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orepinephrine(N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19초

혈관이완제의 전처치가 토끼의 상완동맥과 복강동맥의 혈관수축에 미치는 효과; Nitroglycerin, Nicardipine, Verapamil과 Papaverine의 비교 (In Vitro Effects of Nitroglycerin, Nicardipine, Verapamil, and Papaverine on Rabbit Brachial and Celiac Arterial Tone)

  • 신성호;김영학;서정국;김진혁;정원상;전양빈;장병철;장효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41-549
    • /
    • 2008
  • 배경: 혈관수축제에 의한 동맥 이식편 직경의 감소는 상당한 혈류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체외에서 여러 가지 혈관수축제에 의해 유발되는 혈관경련에 대한 혈관이완제의 전처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토끼의 상완동맥과 복강동맥으로부터 $3{\sim}4mm$ 길이의 환상 혈관절편을 제작하여 5% $CO_2$와 95% $O_2$가 통기되는 modified Krebs 용액$(38{\pm}0.5^{\circ}C)$이 담긴 tissue bath내에서 일측을 고정하고 다른 일측을 force displacement transducer (TSD $125C^{(R)}$, Biopac Inc. USA)에 연결한 후 혈관수축제를 투여하여, 이때 초래된 혈관의 장력 변화를 관찰하여 대조치로 하였다. 그 후 니트로글리세린(NTG), 니카디핀(Nica), 베라파밀(Vera) 그리고 파파베린(Papa)을 각각 $30{\mu}M$씩 40분간 전처치하였고, Krebs 용액을 15분마다 3차례 교환한 후 혈관수축제들을 연속적으로 투여하여 초래되는 혈관수축을 관찰하여 실험치로 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전처치 전과 후의 혈관수축제에 의해 야기된 장력의 백분율로써 표시되었다. 결과: Nica는 상완동맥과 복강동맥 모두에서 norepinephrine (NE), angiotensin II (AII), U46619에 의한 혈관수축을 NTG와 Vera보다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Nica vs NTG, p<0.01 ; Nica vs Vera, p<0.05). Vera의 혈관수축 억제 효과는 NTG와 비교하여 상완동맥에서는 5HT (5-hydrokytryptamine), AII, 및 U46619로 수축시킨 경우, 그리고 복강동맥에서는 5HT 수축시킨 경우에만 유의하였다(p<0.01). 결론: Nica와 Vera 둘 다 혈관수축제의 수축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Nica는 Vera보다 혈관수축제의 작용을 예방하는데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Mechanism of L-NAME-Resistant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Induced by Acetylcholine in Rabbit Renal Artery

  • Yeon, Dong-Soo;Ahn, Duck-Sun;Lee, Young-Ho;Kwon, Seong-Ch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4권6호
    • /
    • pp.471-477
    • /
    • 2000
  • In the rabbit renal artery, acetylcholine $(ACh,\;1\;nM{\sim}10\;{\mu}M)$ induce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of arterial rings precontracted with norepinephrine $(NE,\;1\;{\mu}M)$ in a dose-dependent manner. $N^G-nitro- L-arginine$ (L-NAME, 0.1 mM), an inhibitor of NO synthase, or ODQ $(1\;{\mu}M),$ a soluble guanylate cyclase inhibitor, partially inhibited the ACh-induce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The ACh-induced relaxation was abolished in the presence of 25 mM KCl and L-NAME. The cytochrome P450 inhibitors, 7- ethoxyresorufin $(7-ER,\;10\;{\mu}M),$ miconazole $(10\;{\mu}M),$ or 17-octadecynoic acid $(17-ODYA,\;10\;{\mu}M),$ failed to inhibit the ACh-induced relaxation in the presence of L-NAME. 11,12-epoxyeicosatrienoic acid $(11,12-EET,\;10\;{\mu}M)$ had no relaxant effect. The ACh-induced relaxation observed in the presence of L-NAM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a combination of iberiotoxin $(0.3\;{\mu}M)$ and apamin $(1\;{\mu}M),$ and almost completely blocked by 4-aminopyridine (5 mM). The ACh-induced relaxation was antagonized by $P_{2Y}$ receptor antagonist, cibacron blue $(10\;and\;100\;{\mu}M),$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2-methylthio-ATP (2MeSATP), a potent $P_{2Y}$ agonist, induced the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and this relaxation was markedly reduced by either the combination of iberiotoxin and apamin or by cibacron blue. In conclusion, in renal arteries isolated from rabbit, ACh produced non-NO relaxation that is mediated by an EDHF.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ACh may activate the release of ATP from endothelial cells, which in turn activates $P_{2Y}$ receptor on the endothelial cells. Activation of endothelial $P_{2Y}$ receptors induces a release of EDHF resulting in a vasorelaxation via a mechanism that involves activation of both the voltage-gated $K^+$ channels and the $Ca^{2+}-activated\;K^+\;channels$. Th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EDHF does not appear to be a cytochrome P450 metabolite.

  • PDF

Substance P에 의한 가토 회장평활근의 수축기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echanism of Contraction by Substance P in Rabbit Ileum)

  • 조세헌;정진섭;이상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8권2호
    • /
    • pp.151-162
    • /
    • 1984
  • 가토의 회장평활근에서 substance P의 수축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SP는 $10^{-9}M$부터 수축을 일으켜 $10^{-7}M$에서 최대수축을 나타내었고 그 생도는 $10^{-6}M$ acetylcholine에 의한 수축의 90%에 달하였다. 2) SP를 농도별로 부가적으로 투여할 때는 SP를 각 농도마다 따로 투여함 때보다 수축의 크기가 크게 감소하였다. 3) $10^{-7}M$ SP로 5분간 처리한 회장평활근의 $10^{-8}M$ SP에 글한 반응은 $10^{-7}M$$10^{-8}M$ SP 투여시간의 간격이 클수록 증가하여 20분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4) $10^{-7}M$ SP로 3분 처리후에도 $10^{-6}M$ acetylcholine에 의한 수축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5) $10^{-7}M$ SP에 의한 수축은 $10^{-6}M$ atropine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3mM TEA전처치시 $10^{-7}M$ SP에 의한 수축은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하였고 SP 전처치시 TEA 수축은 감소하였다. 6) $10^{-8}M$ SP와 3mM TEA에 의한 수축은 Na없는 용액, $10^{-4}M$ ouabain, 100k용액에 의해 완전히 억제되었고 $10^{-6}M$ NE 존재시는 40% 정도 억제되었다. $10^{-7}M$ SP에 의한 수축은 각 조건내서 완전히 억제되지 않았다. K없는 용액에서 $10^{-8}M$ SP 의한 수축은 완전히 억제되고 $10^{-7}M$ SP와 TEA에 의한 수축은 완전히 억제되지 않았다. 7) SP에 의한 수축은 0. 1 mM $Ca^{2+}$존재시 상당히 억제되었고 외부 $Ca^{2+}$증가시 증가하여 1.8 mM $Ca^{2+}$에서 최고에 달하였으며 그 이후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SP수축의 감소속도는 0.5mM $Ca^{2+}$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1.8mM이상의 $Ca^{2+}$농도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8) $Ca^{2+}$없는 용액에서 $10^{-7}M$ SP는 수축을 일으켰고 그 수축의 크기는 $Ca^{2+}$없는 용액으로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10분후 완전 소실되었다. 9) $Ca^{2+}$없는 용액으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0.5mM $Ca^{2+}$에서 $10^{-7}M$ SP에 의한 수축은 감소하였다. 10) $Ca^{2+}$없는 용액에서 10분간 처리한 후 $10^{-7}M$ SP에 의한 수축은 Ca loading time이 길수록 외부 $Ca^{2+}$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저농도의 SP는 주로 외부 $Ca^{2+}$의 유입에 의해 수축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Ca^{2+}$의 유입에 관여하는 기전은 $K^+$투과도의 감소에 의한 막전위의 탈분극만으로 완전히 설명할 수 없었고 고농도의 SP에 의한 수축에는 세포내부 $Ca^{2+}$의 유리도 관여하고 이 $Ca^{2+}$저장고는 세포막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