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ule development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4초

갑상선 편측형성부전에 동반된 유두 갑상선암 1예 (Thyroid Hemiagenesis Associated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이용상;윤지섭;정종주;남기현;정웅윤;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64
    • /
    • 2007
  • Thyroid hemiagenesis is a rare anomaly, which is the result of failure of embryologic development of a lobe of thyroid gland. It is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left lobe and in female patients. We, herein, report an extremely rare case of thyroid hemiagenesis associated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 69-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n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nodule in the right thyroid during a routine medical check-up. Ultrasonography(US) and computed tomography(CT) disclosed $0.7{\times}0.5cm\;and\;2.8{\times}2.2cm$ sized nodules in the right thyroid. The left thyroid, however, was not seen in the imaging studies of US and CT. Fine-needle aspiration of the small and large nodules show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nd adenomatous hyperplasia, respectively. The patient underwent a right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compartment node dissection. The operative findings and histologic examination confirmed the absence of the left thyroid associated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nd ademonatous hyperplasia of the right thyroid.

TERT mRNA Expression is Up-Regulated in MCF-7 Cells and a Mouse Mammary Organ Culture (MMOC) System by Endosulfan Treatment

  • Je Kang Hoon;Kim Ki Nam;Nam Kung Woo;Cho Myung Haing;Mar Woong Ch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51-357
    • /
    • 2005
  • Endosulfan is one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which are well-known endocrine disruptors (EDs), and it acts as an estrogen agonist. Estrogen is a group of hormon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mammary gland function and are implicated in mammary carcin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the effects of endosulfan on nodule like alveolar lesion (NLAL) formation in mouse mammary gland development using a mouse mammary gland organ culture (MMOC) system. Although endosulfan-treated mammary glands did not form NLALs, more alveolar buds were formed in this group than in the negative control (vehicle-treated) group. In additio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TERT) mRNA expression levels were increased in endosulfan-treated mammary glands in a dose-dependent manner. Telomerase can be activated by estrogen,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endosulfan on telomerase activity, and found that the telomerase activity in estrogen receptor-positive MCF-7 cells was up-regulated by endosulfan treatment. Moreover, this activation was accompanied by the up­regulation of the TERT mRNA expression. Also, transient expression assays using CAT reporter plasm ids containing various fragments of the TERT promoter showed that this imperfect palindromic estrogen-responsive element is almost certainly responsible for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by endosulfan. These results may help elucidate the endocrine disrupting mechanism of endosulfan.

북동태평양 Clarion-Clipperton 균열대의 망간단괴 채광을 위한 환경충격시험 예정 지역 심해 해저면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 현존량 및 공간 분포 특성 (Standing Stock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eiofauna on Deep-sea Sediment in an Environmental Impact Experiment of a Candidate Site for Manganese Nodule Development, NE Pacific)

  • 민원기;노현수;김동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125-1139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meiobenthos associated with future deep-sea mining in the Korea Deep Ocean Study area present in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CCFZ)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North Pacific Ocean. Standing stocks of meiobenthos were investigated in benthic impact experiment sites (BIS) and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long-term monitoring (KOMO) sites during the 2008-2014 annual field survey. A total of 14 taxa of meiobenthos were identified. Nematodes were the most abundant taxon (60-86%). Harpacticoid copepods (5-26%) and benthic foraminifera (1-12%) were also dominant at all sites. The total meiobenthic densities varied from 4 to 150 ind./10 cm2. The mean value of total meiobenthic abundance was higher at BIS than at KOMO sit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tes. The mean values of the number of taxa and biomass at BIS and KOMO sites were similar. The mean abundance of nematodes that were the most dominant taxa was also higher at BIS than at KOMO sites. The standing stocks in our study site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at other CCFZ sites. These results seem to reflect a low organic concentration in the study area.

생체적합성 및 골전도성 향상을 위한 경조직 대체용 생체재료의 표면개질 (Surface Modification of Biomaterials for Hard Tissue Substitutes to Improve Biocompatibility and Osteoconductivity)

  • 김성욱;이우걸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725-730
    • /
    • 2005
  • 경조직 대체용 생체재료의 개발에 있어서 재료의 생체적합성 및 골전도성은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이다. 인산칼슘 박막은 경조직과 화학적 성분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재료의 표면에 인산칼슘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재료의 생물학적 성질을 매우 증진시킬 수 있다. 생체재료의 성공여부는 재료의 표면에 대한 부착단백질의 작용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부착단백질들이 세포의 부착 및 부착된 세포의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재료의 표면에 대한 부착단백질들의 흡착기전과 흡착된 입체구조에 따라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그리고 분화와 같은 세포반응이 향상되거나 또는 억제된다. 인산칼슘 박막에 의해 개질된 생체재료의 경우 골전도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골세포의 분화 정도가 증가함은 물론 뼈 결절들이 신속하게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자기 조절 개념을 적용한 음성치료 기법이 발성장애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oice Therapy Applying Self-Regulation Concepts on Dysphonia Patients)

  • 이창윤;안수연;손희영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0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self-regulation (SR) ability and facilitating the change of vocal behavior by applying voice therapy using the SR concept to the patients with vocal cord nodule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Materials and Method : The subjects were 80 patients and 8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vocal nodules. As a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compared among patients with the same dysphonia without using SR strategies. The concept of SR before voice therapy was explained to the patients, and the treatmen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goal of voice therapy. The treatment stages consist of 1) skill acquisition, 2) habit formation, and 3) habit changes. voice therapy was performed by applying SR strategies such as goal implementation intentions and a less routine behavior. Patient's dropout rates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adherence of voice therapy. Results :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een in all groups receiving voice therapy. However, in the group using the SR strategy, the voice analysis results showed a relatively low dropout rate of voice therapy. In the generalization confirmation stage, patients who applied SR concept showed better results. SR strategy did no longer be necessary to maintain newly adopted vocal behavior.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R is one of the cognitive factors tha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utcome of voice therapy, and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new skills. A better understanding of SR and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strategies using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voice problems in clinical settings.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関)한 연구(硏究) -II. 상이(相異)한 토양(土壌)에서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근류(根瘤)의 발달양상(発達樣相) 및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関)한 연구(硏究) (Studies o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Soybean -II. Seasonal Changes of Nodule Development and N2-Fixing activities of Rhizobium japonicum to the Different Varieties of Soybean under Different Soils)

  • 류진창;이상규;이혁호;홍종운;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4-91
    • /
    • 1983
  •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Rhizobium japonicum)의 유효(有効)한 활용(活用)을 위(為)하여 토양(土壌)이 상이(相異)한 조건(條件)에서 품종별(品種別) 근류(根瘤)의 발달양상(発達樣相)과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져 pot 및 실내실험(室內実験)을 통(通)하여 몇 가지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에서는 콩파종후(播種後) 60일경(日頃)에 최대한(最大限) 유형성량(瘤形成量)을 보였으나,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壌)은 파종후(播種後) 80일(日)까지도 근류형성량(根瘤形成量)이 증가(増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근류착생량(根瘤着生量)은 육우(陸羽) 3호(号)와 H-25는 60일(日), 그리고 육우(陸羽)3호(号), Hill 및 광교(光敎)는 파종후(播種後) 70일(日)까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増加)되었으며, 특(特)히 유효근류(有効根瘤)는 대두품종(大豆品種)에 관계(関係)없이 파종후(播種後) 20일경(日頃)부터 근류(根瘤)가 형성(形成)되어 60일(日)까지 지속(持続)되었음. 3. 토양별(土壌別) 근류(根瘤)에 의(依)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파종후(播種後) 20일(日)에는 신개간지(新開墾地) 0.012mg/본(本)에 비(比)해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에서는 0.112mg/본(本)으로 높았다. 그러나 생육일수(生育日数)가 경과(経過)됨에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보다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壌)에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이 많았으며, 제일(第一) 높은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보인 시기(時期)는 파종후(播種後) 50~60일경(日頃)이었다. 4.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H-25 > 수원(水原) 63호(号) > Hill=육우(陸羽)3호(号) > 광교(光敎) 순(順)이었으며 대두(大豆) 1작기간중(作期間中)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반당(反当) (11,000본립모(本立毛))으로 환산(換算)하면 8.2~13.3kg/10a정도(程度)였다. 5. 순수분리배양(純粹分離培養)한 각균주(各菌株)의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in vitro) A62-1 > 수원(水原)63호(号) > Hill > 광교(光敎) > 육우(陸羽) 3호(号)의 순위(順位)였으며 분리균주(分離菌株)의 아세치렌환원력(還元力)이 높았던 품종(品種)에서 근류(根瘤)에 의(依)해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도 많았다.

  • PDF

Alfalfa 품종별(品種別) 생육(生育) 및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대(對)한 석회(石灰) 및 근류균(根瘤菌) 접종효과(接種效果) (Effect of Lime and Inoculation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Alfalfa Varieties)

  • 박훈;김무성;권항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5-251
    • /
    • 1973
  • 세 Alfalfa 품종(品種)(Medicago sativa L. var. Moapoa, Washoe, Lahontan)의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석회(石灰)와 근류균접종효과(根瘤菌接種效果)를 적황색(赤黃色) 사양토(砂壤土)(여기(麗岐) 산토양 pH 4.9)를 사용(使用) Pot시험(試驗)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무석회구(無石灰區)에서는 발아율이 낮고 그후 생육(生育)이 되지 아니하였으며 Moapa가 가장 강하였다. 2. 무접종구(無接種區)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Moapa>Washoe>Lahontan의 순(順)이고 접종효과(接種效果)는 이와 반대였으며 근류균(根瘤菌) 착생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3. 예취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무접종구(無接種區)의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고 접종효과(接種效果)가 감소하였으며 질소농도(窒素濃度)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4. Moapa는 다른 두 품종(品種)에 비(比)하여 N, Ca, Mg의 농도(濃度)가 높은 반면 P, K의 농도(濃度)는 낮았다. 5. Washoe는 Lahontan에 비(比)하여 K가 높고 Ca가 낮으며, Lahontan은 Washoe에 비(比)하여 P가 높고 Mg가 낮다. 6. 접종(接種)에 의(依)해 예취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P, K가 감소하였다. 7. Moapa의 다수성(多收性)은 N, Ca, Mg 흡수력(吸收力)이 강한 반면 P, K의 요구도가 적은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축적인산(蓄積燐酸) 유효화(有效化)에 미치는 규산(珪酸)과 퇴비(堆肥)의 시용효과 (Effects of Silica and Compost Application on the Availability of Accumulated Phosphate in Paddy and Upland Soils)

  • 이춘희;전성건;신원교;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1-286
    • /
    • 1990
  •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높은 논과 밭토양(土壤)에서 시비인산(施肥燐酸) 대신 규산(珪酸)과 퇴비(堆肥)를 10a당 200kg와 2,000kg을 시용(施用)하고 동진(東津)벼와 백운(白雲)콩을 재배시(栽培時) 인산(燐酸)의 유효도(有效度), 잔존량(殘存量) 및 시비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증가량(增加量)은 규산(珪酸)+퇴비구(堆肥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60ppm 정도(程度) 많았고 규산(珪酸)과 퇴비(堆肥)에 의한 증가율(增加率)은 밭보다 논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게 높았다. 2. 식물분의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은 규산(珪酸)+퇴비구(堆肥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현저히 많았고 그 차이(差異)는 볏짚보다 콩경엽에서 더 컸다. 3. 인산흡수(燐酸吸收)는 토양(土壤)의 철함량과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였고 토양환원(土壤還元)과 콩 뿌리혹 수와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4. 토양(土壤)의 인산잔존비(燐酸殘存比)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가 80%,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가 100% 정도(程度)되었고 규산시용(珪酸施用)으로 인산축적(燐酸蓄積)이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5. 벼 수량(收量)은 인산시용(燐酸施用)과 무시용(無施用) 간(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콩 수량(收量)은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 무시용(無施用)보다 5% 감수(減收)되었다.

  • PDF

북동(北東) 적도(赤道) 태평양(太平洋)(KONOD-1) 망간 단괴(団塊)의 은물조성(銀物組成), 화학분석(化學成分)과 성인(成因) (Mineralogy, Geochemistry, and Formation of Ferromanganese Nodules from the KONOD-1 Sit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 강정극;한상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0-122
    • /
    • 1988
  • 해양연구소는 한국 해양학사상 처음으로 1983년 12월 북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리퍼톤균열대 (Clarion and Clipperton Fracture Zones) 사이에서 망간단괴와 망간각을 채취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해양조사선은 하와이대학의 KANA KEOKI호였다. 본 연구는 KONOD-1 지역에서 채취된 망간단괴와 망간각의 광물조성과 유용금속성분을 분석, 경호하였으며, 태평양 심해저 평원에서 보고된 망간만괴와 비교하였다. 한편 광물 및 금속함량을 기초하여 금속원소의 공급원과 망간단괴가 형성되는 원리를 해석하였다. 연구지역 망간단괴는 망간산화물로 토도로카이트(todorokite)와 ${\delta}$-$MnO_2$로 그리고 망간각은 ${\delta}$-$MnO_2$로 조성되어 있다. 주요 금속성분의 평균함량은 Mn 21.4%, Fe 6.2%, Ni 0.9%, Cu 0.7%, 그리고 Co 0.2% 이며, 이 값은 클라리온과 클리퍼톤 균열대 지역에서 규질연니를 표층퇴적물로 하고 있는 심해저평원 망간만괴에서 보고된 값보다 적다. 그러나 망간단괴중 높은 Mn/Fe비 (평균 3.9, 최고 5.9)와 높은 Cu/Ni비 (평균 0.8, 최고 1.0)는 북태평양에서 속성작용으로 형성된 망간단괴와 일치한다. KONOD-1 지역 망간단괴의 화학적 특징은 두 종류로 대분되며, 각각의 특성은 망간단괴가 형성된 퇴적환경을 암시한다. 강한 속성작용의 망간단괴는 심해저평원지역 규질연니의 현생 퇴적층위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약한 속성작용의 망간단괴는 심해저 구릉이 분포하는 지형, 즉 퇴적층이 균일하지 못한 환경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 PDF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 증례보고 (DENS INVAGINATUS AND TALON CUSP CO-OCCURING: REPORT OF THREE CASES)

  • 임성옥;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8-496
    • /
    • 2010
  • 치외치는 교합면에 법랑질이 원추형으로 돌출되어 결절을 형성한 치아로서, 치아발육 중 법랑기의 내측법랑상피가 외부로 과증식되거나 치수 간엽조직이 국소적으로 과증식되어 나타난다.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 또는 마모되기 쉬우며 따라서 이로 인하여 치수노출에 의한 감염이 야기될 수 있다. 상악 전치부 설면에도 원추형으로 돌출된 결절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를 탈론 교두(talon cusp)라 한다. 치내치는 치아 발육 중 설측의 법랑상피가 일부 함입되어 설측에 깊은 소와가 형성된 형태로서 크기나 전체적인 모양은 정상이다. 방사선 사진상에서 치경부의 법랑질 일부가 함입되어 함입강을 형성하고 그 기저부는 치수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치수와 개통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탈론 교두(talon cusp)와 치내치는 비교적 흔한 형태 이상이지만, 한 치아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환자에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되거나, 교두 사이 열구가 우식에 이환되어 치수치료가 시행 될 때, 치내치의 복잡한 근관 형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합조정, 치면열구전색술 등의 예방적 처치와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고, 치수치료시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통한 치내치의 근관 형태 파악이 필요하다.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0세 남아(하악 좌측 중절치)와 8세 여아(상악 우측 중절치) 그리고 7세 남아(상악 우측 중절치)에서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관찰되어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9세 남아와 8세 여아는 치수 병변으로 인해 치수 치료 중이고, 7세 남아는 병적 소견 없이 교합조정 후 관찰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