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polite for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Self-Representation and Korean Honorific Shifts

  • Oh, Kyung-Ae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8권1호
    • /
    • pp.53-75
    • /
    • 2014
  • This study discovers the dynamic nature of an interactional hierarchy as well as an institutional hierarchy in the use of Korean honorific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onversations of two Korean female interlocutors. The interlocutors met for the first time in the U.S. and often changed their use of honorifics. The paper examines the method in which the two interlocutors negotiate hierarchies during interaction and how the negotiation is reflected in their use of honorific shifts. The paper also investigates honorific shifts in terms of self-representation to suggest that there is another hierarchy at work other than the institutional hierarchy. An examination of the data shows that the shifts occurred not randomly but strategically. The findings suggest that 1) interlocutors may negotiate interactional hierarchy during their conversation, often in the same sentence, 2) interactional hierarchy often cross the boundary of the institutional hierarchy to obtain interactional goals, in this case, intimacy, and 3) the utterance content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interlocutors' honorific shifts.

  • PDF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손 전략: 친근감 여부에 따른 공손을 중심으로 (Politeness Strategy in German Communication: Focusing on Politeness according to Familiarity)

  • 문윤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35-644
    • /
    • 2020
  • 이 논문은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공손의 유형과 기능을 토대로 공손 전략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공손'이란 단어는 독일어에서 문법 용어가 아니지만, 문법서 여러 곳에서 눈에 띈다. 공손의 기준은 언어체계의 규칙에 따라 구성될 뿐만 아니라 언어 외적 요소들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경계가 모호하다. 공손은 사회적 가치 못지않은 중요한 전략적 요소이기도 하다. 공손한 표현은 우선 대화 당사자 간의 친근감 여부에 따른 호칭 형태, 동사의 화법, 그리고 양상 불변화사를 통하여 나타난다. 화법동사는 청자에게 직접적인 요구를 강요하지 않음으로써 심리적 부담을 주지 않는 공손 표현으로 분류된다. 친근감을 수반하는 양상 불변화사도 체면위협행위를 약화키거나 회피함으로써 청자의 발화를 제한하는 적극적 공손 전략의 하나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손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