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 coincidenc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8초

삼각 섬유성 연골(TFCC) 손상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Fat Suppressed 3D FSPGR T1 강조 기법에 대한 Fat Suppressed Isotropic 3D FSE T1 강조 기법의 비교 분석 및 유용성에 관한 평가 (The Comparative Analysis Study and Usability Assessment of Fat Suppressed 3D FSPGR T1 Technique and Fat Suppressed Isotropic 3D FSE T1 Technique when Examining MRI of Patient with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FCC) Tear)

  • 강성진;조용근;이성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5-114
    • /
    • 2016
  • 삼각 섬유성 연골(TFCC) 손상 환자의 평가를 위하여 fat suppressed 3D fast spoiled gradient recalled T1 기법과 fat suppressed Isotropic 3D fast spin echo T1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정량적 평가를 위해 각각의 영상에서 signal to noise ratio 및 contrast to noise ratio 값을 측정하고, Mann-Whitney U 검정으로 두 기법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정성적 평가를 위해 영상의학의 2명이 각각의 영상을 관찰하여, TFCC의 형태, 영상 내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의 3가지 항목을 선정한 후 이를 4점 척도(0: 진단 불가, 1: 부족함, 2: 충분함, 3: 좋음)로 평가하였고, Kappa-value 검정을 이용하여 두 관찰자 간의 일치도 검증을 하였다. 영상획득에는 3.0 Tesla MR 장비와 8-channel RF coil을 사용하였다. 정량적 평가 결과, 모든 영상 단면에서 signal to noise ratio 및 contrast to noise ratio 값이 Isotropic 3D fast spin echo T1 기법이 높게 나타났으며,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한 두 영상기법 간의 검증도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 < 0.05). 정성적 평가 결과, 관찰자 1, 2 모두에서 Isotropic 3D fast spin echo T1 기법의 평가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Kappa-value 검증을 이용한 두 관찰자 간 평가 결과의 일치도 검증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적으로 TFCC 손상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fat suppressed Isotropic 3D fast spin echo T1 기법의 적용은 TFCC 병변의 감별에 보다 유용한 진단적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퇴계(退溪) 사칠리기호발론(四七理氣互發論)의 연원(淵源)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 홍치(洪治)의 『심학장구집주대전(學章句集註大全)』과 관련하여 - (A Study on the Origin of Toigye's SaChilRiGiHoBalRon (四七理氣互發論) - Focusing on Hong Chi's SimHakJangGuJipJuDaeJeon (心學章句集註大全))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37호
    • /
    • pp.7-45
    • /
    • 2013
  • 이 글은 퇴계의 사단칠정 리기호발론(四端七情理氣互發論)의 연원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퇴계의 호발론에 미친 선학(先學)들의 영향을 살폈다. 이 과정에서 필자가 근년에 입수한 "심학장구집주대전(心學章句集註大全)"을 주요 자료로 소개하였다. 이 책은 퇴계보다 60년 앞서 태어난 초야(草野)의 이름 없는 선비가 저술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사단리발이기수지(四端理發而氣隨之) 칠정기발이리승지(七情氣發而理乘之)"라고 하여 퇴계와 같은 틀을 선보이고 있다. 이처럼 일치된 논리가 나온 데 대하여 필자는 우연의 일치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위의 책 또는 거기에 실린 호발론이 퇴계에게 전해졌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어 그 전승 경로를 추론하였다. 또 우연의 일치임을 전제하더라도, 퇴계 이전에 리기호발론이 나올 수 있는 학문적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었다는 점을 논술하였다. 이밖에도 위의 책이 여러 가지 면에서 퇴계 성리학의 선구적 위치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몬테칼로 전산모사를 이용한 Phoswich 계측기의 비선형성 연구 (A Study on Non-proportionality of Phoswich Detector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 김재천;김종경;김순영;김용균;이우교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63-268
    • /
    • 2004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감마선과 전자를 동시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Prototype phowich를 이용하여 감마선에 대한 섬광체의 비선형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작된 Prototype phoswich는 $2'{\times}2'$ CsI(Tl)와 Plastic scintillator 그리고 하나의 PMT로 구성되어 있다. 몬테칼로 방법을 이용하여 $^{137}Cs$$^{60}Co$ 선원의 Prototype phoswich 계측기의 반응함수(Detector Response Function, 이하 DRF)를 구하였으며 이를 점증하기 위하여 제작된 Prototype phoswich를 이용, 실험을 통하여 DRF를 구한 뒤 비교하였다. 계측기의 DRF를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하여 CsI(Tl) 섬광체의 Electron response와 섬광체 내에서의 광전효과를 고려하는 Simplified elec윤on cascade sequence 정보를 이용하여 CsI(Tl) 섬광체의 감마선에 대한 비선형성을 계산하였다. $^{137}Cs$ 선원의 경우 전산모사를 통하여 구한 DRF 결과는 실험값과 비교적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나 $^{60}Co$의 경우에는 선원의 결과와는 달리 전산모사 결과와 실험값에 약간의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37}Cs$ 선원과는 달리 $^{90}Co$은 1.17 MeV와 1.13 MeV 두 개의 광자를 동시에 방출하기 때문에 동시효과에 의한 불착실성 등이 그 외 다른 불확실성 등과 함께 증폭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Phoswich내 CsI(Tl)의 감마선 비선형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비선형성이 고려된 개선된 Phoswich DRF를 생산하고 이를 실험값과 비교 검증할 수 있었다. 섬광체의 Electron channel운g effect, Doppler broadening effect 및 Transfer resolution 등과 같은 후속연구가 추가된다면 좀더 정확한 Phoswich의 DRF를 전산 모사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상악동 병변의 인지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의 유용성 (Usefulness of Panoramic Radiography in the Detection of Maxillary Sinus Pathosis)

  • 이은숙;박창서
    • 치과방사선
    • /
    • 제29권1호
    • /
    • pp.223-239
    • /
    • 1999
  •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panoramic radiography, generally used in dental clinic, for the detection of the maxillary sinus pathosis due to the inflammation and tumor, through the comparison with CT findings as the absolute standard. Materials & Methods: 150 maxillary sinuses of 75 patients with or without particular signs and symptoms and showing soft tissue lesions or destruction of maxillary sinus walls in at least one sinus in CT, were selected as subject samples, and the panoramic radiography of the same patients were interpretated by 3 dental radiologists and 3 non dental radiologist given no previous informations. Using the CT findings as the absolute standard, the diagnostic ability of panoraimc radiography in the mucosal thickening, maxillary sinus haziness, inferior wall destruction, medial wall destruction, posterolateral wall destruction and the superior wall destru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ROC curve and the difference between dental radiologist group and non dental radiologist group was also evaluated. Results: 1. When dental radiologist group interpretated the destruction of inferior wall and posterolateral wall, the kappa value which shows interobserver's coincidence was above 0.75. 2. The diagnostic ability according to site of interpretation was the highest when the inferior wall was interpretated in both observer group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ntal radiologist group and non dental radiologist group in interpretating the mucosal thickening, haziness, destruction of the inferior and medial wall(p<0.05). 3. The diagnostic ability in detecting the destruction of the sinus walls was better than in soft tissue lesions in both groups and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Conclusion: When detecting the destruction of inferior and posterolater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there was coincident with that of CT findings, and so it is considered that diagnostic ability of panoramic radiography is high in this point. But in interpretating the destruction of medial wall and soft tissue lesions, diagnostic ability of the panoramic radiography was relatively low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ntal radiologist group and non dental radiologist group. Therefore CT or other auxiliary diagnostic method will be necessary when evaluating thorough pathosis of maxillary sinus objectively.

  • PDF

Mechanical Check용 Spherical Device의 제작 및 특성 평가 (Practicability Assessment of Spherical Type Mechanical Check Device (SMCD))

  • 이병구;김건오;권영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7
  • 목 적: PACS의 도입에 발맞추어 시작된 디지털 의료영상은 현재 방사선 진단 및 치료 영역에서 일반화되었으며 특히 진단 영역에서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치료영역에서의 디지털 영상 구현은 상대적으로 느린 성장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하는 흐름을 인식하여 정도관리(Quality Assurance) 업무 중 기계적 점검(Mechanical check) 부분을 디지털 영상 기반 업무로 대체하여 수행하고, 기존의 육면체 또는 사각형틀의 개념을 탈피한 구형(球形)의 Spherical type mechanical check device (SMCD)를 고안하여 그 실용성을 실험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선원에서 영상 detecter 간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고, SMCD의 중심까지 거리가 일정하다면 어느 방향에서 방사선으로 SMCD를 조사하더라도 그 크기는 항상 일정하게 영상으로 표현 될 것이다. 이를 위해 Polyester P.E 재질의 정확한 반구(半球) 2개를 자체 제작하여 그것을 합쳤을 때 정원(正圓)의 구(球)가 되도록 하였다. 결 과: SMCD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면과 광조사면의 일치도, 방사선조사면 크기의 정확도($5{\times}5$, $10{\times}10$, $15{\times}15cm^2$), Collimator field 크기의 정확도($5{\times}5$, $10{\times}10$, $15{\times}15cm^2$), Gantry rotation isocenter check, Collimator rotation isocenter check, Room laser accuracy check, Collimator rotation angle check와 Couch rotation angle check 등 기존의 기계적 점검을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었다. 결 론: 기존의 Flat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기계적 점검 장치로는 쉽게 하기 힘든 non-coplanar field에 적용되는 Gantry와 Couch가 동시에 rotation 되었을 때 그 isocenter의 일치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우리나라 지적측량 정확도의 현황과 특성 (A Study on Pres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adastral Surveying Accuracy in Korea)

  • 윤하수;최윤수;손종영;김재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27-35
    • /
    • 2011
  • 현재의 지적측량은 100년 전에 작성된 지적도를 현지 확인을 거치지 않고 전산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해지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경계복원이 어렵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과 지상경계표지의 부재로 인하여 토지소유자간 분쟁, 지적불부합지 발생 등의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지적측량을 위하여 정확도와 오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의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규정된 정확도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의 지적측량 규정을 다른 측량 규정과 비교 분석하여 지적측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지적측량의 정확도와 오차에 관한 명확한 정의와 영구적인 지상경계점의 설치가 필요하며, 통일되고 일관적인 기준점 사용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토지소유자 중심의 정확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지적 측량 작업규정의 절차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마부위 자가 지방이식 후 발생한 동정맥 샛길 치험례 (Arteriovenous Fistula on Forehead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A Case Report)

  • 허정우;오득영;윤석호;서제원;이종원;안상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89-492
    • /
    • 2009
  • Purpose: Autologous fat injection is ideal for patients who wish to add contour, projection and gross volumization of the aging, atrophic face and is claimed to be a safe procedure. However, there are several case reports in the literature where patients have suffered from acute visual loss and cerebral infarction after facial fat injection. This paper will explore a rare case of vessel related complication, an arteriovenous fistula that occurs after fat injection on forehead. Method: A 28 - year - old female who showed a non - tender, soft $1.0{\times}2.5cm$ sized mass on forehead for 3 weeks. A thrill could be detected on the totuous dilatated vessel - like structure around the mass. She had a fat injection on forehead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3 months prior to developing the mass. 3 - dimensional brain CT angiography showed arteriovenous fistula. Results: The fistula is totally excised with ligation of feeding vessels. Pathology report showed an atypical vessel which had intimal thickening, myxoid degeneration and thrombus formation. There were no evidences of recurrence at least for 2 months of follow - up. Conclusion: An occurrence of arteriovenous fistula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is very rare. After perforation of artery and vein by coincidence, blood extravasates with the formation of a hematoma capsule and a pseudocapsule around it. The hematoma capsule would expand and clot would reabsorb resulting in a cavity leading to fistula formation. Other vessel related complications like acute visual loss or cerebral infarction are very severe. Therefore, surgeons should be cautious during facial fat injection to avoid vessel injuries.

양전자소멸 수명시간 측정을 통한 폴리머소재의 자유부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ree Volume in Polymer by Positron Annihilation Lifetime Spectroscopy (PALS))

  • 김용민;신중기;권준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489-493
    • /
    • 2012
  • 양전자소멸법은 양전자와 전자가 만나 소멸하면서 발생하는 광자로부터 물질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실험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머인 CR, EPDM, NBR에 대하여 양전자소멸법을 통해 양전자 소멸시간을 측정하였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Na-22 선원을 이용한 양전자소멸시간측정장치를 통해 양전자소멸시간의 세가지 수명과 세기를 측정하였다. 이중 세 번째 수명성분은 폴리머의 자유부피와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Tao-Eldrup 모델을 이용하여 3가지 폴리머에 대한 자유부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CR, EPDM, NBR의 자유부피와 상대비율은 각각 $0.1217nm^3$(1.910%), $0.1478nm^3$(5.315%), $0.1216nm^3$(2.638%)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양전자소멸법의 폴리머에 대한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비파괴적으로 폴리머의 특성변화를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화명나방 유충의 식이선호성에 있어서 수도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in Feeding Preference of the Striped Rice Borer Larvae (Chilo suppressalis W.))

  • 최승윤;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3-56
    • /
    • 1976
  • 이화병나방 유충의 식이선택성에 있어서 수도품종간 차이를 시험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종에 따라 유충의 식이선택성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도의 생육기에 따라 식이선택성에 변화가 있었는데 생육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높아지는 것(Rexoro, Suweon 240, Suweon 213-1, Yushin 및 Jinheung), 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낮아지는 것(Tetep, Suweon 242) 및 생육기에 따라 변화가 없는 것(TKM-6, IR-26)이 있었다. (2) 감수성 대조품종 Rexoro는 저항성 대조품종 TKM-6에 비하여 식이선택성이 언제나 높았다. Tongil(Suweon 213-1)은 Rexoro와 Jinheung에 비하여 유충의 식이선택성이 현저히 낮았고 TKM-6와 거의 대등한 정도의 식이선택성을 타나내었다. (3)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의 저항성과 식이선택성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 같다.

  • PDF

Gene Content Tree를 이용한 Archaebacteria와 Bacteria 분류 (Classification of Archaebacteria and Bacteria using a Gene Content Tree Approach)

  • 이동근;김수호;이상현;김철민;김상진;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39-44
    • /
    • 2003
  • 유전자보유 유무에 따른 계통수와 16S rRNA에 의한 계통수를 염기서열 분석이 완료된 33종의 미생물에 대하여neighbor joining method와 bootstrap method(n=1,000)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분류그룹에서 공통적으로 보존된 COG와 각 미생물이 보유하고 있는 ortholog 수에 대한 비율을 조사한 결과, Mezorhiaobium lot의 4.60% Mycoplasma genitalium의 56.57%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미생물 종류에 따라서 공통 유전자의 보유정도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독특한 유전자를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같은 종 내에 서도 20% 이상의 ortholog가 서로 독립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Archaeabacteria와 Proteobacteria 그리고 Firmicutes모두 유전자보유 계통수와 16S rRNA 계통수가 일치하는 부분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으로 나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165 rDNA처림 보존적이지 않은 유전자까지 고려한 결과이거나 horizontal gene transfer에 의한 영향 등으로 사료되었다. COC에 기초한 유전자보유 계통수는 생화학 적 실험과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류의 중간자적 입장에서 유용유전자 탐색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