(遮斷)하고 지면관수(地面灌水)한 구(區)에서 9.4%로 가장 낮았으며,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지면관수(地面灌水)한 구(區)가 50%로 다음이었고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Spray한 구(區)가 6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피해엽율(被害葉率)과 강우(降雨)와의 관계(關係)는 강우량(降雨量)보다는 강우일수(降雨日數)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내타내었다. 5. 살선충제의 토양처리(土壤處理)에 의(依)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현저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보여 주었으며 약제별(藥劑別)로는 Temik이 평균피해엽율(平均被害葉率)이 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무처리(無處理)나 타약제(他藥劑)에 비(比)하여 현저한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고 Carbofuran, Otran, Mocap 등(等) 약제간(藥劑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다.

  • PDF

인위배수성임목(人爲倍數性林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V -Colchitetraploids Pinus densiflora의 외부형태(外部形態)에 대(對)하여 (Studies on Artificial Polyploid Forest Trees V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Colchitetraploids Pinus densiflora)

  • 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7
    • /
    • 1968
  • 본(本) 실험(實驗)은 적자(積子) Colchicine 처리(處理)로 획득(獲得)된 10년생(年生) 4배체(倍體) 소나무에 대(對)하여 교잡(交雜)에 의(依)한 유용(有用)한 동이질배수체(同異質倍數體)를 육성(育成)한 목적(目的)으로 세포학적(細胞學的) 관찰(觀察)을 행(行)하는 동시(同時)에 그의 형태적(形態的)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연구(硏究)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유엽기부(幼葉基部) 염색체수(染色體數)는 대조목(對照木)은 2n=24 변이체(變異體)는 2n=48로 4배체(倍體)임을 확인(確認)하였다. 2. 침엽(針葉)의 착생밀도(着生密度)는 소(疎)하고 비후(肥厚)하다. 총합엽(總合葉)은 2%가량(可量) 발생(發生)하였다. 3. 침엽중앙부위(針葉中央部位)의 기공대수(氣孔帶數)는 개체(個體)에 따라 차(差)가 있으나 2배체(倍體)와 대차(大差)없고 공변세포(孔邊細胞)의 장경(長徑)은 36% 증대(增大)하고 있다. 4. 웅화(雄花)는 정상적(正常的)으로 발육(發育)하였으며 장경(長徑)의 크기는 2배체(倍體)와 별차(別差)없고 화분립(花粉粒) 크기는 약(約) 20% 증대(增大)하였다. 5. 화분(花粉)의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 발아율(發芽率)은 치상후(置床後) 17시간(時間)까지는 2배체(倍體)에 비(比)하여 증진(增進)하나 26시간후(時間後)에는 저하(低下)하였다. 연(然)이나 각(各) 치상시간별(置床時間別) 화분관(花粉管)의 최장관(最長管)의 길이는 2배체(倍體)보다 장(長)하게 발육(發育)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