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othernes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현대 미인에 나타난 노자적 미학의 표현양상: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Contemporary Beauty Expres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Lao-tzu's Philosophy: Focusing on Cosmetics Advertisement)

  • 이수인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5호
    • /
    • pp.15-24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expressing contemporary beauty from the perspective of Laotzu's philosophy in order to suggest i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specific cases through cosmetics advertisement. In doing so, th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at contemporary beauty is more humanistic and liberal in terms of expression patterns than in any other time peri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below. The frame concept of Laotzu's philosophy includes 1. Naturalness, 2. coexistence in Conflict, and 3. Non-othernes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beauty are natural and healthy, People can foresee changing beauty by the cycle of life and, by admitting this philosophy, people can understand one's individuality and discover self-esteemed beauty. Also, the results from the cases of cosmetics advertisement are as below: 1. Naturalness was remarkable. Such phenomenon was common in representative brands of the research subjects. Expression pattern was based on soft, natural make-up and hair style. 2. For conflict and coexistence, they introduced the ancient image of the situation, and the situational image using food and herbs demonstrated a functional, situational image, which was used for the cosmetics advertisement based on the mutual coexistence concept instead of dichotomy of period or material. 3. Non-otherness advertisement, of which there was none, we expected that maximized marketing effect would be achieved if non-otherness cosmetics advertisement expressed the contemporary beauty because it could solicit sympathy form many consumers.

타자성의 담론으로 본 F.O.A 건축 공간생성 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nciple of F.O.A Construction Space Creation Viewed from the Discussion of Otherness)

  • 이지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86-9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otherness philosophy reveals itself in the principle of F.O.A construction space creation.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totality is self-centered and thoughts are based on the subject. It couldn't escape from the world associated with the self, and has subordinated the other to the main body. But the philosophy of otherness transcends the subject, to the open, creative way of thinking which acknowledges deconstruction, decentralization, and non-hierarchy. This is very similar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pursuits change, and also to the current state of society. In construction by the construction group F.O.A, which is doing notable activity this generation, there is an attempt to transcend the fixed subject which is seen in the otherness discussion, and realize recategorization by overcoming the boundaries of subject and object. First, by the realiz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using a topographical folding technique, boundaries of the subject and object are demolish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recategorization. Second, by breaking up the meaning of the surface which is a visual and physical boundary for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recategorization is being done. Third, by making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indistinct, cognitive threshold is dissolv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is being recategorization. In conclusion, we can see that the many recategorization phenomenons that are happening in the F.O.A construction show the otherness that escapes from the conventional and stationary relationship, and recognizes each other at the same time, forming new relationships.

How Well Do We Understand Autistic Savant Artists: A Review of Various Hypotheses and Research Findings to Date

  • Seungwon Chung;Jung-Woo S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2호
    • /
    • pp.93-111
    • /
    • 2023
  •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utistic savant artists, hypotheses on the proximate and ultimate causes of their emergence, recent psychological and other studies about them, and psychological and neuroaesthetic studies about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The artistic features of autistic savant artists were significantly similar to those of outsider artists. Furthermor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aradoxical functional facilitation theory, the superior visual perception hypothesis, the "Hmmmmm" hypothesis, and the Neanderthal theory of autism regarding the emergence of autistic savant artist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an increase in savant characteristics was related to a decrease in the ability for social communication. The authors suggested that in studie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their aesthetic experience ability is never lower than that of neurotypical individuals and that some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may potentially have artistic talent. Finally, the authors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the "autism savant spectrum syndromic disorder" proposed by some researchers.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studies on autistic savant artists from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are warranted.

영화 <버닝>과 윤리적 주체 (Burning and The Ethical Subject)

  • 곽한주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4호
    • /
    • pp.117-144
    • /
    • 2020
  • 영화 <버닝>(이창동, 2018)은 정교한 서사를 섬세한 영상으로 담아낸 작품으로서 근래 가장 주목받은 한국영화 중 한 편이다. 이 영화는 서로 다른 유형의 인물들이 등장하고 단편적으로 제시되는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욕망이 뒤얽히는 다성성의 텍스트여서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텍스트이다. 이 글은 이 영화가 현대 한국 청년의 현실이라는 특정한 사회역사적 조건을 넘어서는 보편적이면서도 중대한 윤리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점에 주목해 <버닝>을 주인공 종수를 중심으로 하는 윤리적 담론으로 읽으려 한다. 종수가 처하는 상황과 이에 대한 그의 반응을 무엇보다도 종수의 윤리적 각성과 도약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종수는 현재를 사는 대한민국 비정규직 젊은 남성이라고 요약될 수 있는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서 해미와 벤을 만나고 관계 맺으며 세상의 미스터리를 접하고 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영화가 촘촘히 보여주는 그의 궤적은 문예창작학과 출신 흙수저 청년의 혼란과 좌절이라는 사회역사적인 차원과 가족해체의 현실과 연인의 갑작스런 실종이라는 개인 심리적 차원이 필연적으로 교차한다. <버닝>은 종수가 비우호적인 조건, 즉 프레카리아트 청년의 처지, 현실 인식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직면하고 미스터리를 탐구하면서 '함께 삶'을 지향하는 윤리적 주체로 우뚝 서는 과정을 그린 감동적인 스토리로 읽힌다. 이 과정은 종수의 고통스런 성장담으로서 무기력했던 비정규직 배달노동자였던 종수가 '작가'가 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버닝>은 자신에게 비우호적인 현실 속에서 혼란스러워 하고 무기력했던 청년이 타자들과의 만남을 겪은 뒤 나름대로 타자들과 세상을 파악하며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실천하는 윤리적 주체로 일어서는 과정을 그리며, 윤리적 사유를 자극하는 텍스트이다.

존재하지만 존재 않는 타자들의 공간 영화 <죽여주는 여자>의 담론 공간을 중심으로 (Existent, but Non-existent Spaces for Others Focusing on Discourse-spaces of a Korean Movie (2016))

  • 장은미;한희정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4권
    • /
    • pp.99-123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영화 <죽여주는 여자>가 구성하는 공간을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젠더, 계급, 연령, 국가, 섹슈얼리티, 민족, 직업의 정치학이 상호 교차하면서 다음과 같은 공간을 구성하였다. 첫째, 나이 듦과 죽음이 교차하는 공간이다. 요양 병원, 달동네 쪽방촌, 북한산 바위, 호텔, 교도소 등을 통해 구성되는 이 공간은 죽음에 대한 역설과 모순을 불러일으키면서 죽음에 작동하는 가부장적 시선에 이의를 제기한다. 둘째, 밥벌이로서의 성매매 노동 공간으로 싸구려 여관과 녹음 짙은 야외 공원으로 대비되는 장소들이다. 낡은 여관방은 가부장적 성규범 사회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성매매 여성' 소영이 늙은 몸이 되면서 비체화되고 타자화되는 순간을 드러낸다. 셋째, 끊임없이 소환되는 모성 공간은 자식을 버린 죄책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소영의 일상을 통해 구성된다. 민호에 대한 과한 돌봄과 남성노인들에 대한 과도한 연민은 모성 결핍과 연결되면서, 모성 집착의 서사는 영화 내 다른 시선들과 충돌한다. 넷째, '다문화 소수자 유사가족 공간'은 이태원을 중심으로 경계 바깥의 구성원들이 모여 사는 공간이다. 이곳은 이성애 기반의 혈연 중심 '정상 가족'의 동질성에 균열을 내고 정상성 바깥의 섹슈얼리티를 가시화시키는 이질적 공간이다. 다섯째, 하위주체로서의 소영의 말하기 공간이다. 하위주체인 소영의 영화적 재현이 '말 걸기'라면 영화 텍스트 내에서 소영은 '말하기'의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응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