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volatile acid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5초

갓김치 숙성중 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Kimchi)

  • 박석규;조영숙;박정로;문주석;이용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3
    • /
    • 1995
  •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uncleic acid-related compounds of leaf mustard-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5~7$^{\circ}C$ were investigated. The leaf mustard-Kimchi was formulated with 4kg leaf mustard, 120g garlic, 80g ginger, 540ml salted anchovies, 1kg green onion, 200g red pepper powder, 200g ground red pepper, 60g whole sesame and 600ml glutinous rice paste. Changes in pH and acidity were relatively slow. Major free sugars were glucose(0.13%) and maltose(0.42%), and residual sugars(0.03-0.04%) were also detected after 32 days of fermentation. Major free amino acids containing more than 26.5mg% were prol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histidin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increased from 244.8 to 397.2mg% by 24 days of fermentation. Of non-volatile organic acid, lac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119.3mg%), and its content increased markedly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Other organic acids(below 53.1mg%) observed were malic, oxalic and citric acid. Contents of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were high in the order of hypoxanthine(22.8mg%), IMP(8.3mg%) and GMP(6.9mg%).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by 10 days(27.3mg%) and decreased thereafter, while the others decreased gradually during the overall period of fermentation.

  • PDF

Calcium Acetate 및 Potassium Sorbate를 첨가한 깍두기의 품질 특성 (Effect of Calcium Acetate and Potassium Sorbate on Characteristics of Kakdugi)

  • 김소연;엄진영;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
    • /
    • 1991
  • 상온($20^{\circ}C$)에서 깍두기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a-acetate, K-sorbate를 단독 혹은 혼용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20^{\circ}C$에서 4일동안 저장한 시료의 관능적 특성, Instron을 이용한 경도측정 및 비휘발성 유기산을 측정하였고, 10일동안 저장하면서 pH와 산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0.3%의 Ca-acetate가 첨가된 Ca-acetate군과 Ca-acetate/K-sorbate군에서 깍두기의 단단한 정도, 아삭아삭한 정도, 질긴 정도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고 신맛이 증가하였으며 바람직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비휘발성 유기산이 대조군에 비해 많이 생성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저장 8일까지 이 시료들의 산도가 높은 반면 pH의 변화는 적은 것으로 나타나 Ca-acetate가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0.1%의 K-sorbate가 첨가된 시료는 대조군에 비해 단단한 정도와 질긴 정도가 조금 증가하였으며 신맛이 감소되었으나 바람직한 정도가 다른 시료들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저장기간 동안 K-sorbate에 의한 산생성 억제효과가 현저하여 총산 생성량이 가장 적었고 4일 저장시료의 총 비휘발성 유기산 생성량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Instron으로 측정한 깍두기의 경도는 압착실험이 관능검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착실험 결과, Ca-acetate 첨가시료가 단단하였으며 특히, K-sorbate와 혼합하여 첨가한 시료에서 경도증진 효과가 상승하였다.

  • PDF

늙은 호박의 부위별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 박용곤;차환수;박미원;강윤한;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9-646
    • /
    • 1997
  • 늙은 호박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연구로서 호박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카로데노이드 및 펙틴물 질의 함량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박의 중량에 대해 과육부위가 84%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고, 껍질이 10%, 내부 섬유상물질이 3.5%를 차지하였다. 호박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과육부는 fructose와 glucose가 전체 유리당의 87%를 차지한 반면 내부 섬유상물질은 sucrose의 함량이 높았고, 총 유리당 함량은 과육부가 섬유상부위 보다 3배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과육부는 serine이 102.0mg%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45%, 섬유상부위는 aspartic acid가 241.3mg%로 70%를 차지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은 호박의 부위에 관계없이 aspartic, glu-tamic acid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malic, cit-ric, succinic, fumaric acid로 구성 되어 있었으나 malic acid가 과육의 경우 85.2mg%, 섬유상 부위의 경우 226.5mg%로서 전체 유기산의 63~70%를 나타내었다 총 카로테노이드의 함량은 내부 섬유상물질이 65.3mg%로 호박 총 카로테노이드의 87%를 차지하였고, 과육, 껍질은 각각 6.6, 3.3mg%였다. 호박의 가용성 펙틴 함량은 수용성 펙틴이 총가용성 펙틴의 58%를 차지하였고, 섬유상부위가 과육부에 비해 그들의 총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한 결과 과육부의 펙틴이 섬유상에 비해 다소 분자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펙틴의 중성당은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로 분리되었고, 이중 과육은 galactose가 45%, 섬유상은 glucose가 36.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이식시기(移植時期)가 향초(香草)(Nicotiana tabacum L.)의 향끽미(香喫味) 물질(物質) 발현(發現)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ransplanting Times on the Content of Aromatic Substances in Tobacco Cultivar, Hyangcho)

  • 정형진;김길웅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7-12
    • /
    • 1988
  • 우리 나라 재래종중(在來種中) 내용성분(內容成分) 면(面)에서 바람직한 향끽미(香喫味) 물질(物質)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향초(香草)를 대상(對象)으로 이식시기(移植時期)가 향끽미(香喫味) 물질(物質)에 미친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전(全)알카로이드 함량(含量)은 7월(月) 5일(日) 이식구(移植區)가 4.16%로 가장 높고 5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는 1.37%로 가장 낮았으며, 니코틴 함량(含量)은 전(全)알카로이드 함량(含量)과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전당(全糖) 함량(含量)은 4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가 12%로 가장 높았고 이것보다 이식(移植)이 빠르거나 늦을 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석유(石油)에텔추출물(抽出物)은 4월(月) 5일(日) 이식구(移植區)가 5.77%로 가장 높았고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늦을 수록 감소(減少)하였다. 전당(全糖) 석유(石油)에텔추출물(抽出物) 전질소(全窒素)는 4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빠를 수록 지방산(脂肪酸), malic산(酸)과 citric산(酸) 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다.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빠를 수록 2.3-methylbutanoic산(酸), 3-methylpentanoic산(酸)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다.

  • PDF

감태, 큰잎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의 유리당 및 비휘발성 유기산의 조성과 그 계절적인 변화 (Compositions and Seasonal Variations of Free Sugar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Brown Algae, Ecklonia cava, Sargassum ringgoldianum and Myagropsis myagroides)

  • 김규동;강진훈;윤호동;변한석;김동수;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7-233
    • /
    • 1986
  • 해조류의 식량자원으로서의 고도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감태, 큰잎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을 시료로 하여 유리당 및 비휘발성유기산의 조성과 그 계절적인 변화를 GLC를 이용하여 분석검토하였다. 감태, 큰잎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의 유리당조성은 3시료 모두 floridoside, galactose, glucose 및 xylose의 4종류가 동정되었으며 그 중 floridoside가 가장 많아 각각 유리당총양의 $53.4\%,\;52.8\%$$58.8\%$를 차지하였고 xylose가 가장 작아 각각 $8.3\%,\;7.5\%$$6.8\%$를 차지하였다. 계절적인 변화에 있어서는 3시료 모두 계절에 따른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리당총양은 감태, 큰잎모자반, 외톨개모자반의 순으로 많았다. 한편, 이들 시료의 유기산조성을 살펴 보면, 감태의 경우에서는 9종류의 유기산이 동정되었는데 양적으로 주요한 유기산은 lactic, oxalic, fumaric, succinic, malic 및 citric acid 등의 6종류이었으며 그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아 전체유기산의 $30.6\%$를 차지하였다. 큰잎모자반과 외톨개모자반에 있어서는 8종류의 유기산이 동정되었으며 그조성이 동일하였다. 양적으로 주요한 유기산은 양시료 모두 succinic, malic 및 citric acid로 그중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아 각각 전체유기산의 $30.9\%$$31.2\%$이었다. 계절적인 변화는 3 시료 모두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기산총양에 있어서는 감태가 191.6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큰잎모자반은 103.5mg/100g이었고 외톨개모자반은 가장 적어 76.2mg/100g을 나타내었다.

  • PDF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rowning of Red Ginseng)

  • 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60-77
    • /
    • 1973
  •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하기 위(爲)하여 이의 갈변(褐變)을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으로 단정(斷定)하고 어떤 성분(成分)의 작용(作用)으로 일어나는 갈변(褐變)인가를 추구(追究)하고저 수삼(水蔘), 증삼(蒸蔘), 자연건조홍삼(自然乾燥紅蓼), 인공건조홍삼(人工乾燥紅蔘),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 갈변촉진홍삼(褐變促進經蔘)으로 구분(區分)하여 이들의 성분중(成分中) 갈변(褐變)에 관여(關與)하는 화학성분(化學成分)들의 소장(消長)을 정량적(定量的)으로 분석대조(分析對照)하였고 홍삼(紅蔘)의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 갈변촉진(褐變促進)에 관(關)한 연구(硏究)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성분(一般成分)은 대체(大體)로 시험구간(試驗區間)에 별차이(別差異)가 없었으며 총당(總糖)과 환원당(還元塘)은 조금 감소(減少)하고 총산(總酸)은 홍삼류(紅蔘類)가 조금 높았고 수추출물(水抽出物)은 홍삼구(紅蔘區)들이 $6{\sim}7%$ 낮았다. 2. 유리(遊離)amino산(酸)으로 Asp., Thr., Ser., Glu., Gly., Ala., Val., Cys., Met., Ileu., Leu., Tyr., Phe., Lys., His.. Arg.의 16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Arg.이 뛰어나게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고 필수(必須) amino산(酸)이 모두 함유(含有)되며 일반적(一般的)으로 건조중(乾燥中)에 감소(減少)되고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가 인공건조구(人工乾燥區) 보다 많은 감소율(減少率)을 보였다. 3. 유리당(遊離糖)으로 fructose, glucose, sucrose의 3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고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4종(種)을 분리(分離)하였으며 함량(含量)에서는 sucrose가 80%이고 홍삼구(紅蔘區)들이 일반적(一般的)으로 함량(含量)이 적었으며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가 인공건조구(人工乾燥區) 보다 많은 감소율(減少率)을 보였으며 특(特)히 환원당(還元糖)이 많은 감소(減少)를 보였다. 4. Vitamin C는 증삼시(蒸蔘時)에 거이 파괴(破壞)되고 건조중(乾燥中)에는 별(別)로 변화(變化)가 없었다. 5. 휘발성산(揮發性酸)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acrylic acid, iso-butyric acid, n-butyric acid, iso-valeric acid, n-valeric acid, n-caproic acid, iso-heptylicacid, n-heptylic acid 등(等) 11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증자시(蒸煮時)에 일부(一部) 휘발감소(揮發減少)를 보였으나 건조중(乾燥中)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를 보였다. 6.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pyruvic acid, glutaric acid 등(等) 6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은 건조중(乾燥中) 감소(減少)되어 홍삼구(紅蔘區)들이 함량(含量)이 적으나 succinic acid만은 증가(增加)하였다. 7. Polyphenol 류(類)로 3-caffeyl quinic acid, 4-caffeyl quinic acid, 5-caffeyl quinic acid의 3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polyphenol은 건조중(乾燥中)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으며 특(特)히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에서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다. 8. 홍삼(紅蔘)들의 갈색도(褐色度)는 갈변촉진구(褐變促進區)가 가장 짙고 다음이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이며 인삼건조구(人工乾燥區)가 가장 약(弱)한 갈색(褐色)이였다. 9.홍삼제조시(紅蔘製造時) 성분(成分)의 감소량(減少量)이 많은 것은 amino산(酸) 당류(糖類) 및 polyphenol이며 또 이들의 감소량(減少量)에 따라 홍삼(紅蔘)의 갈색(褐色)에 차(差)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은 주(主)로 amino-carbonyl반응(反應)카 polyphenol의 자동산화(自動酸化)에 의(依)한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임이 확실(確實)하며 따라서 이들 반응(反應)을 조정(調整)하면 단시간건조(短時間乾燥)하는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에도 자연건조시(自然乾燥時)와 같은 갈색도(褐色度)의 홍삼(紅蔘)을 만들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Effect of Tannin and Species Variation on In vitro Digestibility, Gas, and Methane Production of Tropical Browse Plants

  • Gemeda, Belete Shenkute;Hassen,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2호
    • /
    • pp.188-199
    • /
    • 2015
  • Nineteen tanniferous browse plants were collected from South Africa to investigate their digestibility, gas production (GP)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Fresh samples were collected, dried in forced oven, and ground and analyzed for nutrient composition. In vitro GP and in vitro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IVOMD) were determined using rumen fluid collected, strained and anaerobically prepared. A semi-automated system was used to measure GP by incubating the sample in a shaking incubator at $39^{\circ}C$. There was significant (p<0.05) variation in chemical composition of studied browses. Crude protein (CP) content of the species ranged from 86.9 to 305.0 g/kg dry matter (DM).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ranged from 292.8 to 517.5 g/kg DM while acid detergent fiber (ADF) ranged from 273.3 to 495.1 g/kg DM. The ash, ether extract, non-fibrous carbohydrate, neutral detergent insoluble nitrogen, and acid detergent insoluble nitrogen and CP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thane production. Methane produ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DF, AD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Tannin decreased GP, IVOMD, total volatile fatty acid and methane production. The observed low methanogenic potential and substantial ammonia generation of some of the browses might be potentially useful as rumen manipulating agents. However, a systematic evaluation is needed to determine optimum levels of supplementation in a mixed diet in order to attain a maximal depressing effect on enteric $CH_4$ production with a minimal detrimental effect on rumen fermentation of poor quality roughage based diet.

Influence of Dietary Salinomycin on Feeding-induced Variations of Glucose Kinetics and Blood Volatile Fatty Acids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Sheep Fed a High-roughage Diet

  • Fujita, Tadahisa;Itoh, Takahiro;Majima, Hiroya;Sano, Hiroa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65-37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salinomycin (SL) on feeding-induced changes in glucose kinetics and blood VFA concentrations in sheep fed a high-roughage diet. Four sheep were fed the diet with or without 20 mg/kg diet of SL once daily for 21 d. Glucose entry and utilization rates were determined during the prefeeding and 3 h postfeeding periods, using a [$^{13}C_6$]glucose dilution method and non-steady state equations. Ruminal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s of blood VFA, plasma glucose and insulin were also measured during the same periods. A feeding-induced increase in ruminal total VFA concentration tended to be inhibited (p<0.10) with SL, although ruminal pH was unaffected (p>0.10) with SL or by feeding. Salinomycin decreased (p<0.05) acetate proportion and increased (p<0.05) propionate proportion in the rumen, but did not modify these changes in response to feeding (p>0.10). A feeding-induced increase in blood acetate concentration was attenuated (p<0.05) with SL. Salinomycin tended to increase (p<0.10) blood propionate concentration without modifying its response patterns to feeding (p>0.10). Plasma concentrations of glucose or insulin were unaffected (p>0.10) with SL. Salinomycin tended to enhance (p<0.10) glucose entry and utilization rates. Feeding also enhanced (p<0.01) both rates, whereas their interactive effect was not detected (p>0.10). We conclude that SL possibly enhances whole body glucose entry and utilization with an increase in blood propionate concentration in sheep given a high-roughage diet, although SL does not appear to affect their responses to feeding.

김치발효에 미치는 온도 및 식염농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 민태익;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43-450
    • /
    • 1984
  • 온도와 식염농도를 달리하여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생화학적 및 미생물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김치의 적숙시기는 발효온도와 식염농도에 따라 달랐다. 김치발효는 저온, 고식염농도에서 보다, 고온 저식염 농도에서 더 빨리 진행되었고 김치의 비휘발성 유기산에 대한 휘발성 유기산의 비는 김치 적숙시기에 최대로 되었다가 김치가 시어지면서 감소되었다. 식염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 하여 숙성시킨 김치에서 Leu. mesenteroids, Lac. brevis, Lac. plantarum, Ped. cerevisiae, St. faecalis 및 산생성이 낮은 Lactobacilli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주 미생물은 Leu. mesenteroides이며, Lac. plantarum은 김치의 숙성보다는 산패와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 생균수는 발효초기에 급증하여 적숙기간에 최대로 되었다가, 그 이후 서서히 감소되었고, 호기성 세균과 사상균수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계속 감소하였고, 효모는 $10^{\circ}C$ 전후의 온도와 고 식염농도에서 그 수가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되었다.

  • PDF

Zinc Deficiency Elevates Fecal Protein, But Not Electrolyte and Short-Chain Fatty Acid, Levels in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Induced Diarrhea in Rats

  • David, Ebuka E.;Yameen, Muhammad A.;Igwenyi, Ikechuku O.;David, Chidinma N.;Nwobodo, Valentine;Ismail, Akindele K.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1호
    • /
    • pp.79-86
    • /
    • 2022
  • Purpose: To determine the effect of zinc deficiency on fecal protein, electrolyte, and short-chain fatty acid levels in both heat-stable (ST) and heat-labile (L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induced diarrhea in rats. Methods: Albino rats, weighing 100 to 150 g, were divided into 2 groups, with 15 animals each: non-zinc and zinc-deficient. These two groups were sub-divided into three sub-groups with five rats each: control (saline); LT-ETEC; and ST-ETEC. Sodium phytate (30 mmol/L) was added to the animals' water to induce zinc deficiency, while diarrhea was induced using 5×109 ETEC cells/mL. Fecal protein levels were estimated using the Bradford method, while sodium and potassium levels were determined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Short-chain fatty acids were measur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sults: Among the non-zinc and zinc-deficient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p=0.04), (p=0.03) in fecal protein concentrations (mg/mL) in the LT-ETEC- (4.50±0.33), (6.50±0.26) and ST-ETEC- (3.85±0.19), (5.98±0.32) induc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2.60±0.52), (3.50±0.11) respectively. Fecal sodium and potassium levels (mg/L) were significantly (p=0.029) increased in non-zinc-deficient rats induced with LT-ETEC (9.35±0.95, 1.05±0.48), and ST-ETEC (9.96±1.02, 1.21±0.4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8.07±0.44, 0.47±0.17) but the increa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9) in the zinc deficient rat groups. Fecal acetate and propionate levels (mg/g) significantly (p=0.032) increased when induced with LT-ETEC and ST-ETEC in non-zinc and zinc-deficient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Zinc deficiency among rats with ETEC-induced diarrhea elevated fecal protein loss but may not have an effect on fecal sodium, potassium and short-chain fatty acid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