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ber of items

검색결과 1,873건 처리시간 0.039초

대학수학능력시험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의 문항 및 응시자 응답 분석 (Analysis of Test Items and the Applicants' Responses on the Chemistry Part in the Gene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 홍미영;전경문;이양락;이범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8-386
    • /
    • 2002
  • 1999학년도부터 지난 3년 동안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조사하였다.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문항수,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평균 정답률, 정답률 수준에 따른 문항 분포, 정답률이 높거나 낮은 문항 등을 분석하였다. '환경' 영역에서의 문항수가 매우 적었는데, 특히 '오존층'에 대해서는 한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 가장 어려운 내용 영역은 '환경' 영역의 '산성비'였다. 탐구 과정별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었고,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 어려운 수준'의 문항은 하나도 없고. '쉬운 수준'이나 '아주 쉬운 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이 많았다.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개념이나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을 해결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느꼈고, 저학년에서 다루어진 개념만을 요구하는 문항을 쉽게 해결하였다. 교육학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인터넷 정보확산의 성공과 실패에 미치는 사회적 네트워크 영향자의 영향 (The Effects of Influentials on Successful and Unsuccessful Diffusion in the Social Network)

  • 한상만;차경천;홍재원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73-96
    • /
    • 2009
  • 온라인에서의 정보 확산은 미니홈피와 블로그 등에서 전파되는 소비자들의 스크랩 활동들을 볼 때 빈번한 방문활동을 보이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에서 개별 소비자들이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서 가지는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영향자들(Influentials)을 규명하고 이러한 영향자들이 확산에 있어 Bass 확산모형에서의 혁신효과와 모방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확산에 있어 성공과 실패하는 아이템간의 Bass 확산모형에서의 차이를 검증하여 모방효과에서 성공하는 아이템과 실패하는 아이템간의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성공과 실패하는 아이템 간에 네트워크 영향자의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였는데, 그 결과 연구대상인 100개의 아이템에서 성공과 실패하는 아이템 간에 영향자의 평균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마지막으로 확산모형의 모방효과에 영향자의 효과를 함께 모형화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였고, 확산시기 중 초기의 영향자의 영향이 확산에 있어 더욱 중요함을 밝혔다.

  • PDF

수행형 문항과 선다형 문항의 수학적 능력 추정 효율성 비교 (A Comparison of Free Response Items and Multiple Choice Items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Estimating Mathematical Ability)

  • 박정;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151-162
    • /
    • 2004
  • For the past several years,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widely used by mathematics teachers. The superior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compare to multiple choice items has been discuss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these discussions tend to be lack of empirical data.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ree response items in comparison with multiple choice items. Using the information function in Item Response Theory(IRT), item information of free response items and multiple choice items from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TIMSS-R) were obtained and compared. Test informations of the whole mathematics area as well as each content area of mathematics were computed. On average, tree response items yielded more information than multiple choice items, especially in measurement and data interpreta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free response items estimated students' mathematics ability more accurately than multiple choice items with smaller number of items.

  • PDF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직선 이해 분석: 분수 개념 및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Number Line: Focused on Concept of Fractions and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 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3호
    • /
    • pp.213-232
    • /
    • 2022
  • 분수 학습에서 수직선 모델의 중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직선에서의 분수 개념 및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았다. 수직선 검사 도구는 분수 나타내기, 분수의 크기 비교, 분수의 덧셈 및 뺄셈과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조화된 수직선과 반구조화된 수직선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정답률이 높지 않았으며, 정답보다 오답의 반응이 높게 드러난 문항들도 있었다. 또한 구조화된 수직선에 비하여 반구조화된 수직선이 제시되는 문항에서의 정답률이 낮게 드러났으며, 다양한 오답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분수 이해 및 수직선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네비게이션 위치와 항목 수에 따른 만족도에 대한 분산 분석 (ANOVA of Satisfaction based on Navigation Location and Number of Items in Mobile Applications)

  • 박성흠;김태완
    • 서비스연구
    • /
    • 제12권2호
    • /
    • pp.38-47
    • /
    • 2022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내비게이션이 있고 그 항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페이지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내비게이션의 위치와 항목의 수에 따라서 사용자들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내비게이션의 3가지 위치인 상단, 하단, 사이드와 각 위치마다 항목 수를 4~6개를 독립변수로 무작위로 뽑은 성인 남녀 135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그룹을 지어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내비게이션의 위치와 항목 수가 각기 0.000과 0.008로 유의확률 0.05 이하로 귀무가설을 기각했다. 또한 내비게이션의 위치와 항목 수의 상호작용이 만족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의 연구가설을 유의확률 0.016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분석(Scheffe)에서는 내비게이션의 위치에서 사이드<상단<하단의 새 집단으로 분류되어 각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항목 수에서는 6개<4개 두 개의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내비게이션의 위치와 항목 수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일부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에 따라, 내비게이션의 위치가 하단에 위치했을 때 인터페이스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다양해지고 있는 모바일 사이즈에 따라 사이드 형태의 내비게이션이 적합한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고등학교 생명 과학 I의 지필평가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Paper and Pencil Test Items of Life Science I in High School)

  • 이동훈;정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670-690
    • /
    • 2014
  • 이 연구는 고등학교 생명 과학 I의 지필평가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10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2013학년도 생명 과학 I의 문제지 33부(선택형 문항 690개, 서답형 문항 162개)를 분석하였다. 문항에 대해서는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의 틀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과 평가틀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선택형 문항의 경우 실제 정답률과 이원목적분류표에 제시된 난이도를 비교하였고, 서답형 문항의 경우 문항유형에 따른 문항 수와 배점을 비교하였다. 서답형 문항 중 서술형 문항에 대해서는 반응의 허용 정도, 자료 제시 여부, 출제 형식에 따라 구분하였다. 지필평가 문항 분석 결과, 서답형 문항의 비율이 19.0%로 선택형 문항의 비율(81.0%)보다 낮았다.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분석 결과, 지식 차원에서 '개념적 지식'에 해당되는 문항이, 인지과정 차원에서 '이해하다'에 해당되는 문항이 많았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과 평가틀에 의한 분석에서 '지식'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이 '탐구'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보다 약 9배 많았다. 선택형 문항에서 이원목적분류표에 제시된 난이도와 실제 정답률을 비교한 결과, 일치하는 비율은 41.5%였다. 서답형 문항의 유형에 따른 문항 수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단답형 문항의 비율이 34.0%였고, 그리기 문항은 '세포와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주로 출제가 되었다. 서술형 문항에서 반응의 허용 정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 모두 '응답 제한형'에 해당되었고, 그 중 '내용범위 제한형'(67.3%)에 해당되는 문항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자료 제시여부에 따라 분류한 결과 '자료 제시형'(65.4%)에 해당되는 문항이, 출제 형식에 따라 분류한 결과 '지식 서술형'(80.4%)에 해당되는 문항이 가장 많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탐구'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을 더 많이 출제할 필요가 있으며, 서술형 문항의 실제적 비중을 높이면서, 다양한 유형으로 출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al Types and Biodiversity in the Sites of Geumgang Riparian Ecological Belts

  • Kang, Hyun-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3-30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the ecological items in five sites with a high level of artificial use intensity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Geumgang River riparian ecological belts. Methods: The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rest type, cultivated land type and urbanized type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locational types. Ecological items including plant ecology such as proportion,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of native species were analyzed and animal ecology such as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of wild birds, amphibians and reptiles, mammals, and butterflies and dragonflies, which are indicator insec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wild birds, butterflies and dragonflies found in all the subject lands were computed. Results: Among the plant ecological items, the ratio of native species in the forest type was higher than 90%, which was a satisfactory level, while the naturalization and urbanization indices were less than 10%.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anim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was reduced in the order of forest type, cultivated land type and urbanized type. A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internal area of the planted are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of individuals. The area of grassland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dragonfly species and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reby illustrating that wet grasslands have positive effects. The area of surrounding forests, as an external environ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urbanization index (UI) bu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habitation of butterflies and the total number of species.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e need for more diversified special compositions including planted land, grassland, wetland, bodies of water and waterways within the subject land in the wetland ecological belt along with the need for surrounding forest location and preser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urchase and restoration of land for enhancement of wider biodiversity in the future.

한국인 영아의 행동 관찰 목록 (Behavioral Item List for Korean Infants by Naturalistic Observation)

  • 한경자;방경숙;황인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285-293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behavioral items for Korean infants under 24months by naturalistic observation. These items will be the basis for developmental scale for Korean infan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ing and interviewing fifty one infants and their mothers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15 to December 14, 2003. Raw data in descriptive form were obtained by unstructured naturalistic observation, and were reformed to behavioral items through discussion with professors in pediatric nursing and experienced nurses in child care department. Also, behavioral i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developmental areas. Result: Total number of behavioral items was two hundreds and thirty eight. 52 items for motor development, 66 items for personal-social, 40 items for hearing and speech, 41 items for eye-hand coordination, and 39 items for performance. Conclusion: This is meaningful that fundamental items for Korean developmental scale for infants were identified by observing behaviors of Korean infants. On the basis of these items, average age will be calculated for passing each item by testing Korean infants. We hope to develop Korean infant developmental scale as a final outcome in the future research.

  • PDF

다변량 분석법을 이용한 소양강댐 상류 유역의 하천 수질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on the Upstreams of the Soyanggang Dam b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 최한규;백효선;허준영
    • 산업기술연구
    • /
    • 제22권A호
    • /
    • pp.201-210
    • /
    • 2002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and to propose the influence of dominant factor quantitativel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know the correlationship among the water quality items As a result of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water quality items are affected by the rainfall item directly.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grasp some number of factors on each point for deducing the items of similar variable characteristics. The four point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factor groups. It was grasped that $NH_3-N$ and $NO_3-N$ Items have different variable characteristics after comparing the item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n decrease the number of observation. In the deduced multiple regression formula, it was shown that the rate of T-N, $NH_3-N$ and $NO_3-N$ in the independent variable took about 60% among all the regression formulas.

  • PDF

Change of Blood Cells' Number from Capillaries and Venous Blood of 20's Healthy Adults

  • Seon, Ji-Yeong;Lee, Jae Sik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56-160
    • /
    • 2011
  • It was confirmed that we got somewhat different results even though we performed same items with same methods from capillaries and venous blood of healthy 72 cases. Items which capillaries blood has higher value than venous blood are the numbers of erythrocyte, lymphocyte, basophil, hematocrit, MCHC and RDW. Total numbers of RBC (p<0.035), lymphocyte and basophil a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ce. Items which venous blood has higher value than capillary blood are the numbers of platelet (p<0.00) and neutrophil (p<0.01). Fallible items in clinics can be shown the numbers of RBC, platelet, lymphocyte and neutrophil because we got somewhat different results even though we performed same items with same methods from capillaries and venous blood,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choose the clear criteria and normal value depends on clinical specimen as the number of platelets are measured with an abnormal value shown over 40% down. As normal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item and method is currently acceptable and applicable in clinics, it is considered that a new normal value depends on clinical specimen should be established and is to be useful positively in clin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