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testing methods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6초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and Brain Metastases: a Malaysian Perspective

  • Tang, Weng Heng;Alip, Adlinda;Saad, Marniza;Phua, Vincent Chee Ee;Chandran, Hari;Tan, Yi Hang;Tan, Yan Yin;Kua, Voon Fong;Wahid, Mohamed Ibrahim;Tho, Lye M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901-1906
    • /
    • 2015
  • Background: Brain metastases occur in about 20-40% of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rcinoma (NSCLC), and are usually associated with a poor outcome. Whole brain radiotherapy (WBRT) is widely used but increasingly, more aggressive local treatments such as surgery or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or stereotactic radiotherapy (SRT) are being employed. In our study we aimed to describ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outcomes in NSCLC patients receiving local therapy for brain metastases. Materials and Methods: The case records of 125 patients with NSCLC and brain metastases consecutively treated with radiotherapy at two tertiary centres from January 2006 to June 2012 were analysed for patient, tumour and treatment-related prognostic factors. Patients receiving SRS/SRT were treated using Cyberknife. Variables were examined i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testing. Results: Overall median survival was 3.4 months (95%CI: 1.7-5.1). Median survival for patients with multiple metastases receiving WBRT was 1.5 months, 1-3 metastases receiving WBRT was 3.6 months and 1-3 metastases receiving surgery or SRS/SRT was 8.9 months. ECOG score (${\leq}2$ vs >2, p=0.001), presence of seizure (yes versus no, p=0.031), treatment modality according to number of brain metastases (1-3 metastases+surgery or $SRS/SRT{\pm}WBRT$ vs 1-3 metastases+WBRT only vs multiple metastases+WBRT only, p=0.007) and the use of post-therapy systemic treatment (yes versus no, p=0.001) emerged as significant on univariate analysis. All four factors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ECOG ${\leq}2$, presence of seizures, oligometastatic disease treated with aggressive local therapy (surgery or SRS/SRT) and the use of post-therapy systemic treatment are favourable prognostic factors in NSCLC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Mechanical Check용 Spherical Device의 제작 및 특성 평가 (Practicability Assessment of Spherical Type Mechanical Check Device (SMCD))

  • 이병구;김건오;권영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7
  • 목 적: PACS의 도입에 발맞추어 시작된 디지털 의료영상은 현재 방사선 진단 및 치료 영역에서 일반화되었으며 특히 진단 영역에서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치료영역에서의 디지털 영상 구현은 상대적으로 느린 성장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하는 흐름을 인식하여 정도관리(Quality Assurance) 업무 중 기계적 점검(Mechanical check) 부분을 디지털 영상 기반 업무로 대체하여 수행하고, 기존의 육면체 또는 사각형틀의 개념을 탈피한 구형(球形)의 Spherical type mechanical check device (SMCD)를 고안하여 그 실용성을 실험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선원에서 영상 detecter 간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고, SMCD의 중심까지 거리가 일정하다면 어느 방향에서 방사선으로 SMCD를 조사하더라도 그 크기는 항상 일정하게 영상으로 표현 될 것이다. 이를 위해 Polyester P.E 재질의 정확한 반구(半球) 2개를 자체 제작하여 그것을 합쳤을 때 정원(正圓)의 구(球)가 되도록 하였다. 결 과: SMCD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면과 광조사면의 일치도, 방사선조사면 크기의 정확도($5{\times}5$, $10{\times}10$, $15{\times}15cm^2$), Collimator field 크기의 정확도($5{\times}5$, $10{\times}10$, $15{\times}15cm^2$), Gantry rotation isocenter check, Collimator rotation isocenter check, Room laser accuracy check, Collimator rotation angle check와 Couch rotation angle check 등 기존의 기계적 점검을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었다. 결 론: 기존의 Flat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기계적 점검 장치로는 쉽게 하기 힘든 non-coplanar field에 적용되는 Gantry와 Couch가 동시에 rotation 되었을 때 그 isocenter의 일치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requency of EGFR Mutation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Screening Data from West Siberia

  • Gervas, Polina;Ivanova, Anna;Vasiliev, Nikolay;Ananina, Olga;Zharkova, Olga;Rogovieva, Olga;Verzhbitskaya, Natalia;Didichuk, Ivan;Cheremisina, Olga;Popova, Natalia;Goldberg, Victor;Cherdyntsev, Evgeny;Choynzonov, Evgeny;Cherdyntseva, Nadezd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689-692
    • /
    • 2015
  • Background: Incorporation of molecular analysi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gene into routine clinical practice has shown great promise to provide personalized therapy of th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n the developed world. However, the genetic testing of EGFR mutations has not yet become routine clinical practice in territories remote from the central regions of Russia. Therefore, we aimed to study the frequency of major types of activating mutations of the EGFR gene in NSCLC patients residing in West Siberia.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EGFR mutations in exons 19 and 21 in 147 NSCLC patients (excluding squamous cell lung carcinomas)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EGFR mutations were detected in 28 of the 147 (19%) patients. There were 19 (13%) cases with mutations in exon 19 and 9 cases (6%) in exon 21. Mutation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women (42%, p=0.000) than in men (1%).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EGFR mutations was observed in bronchioloalveolar carcinomas (28%, p=0.019) and in adenocarcinomas (21%, p=0.024) than in large cell carcinomas, mixed adenocarcinomas, and NOS (4%). The EGFR mutation rate was much higher in never-smokers than in smokers: 38% vs. 3% (p=0.000). The frequency of EGFR mutations in the Kemerovo and Tomsk regions was 19%. Conclusions: The incorporation of molecular analysis of the EGFR gene into routine clinical practice will allow clinicians to provide personalised therapy,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survival rates and improvement in life quality of advanced NSCLC patients.

Mutations in GJB2 as Major Causes of Autosomal Recessive Non-Syndromic Hearing Loss: First Report of c.299-300delAT Mutation in Kurdish Population of Iran

  • Azadegan-Dehkordi, Fatemeh;Bahrami, Tayyebe;Shirzad, Maryam;Karbasi, Gelareh;Yazdanpanahi, Nasrin;Farrokhi, Effat;Koohiyan, Mahbobeh;Tabatabaiefar, Mohammad Amin;Hashemzadeh-Chaleshtori, Morteza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1호
    • /
    • pp.20-26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Autosomal recessive non-syndromic hearing loss (ARNSHL) with genetic origin is common (1/2000 births). ARNSHL can be associated with mutations in gap junction protein beta 2 (GJB2). To this end, this cohort investigation aimed to find the contribution of GJB2 gene mutations with th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45 ARNSHL cases in the Kurdish population. Subjects and Methods: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a total of 45 ARNSHL families. The linkage analysis with 3 short tandem repeat markers linked to GJB2 was performed on 45 ARNSHL families. Only 9 of these families were linked to the DFNB1 locus. All the 45 families who took part were sequenced for confirmation linkage analysis (to perform a large project). Results: A total of three different mutations were determined. Two of which [c.35delG and c.-23+1G>A (IVS1+1G>A)] were previously reported but (c.299-300delAT) mutation was novel in the Kurdish population. The homozygous pathogenic mutations of GJB2 gene was observed in nine out of the 45 families (20%), also heterozygous genotype (c.35delG/N)+(c.-23+1G>A/c.-23+1G>A) were observed in 4/45 families (8.8%). The degree of hearing loss (HL) in patients with other mutations was less severe than patients with c.35delG homozygous mutation (p<0.001).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GJB2 mutations constitute 20% of the etiology of ARNSHL in Iran; moreover, the c.35delG mutation is the most common HL cause in the Kurdish population. Therefore, these mut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molecular testing of HL in this population.

Mutations in GJB2 as Major Causes of Autosomal Recessive Non-Syndromic Hearing Loss: First Report of c.299-300delAT Mutation in Kurdish Population of Iran

  • Azadegan-Dehkordi, Fatemeh;Bahrami, Tayyebe;Shirzad, Maryam;Karbasi, Gelareh;Yazdanpanahi, Nasrin;Farrokhi, Effat;Koohiyan, Mahbobeh;Tabatabaiefar, Mohammad Amin;Hashemzadeh-Chaleshtori, Morteza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26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Autosomal recessive non-syndromic hearing loss (ARNSHL) with genetic origin is common (1/2000 births). ARNSHL can be associated with mutations in gap junction protein beta 2 (GJB2). To this end, this cohort investigation aimed to find the contribution of GJB2 gene mutations with th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45 ARNSHL cases in the Kurdish population. Subjects and Methods: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a total of 45 ARNSHL families. The linkage analysis with 3 short tandem repeat markers linked to GJB2 was performed on 45 ARNSHL families. Only 9 of these families were linked to the DFNB1 locus. All the 45 families who took part were sequenced for confirmation linkage analysis (to perform a large project). Results: A total of three different mutations were determined. Two of which [c.35delG and c.-23+1G>A (IVS1+1G>A)] were previously reported but (c.299-300delAT) mutation was novel in the Kurdish population. The homozygous pathogenic mutations of GJB2 gene was observed in nine out of the 45 families (20%), also heterozygous genotype (c.35delG/N)+(c.-23+1G>A/c.-23+1G>A) were observed in 4/45 families (8.8%). The degree of hearing loss (HL) in patients with other mutations was less severe than patients with c.35delG homozygous mutation (p<0.001).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GJB2 mutations constitute 20% of the etiology of ARNSHL in Iran; moreover, the c.35delG mutation is the most common HL cause in the Kurdish population. Therefore, these mut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molecular testing of HL in this population.

과실의 비파괴 당도 예측 모델의 성능향상을 위한 투과스펙트럼의 전처리 (Preprocessing of Transmitted Spectrum Data for Development of a Robust Non-destructive Sugar Prediction Model of Intact Fruits)

  • 노상하;류동수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1-368
    • /
    • 2002
  • 본 연구는 초당 2개의 속도로 이송되는 사과를 대상으로 측정된 투과 에너지 스팩트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과의 당도예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각종 전처리가 당도 예측 모델의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신뢰성이 높은 당도 예측 회귀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스펙트럼의 산란 보정, 노이즈 감소 등을 위해 1차미분, MSC, SNV, OSC 및 이들 조합으로 구성된 전처리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하고, 이들 전처리를 스펙트럼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특히 MSC SNV에 의해 각 파장에서의 투과에너지와 당도와의 상관관계가 전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각종 전처리를 수행한 후 당도 예측 회귀 모델을 개발하고, 검정한 결과, 전처리 방법에 따라 예측모델의 SEP가 최대 1.265%brix 에서 최소 0.507%brix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SEP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어진 스펙트럼 데이터의 특성에 알맞는 전처리 방법이 개발 또는 선택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MSC 와 SNV는 예측 정밀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OSC는 PLS의 factor 수와 관계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차미분은 오히려 모델의 예측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투과스펙트럼에 상대적으로 노이즈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이들 성분이 미분에 의해 강조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스펙트럼 데이터의 경우 MSC와 OSC 전처리를 수행한 당도예측모델이 $R^2=0.8823$, SEP=0.5071%brix, bias=0.0327로 가장 우수하였다.

한국판 청소년용 식이 태도 검사(EAT-26KA)의 신뢰도 조사 (RELIABILITY TESTING OF 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 최준호;남정현;조연규;최보율;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91-97
    • /
    • 1998
  • 저자들이 번안한 한국판 청소년용 식이태도 검사(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EAT-26KA)의 신뢰도 조사와 요인분석을 통한 개개의 문항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의 1개 중 고등학교 학생 1,160명을 대상으로 하여 방문 조사 2주전 양호교사와 담임교사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1996년 6월 저자들이 직접 현장 방문을 하여 신체계측과 누락된 문항을 보강하는 검사를 하고 1개월후 이중 114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재검사를 시행하였다. 평가도구인 EAT-26KA는 영문판 EAT-26의 전 문항을 사용하였고 저자들이 대상연령의 지적 능력에 맞는 어휘를 사용하여 번역하였다. 내적 일관성 혹은 내적 합치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Cronbach’s ${\alpha} =.83)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서구의 조사결과에 비해선 약간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고(r=.63 p<.01) 문항간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선 두 개의 문항이 부적 상관(negative correlation)을 보였고 다섯 문항에서 문항간 상관이 낮게 나타났다(p>.05). 세 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세 요인은 전체요인의 34.0%를 설명하였고 한 문항은 어느 요인으로도 분류되지 않았다. 각 요인으로 분류되는 문항구성도 영문판에 비해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저자들이 번안한 EAT-26KA는 일반 청소년 인구(non-refered population)을 통한 신뢰도 검사 결과 우수한 내적 신뢰도를 갖추고 있고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여 조사도구로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의 결과 어느 요인에도 속하지 않는 문항이 있었고 이 문항의 수정 또는 누락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영문판 EAT-26과 비교해볼 때, EAT-26KA의 요인구조는 상이하게 나타나 실제검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의 해석은 서구의 경우와 차이가 있을 것이 예상되었고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타당도의 확립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Clinical Experiences of Molecular Genetic Evaluation of Achondroplasia in Prenatal and Neonatal Cases

  • Kwak, Dong Wook;Kim, Hyun Jin;Park, So Yeon;Ahn, Hyun Suk;Chae, Yong Hwa;Kim, Moon Young;Lee, Young Ho;Ryu, Hyun 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0권1호
    • /
    • pp.38-4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achondroplasia (ACH) diagnosed in fetuses or neonates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 molecular genetic testing to confirm ACH.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and ultrasonographic records of 16 pregnant women, who had molecular genetic testing for ACH performed on their fetus or neonate at the Cheil General Hospital between February 1999 and April 2013,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Detection of G1138A and G1138C mutations of the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3 (FGFR3) gene was accomplish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Results: Of the eight fetuses and two neonate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ACH during pregnancy, four fetuses and one neonate was confirmed to have ACH and they all carried the heterozygous G1138A mutation. Out of 6 cases which had a history of ACH in prior pregnancies, three had genetic information for the previous fetuses while the other three did not. All six fetuses had no mutations at G380R. However, the one fetus of pregnant woman with non-confirmed ACH showed shortened long bone on ultrasound thereafter and the fetus was identified as having oto-spondylo-megaepiphyseal dysplasia after birth. Conclusion: Korean patients with achondroplasia have the heterozygous G1138A mutation that is most commonly defined in other countries. Molecular genetic evaluations of ACH are helpful not only for establishing diagnosis but for appropriate counseling with subsequent pregnancies.

직접 부착법과 간접 부착법이 열순환 후 부착강도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bonding techniques on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after thermocycling)

  • Ozturk, Firat;Babacan, Hasan;Nalcaci, Ruhi;Kustarci, Alpe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93-401
    • /
    • 2009
  • 본 연구는 직접 또는 간접 부착법으로 부착한 교정용 브라켓을 열순환 처리 후에 전단 결합 강도(shear bond strength, SBS)와 치아-접착제-브라켓 복합체의 미세 누출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50개의 치아우식증이 없는 사람 소구치를 구하여 동등한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직접 부착군에서는 광중합 접착제 및 primer (Transbond XT)를 사용하였고 간접 부착군에서는 광중합 접착제와(Transbond XT) 화학중합 primer (Sondhi Rapid Set)를 사용하였다. 중합 후에 치아는 24시간 동안 증류수에 보관하였고 이후 500회 열순환 처리를 하였다. 미세누출의 평가를 위해 각 군에서 10개의 치아에 nail varnish로 추가 봉연을 실시하고 0.5% basic fuchsin에 24시간 동안 염색한 후 입체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각 군의 치아 15개로 SBS를 계측하였고 adhesive remnant index (ARI)를 평가하였다. 결과 자료는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직접 부착군과 간접 부착군 사이에 SBS 및 미세누출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간접 부착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ARI 점수가 낮았다. 브라켓의 탈락은 법랑질-레진 계면에서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부착법의 차이는 미세누출의 양과 SB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전혈과 혈청에서의 칼륨 이상소견 검사의 차이 (Detecting Potassium Imbalance: Whole Blood vs. Serum)

  • 조영덕;최성혁;윤영훈;박상민;김정윤;임채승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2-168
    • /
    • 2012
  • 배경: 세포 내 공간에서 가장 흔한 양이온은 칼륨이며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륨 불균형 발생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그 문제들은 전신 쇠약부터 심실 세동에 의한 심장마비까지 있다. 따라서 응급의학과 의사가 짧은 시간 내에 그런 문제를 찾아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전혈과 혈청의 샘플들을 서로 짝을 지어 비교 분석하여 전혈의 결과가 혈청의 결과만큼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방법: 227명의 환자에게서 두 종류의 샘플을 채취하여 비교했다. 하나의 샘플은 요골동맥에서 채취한 전혈을 헤파린 처리된 주사기에 담아 검사했으며 다른 하나는 혈청 샘플을 담아 검사실에서 검사했다. 그 후 샘플들을 정상, 저 칼륨, 고 칼륨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에서 혈청과 전혈의 샘플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혈청과 전혈의 칼륨 수치들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큰 의미를 보이지는 않았으며(P<0.05) 세 그룹 내에서의 칼륨 수치들간의 연관성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세 그룹 중 고 칼륨 그룹에서 전혈과 혈청의 칼륨 수치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저 칼륨 그룹에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전혈을 이용한 응급 검사가 칼륨 이상 소견, 특히 고칼륨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진단에 선별검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