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verbal communicatio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2초

병실 분위기 조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forming the Atmosphere of Ward)

  • 윤정인;이미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41-652
    • /
    • 1995
  • Working as nurses, authors found that some patients were not content with their hospital life. Some patients wanted to move to another ward, and others complained about their ward atmosphere. In spite of patients' discomfort, nurses didn't know what made some patients complain about their ward. So, authors tried to find factors that influence atmosphere of hospital wards of the neurosurgery patients. To know the atmosphere of wards, authors selected five neurosurgery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Observation took a month. An author observed using molar approach, in the morning, in the day time, and in evening time. Authors used concealment /no intervention technique. An author checked condition of people in the wards, and observed their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ir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 through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by Spradly. Authors found there was an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mosphere of ward. It was a human and his attitude. At least one person who was willing to help others made ward atmosphere better. Helping others physically whenever needed, sup-porting the depressed emotionally, offering foods, or talking to others friendly brought good atmosphere. On the contrary, if everyone was indiffernt to others, the atmosphere became cold. Self-centered or selfish behaviors such as occupying too much area, using the toilet too long, covering other's suction bottle without permission and seeing others delicate or urinate were hurtful. In addition to the attitud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unkindness of medical teams including nurses and doctors and tasteless meal caused bad ward atmosphere. Based on this research finding, authors suggest the followings. A For the better atmosphere of ward 1. Nurses should try to make the ward atmosphere better by introducing new patient to older ones. 2. Every ward should have dividing curtains to keep patient's privacy. 3. All hospital personnel should be kind enough to make patients feel that they are repected. 4. Hospital should serve high quality meals to patients. 5. Patients had better stay with those in the similar condition. B. For the future studies 1. Repeated researches are necessary to check reliability of this results. 2. Researches for patients in different area such as ICU, or hemodialysis unit are necessary.

  • PDF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의 관계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Aged Women)

  • 박경은;권미형;권영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27-53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needed in living successfully in elderly women's later yea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Methods: Subjects were 115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who were capable of verbal/nonverbal communication and could understand/answer the questionnaire in H reg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written consen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2.0/WIN program.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as $4.14{\pm}3.22$ on average and the degrees of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were $2.41{\pm}0.55$ and $3.72{\pm}0.59$ on average,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however, dep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448, p<.001) with quality of life and death anxiety also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219, p<.05) with quality of life. Conclusion: We can predict that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negatively affect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Association betwee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ran: a case-control study

  • Jenabi, Ensiyeh;Seyedi, Mahdieh;Hamzehei, Ronak;Bashirian, Saeid;Rezaei, Mohammad;Razjouyan, Katayoon;Khazaei, Salm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9호
    • /
    • pp.368-372
    • /
    • 2020
  • Background: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defined by impairments in social interaction and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Purpose: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use of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ART) and the risk of ASD among children. Methods: This case-control study included 300 participants (100 cases, 200 controls). The control group included women with a child aged 2-10 years without ASD, while the cases were women with a child aged 2-10 years with ASD. We used a researcher-mad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 ver. 14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 Results: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hild sex, delivery mode, history of preterm delivery, history of using ART, and maternal age at child's birth and the risk of ASD. After the adjustment for other variables, this association was significant for male sex (2.66;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4.31; P=0.001) and history of using ART (4.03; 95% CI, 1.76-9.21; P=0.001). Therefore, after the adjustment for confounder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RT and the risk of ASD among children (4.98; 95% CI, 0.91-27.30; P=0.065). Conclusion: After the adjustment for other variables, risk factors for ASD were male sex and history preterm delivery. Thu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RT and the risk of ASD among children.

선택행위를 통한 자아확립의 매개로서 현대주거에 관한 연구 - '온라인집들이'의 서사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as Medium between the Self-establishment and the Selection - Focused on Narrative Structure of 'Online-housewarming' -)

  • 허은석;조항만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41-50
    • /
    • 2019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cess of the housing reflecting the self,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that people describe their thoughts about their housing in social media 'online-housewarming'. Especially,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that modern self is established on continuous selection behavior, we focused on the selection behavior of the self and the role of the housing that affected it through the narrative. Each narrative component corresponds to the self-establishment process of modern people, identified through precedent study. We can confirm the existing internal criteria changing into new internal criteria through accumulation,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selection by housing. Housing has been involved in the selection behavior of self throughout the narrative.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thought of the self and housing are identified in three ways. In 'Online-Housewarming', (1) Housing equates with the self, in the sense that housing is a physical entity in which one's own choices are accumulated (2) People perceive the change of choice caused by the realistic constraints of housing as their interaction with housing. (3) People relate the opinions of others about housing with the opinions about their own self. In contemporary society, house reforming process is a process of mediating the self and the external world based on the selection behavior and affects the establishment of self.

챗봇의 사회적 현존감을 위한 비언어적 감정 표현 방식 (Non-verbal Emotional Expressions for Social Presence of Chatbot Interface)

  • 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21
  • 챗봇과 친밀한 관계를 느끼고 대화에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인간의 감정을 정확히 인지하고 그에 적합한 감정적 반응을 표현하는 인공지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챗봇이 감정을 표현할 때 사람같이 느끼게 하는 사회적 현존감을 높이는 비언어적 표현 방식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배경연구를 진행하여 표정이 가장 감정을 잘 드러내는 비언어적 표현이며 움직임은 관계몰입에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감정에 따라 사회적 현존감이 느껴지는 표현 방식을 밝히기 위해 5가지 기본 감정인, 기쁨, 슬픔, 놀람, 두려움, 화남을 동적 텍스트, 동적 제스처, 정적 표정 이모티콘으로 자극물을 준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가장 사회적 현존감이 느껴지는 표현 방식을 각 감정별로 택하도록 하였다. 설문 결과 기쁨과 같은 긍정적이고 각성 상태가 높은 감정에서는 동적인 표현이, 슬픔과 화남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서는 정적 표정 이모티콘이, 놀람, 두려움과 같은 중립적 감정의 경우 의미를 확실히 알 수 있는 동적 텍스트가 주로 선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챗봇 개발 시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을 정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어 피동·사동 교육용 시각 콘텐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al Contents for Korean Passive Verbs and Causative Verbs Education)

  • 손주희;김은정;안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48-358
    • /
    • 2022
  • 본 연구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피동·사동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시각적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동·사동은 중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 꼭 가르쳐야 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그 실현 양상이 복잡하고, 접미사에 의한 피동·사동은 결합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규칙이 없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 모두에게 어려운 항목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비언어적 정보 활용에 관해 고찰하였다. 언어 교육에서 언어적 비언어적 정보를 함께 제공하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시각적 콘텐츠는 기억 증진, 재생, 전이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언어적 정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자료로서의 그림카드를 기획하고 제작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피동·사동의 올바른 교육에 초점을 두고 제작한 그림카드는 접미사에 의한 한국어 피동·사동의 교수-학습을 효율적이고 유의미하게 해 줄 것이다.

Classification of Infant Crying Audio based on 3D Feature-Vector through Audio Data Augmentation

  • JeongHyeon Park;JunHyeok Go;SiUng Kim;Nammee M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47-54
    • /
    • 2023
  • 영아는 비언어적 의사 소통 방식인 울음이라는 수단을 사용한다[1]. 하지만 영아의 울음소리를 파악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영아의 울음소리를 해석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2,3].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음성 데이터 증강을 통한 3D 특징 벡터를 이용한 영아의 울음소리 분류를 제안한다. 연구에서는 총 5개의 클래스 복통, 하품, 불편함, 배고픔, 피곤함(belly pain, burping, discomfort, hungry, tired)로 분류된 데이터 세트를 사용한다. 데이터들은 5가지 기법(Pitch, Tempo, Shift, Mixup-noise, CutMix)을 사용하여 증강한다. 증강 기법 중에서 Tempo, Shift, CutMix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성능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최종적으로 우수한 데이터 증강 기법들을 동시 적용한 결과 단일 특징 벡터와 오리지널 데이터를 사용한 모델보다 17.75%의 성능 향상을 도출하였다.

가족치료 대화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A Study on Functional Structure in Conversation of Family Therapy)

  • 조용길;유명이;박태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253-276
    • /
    • 2008
  • 본 연구는 가족치료 상담자의 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해 훈츠누어셔의 대화문법론을 기반으로 가족치료 전체 회기에 나타나는 상담자와 내담자 간 의사소통의 전형적인 구조인 '대화연속체 원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가족상담의 과정단계를 초기, 중기와 종결단계로 분류하고, 각 과정단계의 부분적 기능단계를 분위기 조성단계, 가족사정단계, 인식변화 유도단계, 변화체험 확인단계, 종결단계로 나누어 대화연속체 원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2명의 상담자와 30명의 내담자가 참여한 실제 가족치료 대화를 분석하여 각 기능단계에서 나타나는 대화연속체 원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대화원형은 일반적인 가족치료의 대화구조를 분석하는 틀로써 상담의 목적에 맞게 가족치료를 구조화시키고 상담자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성인정신지체인의 감정 표현 향상을 위한 음악 활용의 효과 (The effect of musical application to develop the emotional expression of mentally retarded adults)

  • 진선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권1호
    • /
    • pp.17-33
    • /
    • 2005
  • 음악은 가장 오래되고 자연스러운 자기 표현의 수단으로 인간의 역사 속에서 현재까지 내려와 인간과 관계 맺고 있다. 이는 음악이 개인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면서도 그 내용에 대해 직접적인 판단을 받지 않은 음악이라는 매체의 특성 때문인데, 이는 클라이언트에게 자유롭고 비위협적인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악의 특성들은 사회적 위축감과 무기력감으로 인해 수동적이거나 공격적인 부적절한 감정 표현의 양상을 보이는 정신지체인들에게 긍정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를 가진 성인들에게 기존의 감정 표현 훈련에 음악을 활용할 경우 정신지체를 가진 성인들의 자기 감정 표현 및 사회생활기술에 음악이 긍정적인 영향성을 미치는지 알아 보기 위함이다. 각 3명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기 표현 평정 척도 및 사회 생활 기술 척도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감정 표현 훈련보다 음악을 활용한 감정 표현 훈련이 성인정신지체인들의 말할 때의 내용표현, 음성 표현, 신체 및 비언어적 표현력을 모두 포함한 자기 감정 표현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반적인 정신지체인들의 사회생활기술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전반적인 사회생활기술의 향상과 자기 감정 표현의 불가분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음악을 활용한 감정 표현 훈련이 정신지체를 가진 성인들의 효과적인 감정 표현 훈련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 PDF

지리적으로 분산된 디자이너들을 위한 3D 디자인 협업 환경 - 공유 조작과 원격 실재감을 지원하는 증강현실 기반 인터랙션 기법을 중심으로 - (Collaborative 3D Design Workspace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Designers - With the Emphasis on Augmented Reality Based Interaction Techniques Supporting Shared Manipulation and Telepresence -)

  • 사공경;남태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71-80
    • /
    • 2006
  • 국제화, 전문화, 분업화 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으로 인해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협업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디자인 전문가들이 3D 모델을 함께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디자인 협업 환경을 제안한다. 특히 원격 협업 환경에서 원격 실재감, 공유조작, 상대 인식 등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하는 새로운 인터랙션 기법을 개발하고, 디자인 리뷰와 관련된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평가하였다. 관련연구 조사와 디자인 협업 행태의 관찰 실험을 기반으로 작업대상 관련, 작업공간 관련, 상대인식 관련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의 3차원 원격 협업 환경을 구축하였고 원격 사용자에 대한 존재감을 제공하는 회전원반(Turn-table)과 가상그림자(Virtual Shadow)라는 인터랙션 도구를 개발하였다. 회전원반은 가상모델의 조작에 직관성을 부여하고 상대의 조작에 물리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가상그림자는 상대의 위치, 제스처, 지시 등의 인식 정보를 지속적이고 자연스럽게 제공한다. 평가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인터랙션 도구들이 3D 모델의 검토에 있어서 대략적인 지시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수정사항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가상의 3차원 모델을 다루는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들(디자이너-디자이너, 디자이너-엔지니어, 혹은 디자이너-모델러 등) 간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