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cleosides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19초

Xanthomonas citri의 5S rRNA 의 구조 결정 (Determination of the Structure of 5S rRNA from Xanthomonas citri)

  • 조봉래;최명언;서세원;임자혜;고문주;박인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60-465
    • /
    • 1992
  • Xanthomonas citri의 5S rRNA를 분리, 정제하여 효소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으로 그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5S rRNA는 119개의 누클레오티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형된 누클레오시드를 함유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5S rRNA는 X. maltophilia의 것처럼 5'-말단에 가외의 우리딘 잔기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결정한 X. citri의 5S rRNA의 이차구조는 다른 원핵세포의 것들에 대해서 제안된 일반 모형들과 매우 유사하며 [De Wachter et al., Biochimie, 64, 311 (1982); Specht et al., Nucleic Acids Res., 18, 2215 (1990); Cho et al., Proceedings of the First Symposium on Biomolecules, p. 9 (1991)], 5개의 이중나선 줄기와 5개의 단일가닥 고리 그리고 2개의 내밀린 구조를 가진다.

  • PDF

활성화된 사람 중성 백혈구에서 ATP와 Adenosine 처리에 따른 생화학적 반응의 변경 (Alteration of Biochemical Responses in Activated Human Neutrophils by ATP and Adenosine)

  • 박성수;이정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5-66
    • /
    • 1990
  • 안정 상태 및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 ATP는 superoxide 라디칼 생성을 자극하였으나 adenosine은 약간 억제하였다. ATP에 대한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의 반응이 안정상태의 중성 백혈구에서보다 크게 나타났다. 칼슘이 제거된 반응액에서 superoxide 라디칼 생성에 대한 adenosine의 억제효과가 관찰되었으나 ATP는 영향을 주지않았다. Superoxide 라디칼 생성에 대한 ATP의 자극 효과는 adenosine에 의하여 용량에 따라 억제되었다. ATP와 adenosine은 NADPH oxidase 활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ATP 또는 adenosine에 의한 superoxide 라디칼 생성의 변경은 다른 triphosphate nucleotide나 nucleoside에 의한 것보다 현저하였다.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 ATP와 ADP는 칼슘이온의 흡수를 더 자극하였고 세포질 유리 칼슘농도를 증가시켰으나, adenosine은 칼슘이온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APT에 의한 세포질 유리 칼슘이온 농도의 증가는 verapamil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tetrodotoxin에 의하여 약간 억제되었다. ATP에 노출된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의 superoxide 라디칼 생성에 대한 verapamil 과 tetrodotoxin의 억제 효과는 ATP의 영향이 없는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보다 크게 나타났다. Tetraethylammonium chloride는 superoxide 생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CCCP, 2,4-dinitrophenol, diphenylhydantoin과 procaine은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 superoxide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들 가운데 CCCP만이 ATP의 자극 효과를 억제하였다. ATP는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의 sulfhydryl기의 손실을 더 자극하였으나 adenosin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성 백혈구의 기능적 반응은 부분적으로 purine에 의하여 조절될 것으로 시사되었다. ATP와 adenosine은 칼슘 흡수와 그리고 아마도 세포막 인산화 반응 및 용해성 sulfhydryl기의 산화에 대한 영향을 통하여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의 반응을 더 변경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비지의 발효과정중 발효미생물 및 성분변화 (Microbiological Studies and Biochemical Changes in Fermenting Soybean Curd Residue during Fermentation)

  • 이문숙;김길환;이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20-527
    • /
    • 1987
  • 비지의 발효조건을 확립하여 비지의 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미생물 두 균주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또한 발효과정중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핵산관련물질의 함량, 환원당 및 소당류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비지의 발효조건은 $55^{\circ}C$에서 48시간 발효시킨 비지가 재래식으로 발효시킨 비지와 가장 유사하였다. 발효과정중 pH는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비지의 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미생물군은 Bacillus subtilis와 Bacillus lichemiformis로 동정되었다. 비지의 발효과정중 수분 함량은 48시간 발효 후에는 80.8%에서 58.4%로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성분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발효과정을 통하여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발효된 비지에 있어서 유리 아미노산의 종류 및 양도 증가하였는 데 Phe>Lys>His>Tyr>Glu>Asp 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핵산관련물질의 변화에 있어서 처음 36시간 동안은 거의 변화가 없다가 48시간 발효 후에는 1/6배로 감소하였으며 5'-IMP와 5'-GMP 혼합구는 처음 36시간 동안은 서서히 증가하다가 48시간 발효 후에는 약 3.5배로 증가하였다. 한편 환원당 함량은 비지의 발효과정중 계속 증가하였으며 stachyose 및 raffinose 혼합구는 미량이기는 하나 점차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비지의 발효과정중 5'-IMP와 5'-GMP의 증가는 유리 아미노산 및 환원당의 증가와 함께 발효된 비지의 맛성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 생각되며 발호된 비지를 메주제조시 혼합하여 콩의 대체 원료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인삼성분 D-O-ANa이 인슐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 및 작용기전에 관한연구 (FURTHER PURIFIED GINSENG EXTRACT FRACTION (D-O-ANA) FOR INSULIN RELEASE AND ITS MODE OF ACTION COMPARED WITH THE ISOLATED RESIDUAL COMPONENTS)

  • KIMURA Masayasu;SUZUKI Jun;WAKI Isami;KIMURA Ikuko;TANAKA Osamu;MATSU-URA Hiromichi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91-197
    • /
    • 1984
  • 인삼의 저혈당성 분획 (DPG-3-2)이 적출한 랑겔한스섬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킨다고 일전에 본 저자들이 발표하였다. 근래에 이와 같은 DPG-3-2 분획으로부터 사포닌, 뉴크레오사이드, 뉴크레오타이드, 아미노산, 당 등을 완전히 제거시켜 더욱 정제한 D-O-ANa 성분을 추출하였다. D-O-ANa 유발성 인슐린 분비효과를 DPG 3-2 분획과 그외 잔여성분과 비교 검토하였다. D-O-ANa는 글루코우즈 농도의 고저에 무관하게 인슐린 분비를 가장 강하게 촉진하였다. 특히 D-O-ANa는 제 2 차증 글루코운즈 유발성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였다. DPG 3-2 분획은 당뇨병 쥐로부터 떼어낸 랑겔한스섬에서 세포외 체액의 칼슘이온이 증가됨에 따라($0.16{\~}6.25$mM) 글루코우즈 유발성 인슐린 분비를 더욱 현저히 증가시켰다. 칼슘이온 흡수와 인슐린분비의 상호관계가 뚜렷이 밝혀졌다. 이 관계는 single sucrose gap 방법에 의해 주의 적출 간 문맥에서 칼슘주파수가 증가되는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 PDF

Synthesis of a series of cis-diamminaedichloro-platinum (II) Complexes Linked to Uracil and Uridine as Candidate An-titumor Agents.

  • Kim, Jack-C.;Kim, Mi-Hyang;Kim, Seon-Hee;Choi, Soon-Ky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6호
    • /
    • pp.449-453
    • /
    • 1995
  • The search for patinum (II)-based compounds with improved therapeutic properties was prompted to design and synthesize a new family of water-soluble, third generation cis-diamminedichlorplatinum (II) complexes linked to uracil and uridine. Six heretofore undescribed uracil and uridine-platinum (II) complexes are ; [N-(2-aminoethyl)uracil-5-carboxamide]dichloroplatinum (II)(3a), [N-2(2-aminoethyl)uracil-6-carboxmide]dichloroplatinum (II) (3b),[5-(2-aminorthyl)carbamoyl-2',3',5',-tri-O-acetyluridine] dichloroplatinum (II) (6b), [5-(2-aminoethyl)-carbamoyl]-2',3',5',-tri-O-acetyluridine] dichloroplatinum (II) (6b), [5-(2-aminoethyl)carbamoylu-ridine]dihloroplatinum (II) (7a), [6-(2-aminoethyl)carbamoyluridine]dichloroplatinum (II) (7b). These analogues were prepared from the key starting materials, 5-carboxyuracil (1a) and 6-carboxyuracil (1b) which were reacted with ethylenediamine to afford the respective N-(2-aminoethyl)uracil-5-carboxmide (2a) land N-(2-aminoethyl)uracil-6-carboxamide (2b). The cisplatin complexes 3a and 3b were obtained through the reaction of the respective 2a and 2b ficiently introduced on the .betha.-D-ribose ring via a Vorbruggen-type nucleoside coupling procedure with hexamethyldisilazane, trimethylchlorosilane and stannicchloride under anhydrous acetonitfile to yield the sterospecific .betha.-anomeric 5-carboxy-2',3',5'-tri-O-acetyluridine (4a) and 6-carboxy-2',3',5'-tri-O-acetyluridine (4b), respective 5-(2-aminoethyl)carbamoyl-2',3',5'-tri-O-acetyluridine (5a) and 6-(2-aminoethyl)carbamoyl-2',3',5'-tri-O-acetyluridine (5b). The diamino-uridines 5a and 5b were reacted with potassium tetrachloroplatinate (II) to give the novel nucleoside complexes, 6a and 6b respectively which were deacetylated into the free nucleosides, 7a and 7b by the treatment with CH/sub 3/ONa. The antitumor activities were evaluated against three cell lines (K-562, FM-3A and P-388).

  • PDF

Xanthomonas celebensis 5S rRNA의 몇 가지 삼차상호작용 (Some Tertiary Interactions in 5S rRNA from Xanthomonas celebensis)

  • 조봉래;이영훈;최명언;박인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37-243
    • /
    • 1993
  • Xanthomonas celebensis 5S rRNA를 분리 정제하여 효소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으로 그 일차구조 및 이차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5S rRNA는 119개의 누클레오티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형된 누클레오시드를 함유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 5S rRNA는 X. maltophilia 및 X. citri의 것처럼 5'-말단에 가외의 우리딘잔기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결정한 X. celebensis 5S rRNA의 이차구조는 본 연구진이 이미 결정한 두가지 Xanthomonas 종들의 것들과 매우 유사하며, 5개의 이중나선 줄기와 5개의 단일가닥 고리 그리고 2개의 내밀린 구조를 가지고 있다. X.celebensis 5S rRNA 분자 내의 삼차상호작용은 테옥시헥사머를 이용한 혼성체화법과 Fe(II)-EDTA를 사용하여 5S rRNA를 쪼개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5S rRNA 상의 $U_{35}CCCAU_{40}$부분을 상보성을 가진 데옥시헥사머를 혼성체화한 다음에 고리 M, 구역 $I_1-C$, 고리 $H_2$에 있는 약간의 아데노신 잔기들이 피로탄산 이에틸에 대한 감수성을 가지게 되는 사실과, $Mg^{2+}$이 있는 조건에서 고리 M, 고리 $H_1$, 및 구역 $D-I_2에$ 있는 약간의 누클레오티드 잔기들이 Fe(II)-EDTA의 분열작용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사실에서 고리 $H_1과$ 고리 $H_2$가 어떤 방법으로든 고리 M과 삼차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이 삼차작용에서 구역 $I_1-C$와 구역 $D-I_2$ 돌쩌귀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리 $H_1$은 산성 조건(pH 5.5)에서 비표준형 염기쌍 A:C 들을 형성함으로써 3개의 염기로 이루어지는 고리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체내 안정형 HSV1-tk (Herpes Simplex Virus Type-1 Thymidine Kinase) 영상용 IVDU 유도체의 합성 (The Synthesis of the Stable IVDU Derivative for Imaging HSV-1 TK Expression)

  • 김은정;최태현;안순혁;김병수;박현;천기정;이학준;안광일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5호
    • /
    • pp.478-486
    • /
    • 2009
  • 목적: 화합물이 가지는 항바이러스 및 항암 작용으로 인하여 5-iododeoxyuridine 유도체들에 관한 연구는 매우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왔다. 방사 요오드가 치환된 이들 화합물에 대한 연구의 주요 목표는 체내 및 체외 평가 시 효과적 일뿐만 아니라, 보다 안정한 화합물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사성의약품의 중간체로도 이용되어질 수 있는 carbocyclic radioiododeoxyuridineanalogue (ddIVDU)를 합성하여 생물학적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목표 화합물의 합성은 Pd(0)-촉매 결합 반응, LAH 환원반응, hetero Diels-Alder 반응을 주요 반응으로 하여 수행하였다$(Sch\;3)^{10-12}$. 합성된 화합물의 생물학적 평가를 위해 MCA와 MCA-tk 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GCV와 carbocyclic ddIVDV를 처리하여 MTS 법을 이용해 세포독성을 보았고, [$^{125}I$]carbocyclic ddIVDU를 이용해 MCA와 MCA-tk 세포에서 HSV1-tk에 의한 선택적 섭취를 비교 평가 하였다. 결과: Carbocyclic ddIVDU 및 요오드 도입을 위한 전구물질의 합성을 cyclopentadiene을 출발 물질로 하여 높은 수율에 의해 수행하였다. 방사요오드를 이용한 동위원소 도입 반응은 각각, 80% 이상의 방사표지 수율 및 95 % 이상의 방사 화학적 순도를 나타내었다. 세포독성 결과 MCA-tk 세포에서 carbodyclic ddIVDU는 GCV에 비해 세포독성이 작았고, MCA에서는 유사한 세포 독성을 보였다. [$^{125}I$]carbocyclic ddIVDU는 MCA-tk 세포에서 uptake는 8시간째까지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MCA세포에서 uptake는 4시간째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8시간째 급격히 증가하였다. [$^{125}I$]carbocyclic ddIVDU의 uptake는 MCA보다 MCA-tk에서 약 2-5배 정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진행되어진 생물학적 결과로부터 이 유도체는 체내 평가 시 매우 안정할 뿐만 아니라, GCV에 비해 독성이 덜하고, HSV1-tk cell에 선택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신규 화합물인 carbocyclic ddIVDU는 HSV1-tk를 영상화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유묘기 양배추류에서 메틸자스모네이트에 의한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변화 및 전사체 발현 분석 (Effect of methyl jasmonate on the glucosinolate contents and whole genome expression in Brassica oleracea)

  • 이정여;민성란;정재은;김혜란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189-20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묘기 TO1000DH3와 Early big에서 MeJA 처리에 의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변화 및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mu}M$ 농도의 MeJA를 처리하여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을 분석한 결과, 글루코시놀레이트 총 함량이 처리 전보다 TO1000DH3에서 1.3~1.5배, Early big에서 1.3 ~ 3.8배 증가하였다. 알리패틱 글루코시놀레이트인 progoitrin과 gluconapin은 TO1000DH3에서만 검출되었으며, neoglucobrassicin 성분의 함량 변화가 MeJA 처리 48시간 후 TO1000DH3와 Early big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TO1000DH3에서는 stress나 defense 반응에 관여하거나, 생장과 관련된 전사체가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Early big에서는 nucleoside 또는 ATP 생합성 관련 전사체가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eJA를 처리함에 따라 발현이 2배 이상 변한 전사체를 TO1000DH3에서 12,020개, Early big에서 13,510개를 선발하여 GO 분석한 결과 stimulus, chemical에 반응하는 전사체의 발현이 공통적으로 증가하였고, single-organism 및 ribosome 합성 관련 전사체의 발현이 공통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glucobrassicin, neoglucobrassicin 함량과 연관되어 발현이 증가한 인돌릭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관련 전사체의 발현이 모두 증가하였다 (MYB34 (Bo7g098110), IGMT2 (Bo8g070650), CYP81D1 (Bo6g056440), CYP81D4 (Bo7g118500), CYP81F4 (Bo1g004730, Bo01007s020), CYP81G1 (Bo4g154660), CYP83B1 (Bo8g024390) 및 CYP91A2 (Bo1g003710)).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경로 관련 유전자를 대표하는 전사체 104개를 선발하여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transcription factor에 속하는 MYB28, MYB51의 발현은 MeJA 처리 전에 비해 처리 후 발현양이 감소하였지만, 대부분의 전사체의 발현은 MeJA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MeJA 처리에 의해 AOP3 (Bo9g006220, Bo9g006240), TGG1 (Bo14804s010)는 TO1000DH3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고, Dof1.1 (Bo5g008360), UGT74C1 (Bo4g177540), GSL-OH (Bo4g173560, Bo4g173550, Bo4g173530)는 Early big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다. MeJA 처리 전 두 계통에서 발현이 가장 높은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관련 유전자는 GSTU20이었고, MeJA 처리에 의해 12시간 후TO1000DH3에서 CYP79B2 (Bo7g118840), Early big에서는 CYP79B3 (Bo4g149550)의 발현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