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odle-making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메밀복합분을 이용한 제면 특성 (Noodle Making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Composite Flours)

  • 김복란;최용순;김종대;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83-389
    • /
    • 1999
  •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for buckwheat noodle making, we prepared noodle from com posite flours of buckwheat, wheat and corn starch, and thos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 tion were investigated. The weights of cooked noodle became lower with increasing buckwheat content level indicating that elution of its components to soup was high. Wheat flour in the composite flours probably caused to drop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maximum viscosity compared to buck wheat flours. Corn starch in the composite flours increase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maximum viscosity compared to buckwheat flours. From the result of farinogram, buckwheat flour lower water absorption ability, and increased dough development time compared to composite flours. Adhesiveness of the cooked noodle with wheat flour was decreased. Cohesiveness of the cooked noodle was decrea sed with increasing buckwheat flour level. In sensory evaluation, chewing and softness of noodle with 100% buckwheat flour was evaluated the best. In taste, BW1 and BSW1 noodles showed slightly higher preferenc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 PDF

밤 껍질에서 분리 회수한 밤가루를 이용한 밤국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estnut-Noodle Utilizing Recovered Chestnut Powder from Inner Layer)

  • 조숙자;정은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7-96
    • /
    • 2003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aking use of the edible portion on the inner layer of chestnut, which is produced as wastes in the chestnut processing, into chestnut-noodle. To conduct this study, the chestnut powder, which is separated and collected from the inner layer, was us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aking chestnut-noodle. The structure of chestnut-noodle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sensory quality was conducted to examine usability of the chestnut-noodle as compared to wheat flour noodle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The ten sensory qualities : appearance, color, flavor, hardness, elasticity, cohesiveness, ad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nd acceptability, were evaluated by 10 point Likert type scale with 10-50% of different ratio of chestnut powder. The chestnut-noodle made by 50% of the chestnut powder got higher points than 10 % of chestnut powder mix in color. However, the chestnut-noodle made by 50% of the chestnut powder got lower points than wheat flour noodle in flavor.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dness, elasticity, cohesiveness, adhesiveness, chewiness and gumminess between the chestnut-noodle made by 30% of the chestnut powder and wheat flour noodle.

  • PDF

밤가루 복합분 국수의 제면 특성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estnuts Flour)

  • 박규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39-343
    • /
    • 1997
  • 소맥분 및 복합분들에 관한 amylogram 특성치, 조리시험, 색도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알아본 결과는 달음과 같다. 복합분의 amylogram의 특성치는 20% 밤가루 첨가구까지 밀가루 면의 점도 특성에 접근하였다. 조리시험에서는 밤가루의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조리면의 중량, 부피는 약간씩 감소되었고 흡광도는 약간씩 증가되었으나 30% 밤가루가 첨가될 때까지는 밀가루 면과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리면의 색차($\Delta$E)가 밀가루 면과의 비교에서 B, C면은 noticeable로 나타났으나 D면 이상은 appreciable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경우, 색도는 30% 밤가루 첨가구까지 밀가루 면과 유의차가 없었으나 조직감에서는 밤가루 10% 첨가구만이 유의차가 없었다.

  • PDF

고아미(아밀로스 쌀) 복합분을 이용한 제면 특성 (Noodle making characteristics of goami rice composite flours)

  • 김진숙;김상범;김태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6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quality of high-amylose content rice(goami) flour for noodle. The potassium and magnesium contents of rice flour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gross score of noodle making mixed with wheat flour. The high-amylose content of rice flour was closed associated with gel consistency negatively and with hardness of rice noodle positively, Setback viscosity of rice flour measured in a rapid visco-analyser(RVA)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mylose content as well as gel consistency. Also the amylose content decreased, the amylogram pasting temperature and the breakdown ratio increased. The low-amylose content rice(Chucheong) flour showed higher values in solubility. Cooking quality and texture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the noodles prepared.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noodles of composite flour containing 40% goami rice flour were superior to those wheat flour alone. Water binding capacity of the composite flour containing 40% goami rice flour was lower than that of 40% chucheong rice flour. In sensory evaluation, chewiness, overall acceptability of noodle with 40% goami ricer was evaluated as the best.

  • PDF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첨가에 의한 쌀국수 제면성 연구 (I) (Study on the noodle-making properties of rice added with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I))

  • 유영진;강미영;엄인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61-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쌀국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PMC)가 사용되었고, 물 첨가량, HPMC 첨가량, HPMC의 점도가 쌀반죽의 제면성이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첫 번째 롤러를 통과한 쌀반죽의 형태가 더 반듯하고 균일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물 첨가량이 특정 범위를 넘어서자, 제면 후의쌀국수의 형태가 굴곡이 심한 문제가 있었다. HPMC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면성을 살펴본 결과, 3% 함량이 쌀반죽의 우수한 제면성을 위해 최적의 조건임이 확인되었다. HPMC의 점도가 감소할수록 롤러를 통과한 쌀반죽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점도가 가장 낮은 PMC 40H를 첨가한 경우, 높은 물 첨가량에서도 제면 후 면의 형태가 곧은 형태가 나타나 제면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한 범위에서는 56~58%의 물첨가량, 3% 함량의 HPMC 첨가, 고점도 HPMC(PMC60U) 사용이 가장 우수한 제면을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생각된다.

  • PDF

율무가루와 밀가루 복합분의 제면성 시험 (A Study of Dried Noodles Prepared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Job's Tears and Wheat Flour)

  • 박규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25-329
    • /
    • 1995
  •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aking noodle with Job's tears flour(JTV), it was mixed with wheat flour by the ratio of 60oyo. Ma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was studied in terms of cooking quality test, color measurement and sensory evaluation. The cooking quality of noodles with 10~40% JTF was almost same value as control in weight and volume of cooked noodle. Color difference ($\Delta$E) between noodles with JFT and control was revealed appreciable value. Though noodles with 10~30% JF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in color, only noodle with 10% JFT was same as control In texture by sensory evaluation test.

  • PDF

제면 적성 시험을 위한 쌀국수 제조 방법 (A Rice Noodle Making Procedure for Evaluating Rice Flour Noodle-Making Potential)

  • 최수영;조준현;고봉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23-1829
    • /
    • 2012
  • 국내에서 육종된 쌀 품종들의 제면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소규모(시료 쌀가루 100 g 이하)로 실험이 가능한 표준화된 쌀국수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국수의 품질을 평가하여 제면성이 우수한 품종을 판별하였다. 쌀국수를 제조하는 두 가지 방법 가운데 압출 면은 반죽의 수분 첨가량에 비교적 예민하지 않아서 수분 첨가량 결정이 용이한 방법이었으나 세절 면은 수분 첨가량에 따라서 제조과정에서 면대 형성이 달라지므로 수분 첨가량을 가루의 수분 흡수력에 따라서 조절해야 한다. 제조방식에 따라서 국수의 물성에는 차이가 있지만 Chenmaai가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제면 적성을 나타내었다. 제면성이 우수한 품종일 경우 제분 방법에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으며 제면 방법에 관계없이 우수한 품질의 면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enmaai는 두 가지 제면방법에 따라서 제면하였을 때 조리 손실률이 가장 낮고 조리된 면의 탄성이 높아서 우수한 제면 적성을 나타내었다. Goamibyeo는 제면용으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익히 잘 알려져 있으나(8,13), 초 다수성인 Chenmaai도 제면용으로 사용하면 경제성과 더불어 우수한 제면용 쌀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쌀가루와 밀가루 복합분(複合粉)의 제면성(製麵性)시험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Rice and Wheat Flours)

  • 이경혜;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4
    • /
    • 1981
  • 쌀가루와 밀가루의 복합분으로 제면을 시도하였고, 쌀가루에 결착성을 주기위한 방법으로 팽화미가루를 조제하여, 쌀가루, 밀가루와 함께 복합분의 시료로 삼았다. 원료분 및 복합분들에 관한 amylogram 특성치를 측정하였으며, 복합분으로 제조한 면제품을 조리시험하여 밀가루면과 비교하였고 또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원료분의 amylogram 특성치는 그 최고점도에 있어서 쌀가루가 가장 높았고, 복합분에 있어서는 의 경우가 밀가루의 점도특성에 접근하였다. 2. <쌀가루+팽화미가루$30{\sim}40$> 복합분에 XG $1.5{\sim}2%$와 밀가루 $40{\sim}50%$를 혼합하였을때 제면적성과 조리시험 결과가 향상되어 밀가루면과 차이가 없었다. 3. 관능검사 결과 <쌀가루+팽화미가루+밀가루> 복합분에 XG을 첨가한 것이 약간 더 효과적이었으며 팽화미가루 함량이 30%인 복합분으로 만든 면제품은 기호성에 있어서 밀가루면과 유의차가 없었고, 냄새와 맛에서는 오히려 밀가루면 보다 우수하였다.

  • PDF

천연고분자 첨가에 의한 쌀국수 제면성 연구 (Study on the noodle-making properties of rice added with natural polymers)

  • 조희정;유영진;강미영;엄인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9권
    • /
    • pp.55-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체 성분으로는 제면이 어려운 쌀가루에 대해서 제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잔탄검, 구아검, 결정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천연고분자를 첨가한 후 첨가량과 물양을 달리하여 제면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네 가지의 천연고분자 중에서 잔탄검이 가장 우수한 제면성을 보였고, 결정셀룰로오스가 가장 제면성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천연고분자의 물에서의 용해정도와 유변물성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잔탄검의 경우 수용액 상태에서도 가장 높은 점성을 보이기 때문에 쌀가루에 혼합되었을 때 쌀입자들을 잘 뭉치게 할 수 있는 특성 역시 커 가장 우수한 제면성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네 가지의 천연고분자 시료 모두 쌀의 제면성에 있어 첨가량과 물양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탄검의 경우, 잔탄검 함량 3%, 물량 64~68%에서 가장 우수한 제면성을 보였고, 구아검의 경우 2~3% 구아검 함량과 66% 부근의 물량에서 제면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셀룰로오스를 첨가했을 경우에는 쌀반죽의 제면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으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첨가한 경 우에는 3% 첨가량과 64%의 물량에서 최적의 제면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결정셀룰로오스를 제외한 세가지 천연고분자를 이용했을 때 쌀의 제면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쌀면을 제조하는데 있어 천연고분자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효과적인 쌀면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쌀반죽의 제면성뿐만 아니라 조리특성 및 식감 역시 우수해야 하므로,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 PDF

국산밀의 제면특성 (Noodle-M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 박남규;송정춘;김기종;이춘기;정헌상;정만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7-172
    • /
    • 1999
  • 우리밀의 소비촉진과 제면적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육성 11품종 (조광밀, 그루밀, 은파밀, 탑동밀, 우리밀, 올그루밀, 알찬밀, 고분밀, 금강밀, 서둔밀, 수원 265호)과 수입밀 2품종(DNS(Dark Northern Spring Wheat), ASW(Australian Standard White))에 대한 제면 가공특성을 분석하였다. 삶은 건면의 조직감에서 탄력성은 국산밀이 0.59-0.79 범위이었으며, 수입밀은 0.55-0.57로 낮았다 껌성은 알찬밀, 응집성은 금강밀, 부착성은 올그루밀, 견고성은 그루밀, 씹힘성은 조광밀, 인장력은 탑동밀, 파쇄력은 고분밀이 가장 높았으며, 생면의 조직감중 응집성은 은파밀, 고분밀, 수원 265호가 높았고 탄력성, 껄성, 부착성, 견고성, 씸힘성 등에서 고분밀이 높았다. 인장력은 알찬밀과 수원 265호가 컸다. 삶은 생면의 조직감에서는 탄력성은 탐동밀, 부착성은 그루밀, 껌성, 응집성, 견고성,씹힘성에서는 금강밀이 컸으며, 인장력은 수원 265호가 높았다. 삶은 건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 조직감 및 전체적 품질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전체적 품질은 ASW 가 가장 좋았고 그다음으로 탑동밀, 알찬밀, 금강밀 순이었다 삶은 생면도 고도의 유의성이 있였으며(p<0.01), 전체적 품질은 탑동밀이 가장 좋았고 그 다음으로 은파밀, 금강밀, 우리밀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