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tchplast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7초

Notchplasty for Treatment of Impingement of the Cranial Cruciate Ligament on Osteophyte in a Cat

  • Hong, Youngchae;Park, Jiyoung;Choi, Ho-Jung;Lee, Young-Won;Jeong, Seong Mok;Lee, Haebeo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59-462
    • /
    • 2017
  • A 3-year-old, 5.6 kg, castrated, male, British short hair cat presented with subtle weight-bearing lameness of the right hindlimb when walking suddenly after rest. On physical examination, the patient experienced pain when the right stifle joint was hyperextended. There was no clinical improvement of lameness or pain of the right hindlimb, despite the administration of analgesic drugs for one week. During diagnostic arthroscopy of right stifle, mild synovitis and cranial cruciate ligament (CCL) impingement on osteophyte of the intercondylar notch (ICN) was observed. Computed tomography was applied to determine an accurate surgical plan. Arthroscopy-assisted notchplasty, including removal of the osteophyte, was performed using chisel and arthroscopic burr. At 4 weeks postoperatively, the frequency of subtle weight-bearing lameness of the right hindlimb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6 months postoperatively, the patient exhibited normal ambulation without recurrence of lameness. Impingement of CCL may cause subtle lameness and pain. Arthroscopy can be a good diagnostic tool for early-stage CCL disease. Notchplasty can be recommended for osteophyte-induced CCL disease.

Notchplasty 시술을 위한 대퇴골 터널 입구 형상 설계 (Design of Femoral Tunnel Entrance to Operate Notchplasty)

  • 정구연;김경태;이태희;안재용;한정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9-283
    • /
    • 2000
  • After ACL reconstruction. abrasion or wear of graft appeared frequently because of contact stresses between femoral tunnel and ACL. To minimize these problems. optimal shape of femoral tunnel is necessary. In this study. we evaluate friction force by degree of wear due to abrasion of soft tissue and develop 3-dimensional FEM model using ANSYS 5.5.1 version to analyze stress growths between femoral tunnel and ACL, We conclude that femoral tunnel angle must be slacked parallel to tunnel direction to minimize contact stress.

  • PDF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 How can I do well with notchplasty -

  • 최남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9
    • /
    • 2003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이식건의 과간 절흔에 대한 충돌을 예방하기 위하여 어느 절도의 절흔 성형을 시행 할 것인가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으며 수술시 절흔의 형태, 골극 형성 유무, 이식건의 크기 경골 터널의 위치를 고려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절흔 후방의 골 제거가 과도하게 시행 될 경우에는 대퇴골 부착부가 외측으로 전위되어 슬관절의 생역학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주변 관절 연골의 조기 퇴행성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절흔 성형은 가능한 한 최소화 하는 것이 출혈, 동통 및 부종 등의 술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 PDF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송은규;김종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19
    • /
    • 2003
  • Although the number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s increasing, complications after primary ACL reconstruction are more difficult to determin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an lead to ultimate failure of a primary reconstructive procedure. Therefore, surgical success in ACL reconstruction requires detailed knowledge and technical advancements about ACL reconstruction. Preoperatively surgeon must pay attention to selection of grafts and methods of fixation, and intraoperatively, attention to the harvest of graft, passage of graft, intraarticuar placement of the graft, notchplasty, proper tensioning of the graft, and other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ust be detected early, including infection, abnormal healing responses, arthrofibrosis, graft rejection, and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Careful patient selection, appropriate surgical timing, careful surgical technique, and supervis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can minimiz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PDF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Arthroscopically Assited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using the Flexible Reamer)

  • 이승준;박정호;채인정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6-182
    • /
    • 2003
  • 목적 :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술기를 기술하고 이 술식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았던 환자 중에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했던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상적 결과의 평가를 위해 이학적 검사로 술전과 술후의 Lachman 검사, 정량적 검사로는 KT-2000 이용하였으며, Lysholm점수를 측정하여 주관적 평가를 하였고, 술후 단순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방사선 계측을 하였다. 결과 : 이학적 검사에서 1예에서 관절운동의 제한이 있었으며, 2예에서 술후 Lachman검사 양성을 보였고, KT-2000검사는 술전 평균 6.6 mm에서 술후 평균1.5 mm로 향상되었으며, Lysholm 점수는 술전에 평균 63.7점에서 술후에 91.4점을 보였고, 술후 방사선 사진에서 대퇴 이식골편의 위치는 경골의 관절면에 대해 평균 61.9도, 후방 피질골에서 평균 2.01 mm 떨어져 있었으며, 경골 이식골편은 전 례에서 과간절흔의 중심을 향하였다. 또한 수술 시간은 유연성 연마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평균 13.5분이 단축이 되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에 유연성 연마기를 사용한 결과 경골 터널의 설정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대퇴골의 이상적인 등장점에 터널을 만들 수 있고 꼭 필요한 정도의 대퇴과간 절흔 성형술을 일과성으로 시행할 수 있어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비후 (Hypertrophy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Knee)

  • 조성도;박태우;조용선;김범수;류석우;양승오;김성숙;황수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3-68
    • /
    • 2001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의 비후라는 진단명과 이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학적인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2월 이후 전방 십자 인대의 비후가 주진단으로 생각되었던 10명(12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명, 여자가 8명이었으며 연령은 35세에서 67세까지였다. 임상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학적 소견들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주증상은 특별한 외상병력이 없이 활동에 의해 악화되는 슬관절의 둔통이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동통으로 인한 슬관절 완전 신전의 제한이 있었다. 자기공명 시상면 영상에서 전방십자인대가 신호강도의 증가를 동반한 미만성 종창 또는 비후를 보여 전방 십자 인대의 급성 파열시 관찰될 수 있는 소견과 비슷하였다. 관절경 검사에서 전방십자인대가 심하게 비후되어 슬관절 완전 신전시 대퇴과간 절흔과의 충돌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병리학적 소견상 교원질의 증가 및 점액양 변성(myxoid degeneration)이 관찰되었다. 비후된 전방 십자 인대의 부분 절제술 및 절흔 성형술(notchplastry)로 동통 및 운동제한이 소실되었다. 결론 : 슬관절 동통을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중의 하나로 "전방 십자 인대의 비후"라는 새로운 진단명을 제시하는 바이며, 향후 본 증례들의 발생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일다발 및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전향적 무작위적 비교 연구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omparing Single-Bundle and Double-Bundle Techniques)

  • 박상은;임무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19
    • /
    • 2010
  •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이중다발과 재건술과 단일다발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는 편측 무릎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있는 56명의 환자군(group T)을 모집하여 27명은 이중다발 재건술군으로 배정하였으며(group D), 29명은 단일다발 재건술군으로 배정하였다(group S). 두 비교군 간의 임상적인 수술 결과는 최소 2년간의 추적 관찰 기간 내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Lachman & pivot shift test와 영상 검사(슬관절 전후방 부하 X선 촬영검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후 2년 추적 관찰에서의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수치에서, 두 비교군 사이에 유의한 임상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와 영상 검사 결과상에서도 두 비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점이 밝혀지지 않았다(p>0.05). 결론: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최소 2년간의 추적 관찰에서, 단일다발 재건술에 비해 임상적 결과나, 수술 후 영상 검사 상에서의 우월함을 보이지 못하였다. 이는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들에서 전내측 다발 재건술만으로도 우수한 임상적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이준 다발 재건술 - 수술 술기 - (Anterior Cruciate Ligament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Autografts - Technical Notes)

  • 안진환;이상학;안형권;강홍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2-231
    • /
    • 2005
  • 목적: 저자들은 5가닥의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내측 다발에 부가적인 후외측 다발을 통한 전방 십자인대 이중 다발 재건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경골 터널은 기존의 단일 터널 방법을 사용하였고, 대퇴 터널은 전내측과 후외측 다발을 위한 이중 터널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내측 대퇴 터널은 최소한의 대퇴 과간 절흔 성형술 후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게 11시 혹은 1시 방향에 대퇴과 절흔의 후방 경계(over-the-top)에서 후방 피질골이 1 mm 두께로 남아 있게 만든다. 또한 후 외측 대퇴 터널은 outside-in 방법을 사용하여 관절 내 터널 위치는 슬관절 90도 굴곡 상태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후각의 경골 부착부 내연(inner margin)에서 외측 대퇴과 내측벽의 상방 $5{\sim}7mm$ 부위에 4.5 mm reamer 이용하여 만들어 준다. 이중 다발을 위한 이식건으로 전내측 다발은 기존의 4가닥 슬괵건을 사용하고 후외측 다발은 반건양건 단일 가닥으로 만든다. 대퇴 터널 고정 방법으로 전내측 다발은 rigid fix system으로 고정하며 후외측 다발은 관절 밖에 miniplate를 이용하여 endobutton 방식으로 결찰로 고정한다. 이 후 경골 터널 고정은 슬관절을 $10{\sim}20$도 굴곡 상태에서 이중 다발을 함께 인장 강도를 주고 간섭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post tie로 보강한다. 결론: 저자들은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던 기존의 전내측 다발에 회전 안정성을 위한 부가적인 후외측 다발을 통해 5가닥(경우에 따라 6가닥)의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이중 다발 재건술을 시행함으로써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 PDF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추시 결과 (The Follow-up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Flexible Reamer)

  • 채인정;왕준호;최기원;송동익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23
    • /
    • 2008
  • 목적: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슬관절의 기능 및 안정성에 대한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 하였던 9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를 위해 주관적 검사로는 Lysholm knee score 및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subjective knee score를 이용하였으며, 객관적 검사로는 전방 전위 검사와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그리고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하였다. 결과: 관절 운동 범위는 5도 이상의 신전 소실이 술 전에는 8례에서 술 후 1례로 감소 하였으며 5도 이상의 최대 굴곡 소실은 술 전 12례에서 술 후 2례로 감소 하였다. 주관적 검사 중, Lysholm 점수는 술 전에 평균 61.3점(${\pm}3.5$ SD)에서 술 후에 87.7점(${\pm}2.0$ SD)으로 향상되었고, IKDC subjective knee score도 술 전 평균 49점(${\pm}3.3$ SD)에서 술 후 84점(${\pm}2.2$ SD)으로 향상되었다. 객관적 검사 중, Lachman 검사상 grade II 이상의 전방 전위를 보인 경우는 술 전 93례에서 술 후 5례로 감소하였으며 pivot shift 검사상 술 전 71례에서 grade II 이상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나 술 후 음성인 경우가 89례였다. 또한 KT-2000 arthrometer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최대 전방 전위 차이는 술 전 평균 6.8 mm(${\pm}1.9$ SD)에서 술 후 평균 1.8 mm(${\pm}0.8$ SD)로 향상되었다. 결론: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로 술 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특히 슬관절의 회전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던 바 이는 이식물을 보다 해부학적인 위치에 이식시킬 수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