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ber of larval mol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몇 가지 식물의 잎 추출물이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유충의 발육과 성충의 산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s from Some Selected Wild Plant Species on Larval Development and Adult Oviposition in Heliothis assulta)

  • 최강식;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3-119
    • /
    • 1989
  • 금잔화, 들깨풀, 수국등 10종의 야생식물잎의 추출물이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유충의 발육과 성충의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충이 높았으며 대부분 1영과 2영 기간중 먹지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살아남은 유충들도 발육기간 및 탈피횟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중 갈매나무와 때죽나무의 추출물은 성충의 산란도 상당히 억제하였다.

  • PDF

Endocrine Disruptors in Developing Embryo on Daphnia magna

  • Kim, Pan-Gyi;Hwang, Seong-Hee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7-22
    • /
    • 2002
  • In crustaceans, as in other arthropods, the molt cycle and the physiological process of growth are controlled by molting hormones (MH) which are steroid hormones, the ecdysteroids. Ecdysteroids are major arthropod hormones which control both development (embryonic and larval molts, metamorphosis) and reprodu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both fenarimol and methoprene for embryotoxicity to daphnids. The embryotoxicity associated with each compound was assessed to discern whether the embryotoxicity of methoprene might be due to ecdysone agonist and the ecdysone antagonistic effects of fenarimol on Daphnia embryo. Exposure of daphnids for three weeks to 50 M methoprene resulted in a significantly high incidence of offspring that exhibited general toxicity. This exposure concen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number of embryo death. However, exposure to 3 or 1 $\mu$M fenarimol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embryo toxicity. The incidence of both of these toxicity increased with methoprene exposure. This observation suggest that methoprene showed embryonic general toxicity during embryo development, while, only fenarimol showed weak general toxicity with early stages of embryonic development.

감나무에 기생하는 Cnidocampa flavescens WALKER의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nomics of Oriental moth, Cnidocampa flavescens WALKER, damaging to the persimmon tre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정삼택;이의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39-46
    • /
    • 1965
  • 본문은 1964-'65년에 걸쳐 한국의 남부지방 특히 대구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감나무에 수년전부터 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Oriental moth의 생태학적인 사항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수록하였다. (1) Oriental moth의 우화 최성기는 대구지방에서 6월중순경이다. 그리고 산란은 전부 엽이면에 하며 엽상에서도 엽선단부에 대부분 란이 산란되었다. (2) 란기간은 1964년의 평균이 $5.984\pm0.162$일이었고 1965년은 $6.262\pm0.094$ 로서 양년 모두 약 6일간이었다. 그리고 실내 사육실에서 부화율은 1964년이 $84.4\%$였고 1965년이 $96.1\%$었다. (3) 기주식물별 생장률에 있어서 체장생장은 4기주, 감나무, 고욤나무. 네군도단풍. 플라타너스에서 1령충에서 3령충까지는 고욤나무, 감나무, 플라타너스, 네군도단풍의 순위었으나 4령충 부터는 반대로 감나무, 고욤나무, 네군도단풍과 플라타너스의 순위였다. 두폭의 생장률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플라타너스엽을 식이로 한 개체들은 사육 20일 경과 후 전부 사멸하였다. (4) 본충은 1년에 1회 발생하며 탈피회수는 6회이다. 1회탈피는 부화 후 약 5시간 후에 일어나고 2-6회 탈피는 각각 약 7일 간격으로 일어났다. 그리고 최종탈피를 한 후 약 3일 후 Cocoon을 형성하여 월동한다. (5) 유충체상에 있는 침수가 위치별로, 각 령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령의 판정이 가능하다. 특히 L2, D2, D3, D8, D10의 침과 L1, L3, L4, L5, L6, L7의 침은 각 령별로 그 수가 다르므로 침으로 령의 판정이 가능하다. (6) Cocoon내에서 Pupation은 감나무 지상에서 월동을 한 후 이듬해 5월 중순부터 Pupa가 형성되어 우화기인 6월 초순까지 계속된다. (7) 자성충이 체내에 가지고 있는 난수는 평균 1필당 당 $1325.5\pm2.7182$개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