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e state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3초

분산 네트워크를 위한 다수 노드 주파수 동기화 방식 (Multi-node Frequency Synchronization Method for Distributed Networks)

  • 김정현;김지형;임광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3C호
    • /
    • pp.251-25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수 노드들의 주파수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의 반송파 주파수를 동기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노드 진입 시 노드 간 빠른 동기화가 가능토록 한다. 또한, 다수의 그룹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경우 인접 그룹 간의 동기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주파수 동기 알고리즘은 노드의 진입이 유동적이고 그룹 간 병합과 분리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군작전 시나리오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 Scalable Recovery Tree Construction Scheme Considering Spatial Locality of Packet Loss

  • Baek, Jin-Suk;Paris, Jehan-Francois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2권2호
    • /
    • pp.82-102
    • /
    • 2008
  • Packet losses tend to occur during short error bursts separated by long periods of relatively error-free transmission. There is also a significant spatial correlation in loss among the receiver nodes in a multicast session. To recover packet transmission errors at the transport layer, tree-based protocols construct a logical tree for error recovery before data transmission is started. The current tree construction scheme does not scale well because it overloads the sender node. We propose a scalable recovery tree construction scheme considering these properties. Unlike the existing tree construction schemes, our scheme distributes some tasks normally handled by the sender node to specific nodes acting as repair node distributors. It also allows receiver nodes to adaptively re-select their repair node when they experience unacceptable error recovery dela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constructs the logical tree with reduced message and time overhead. Our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it provides fast error recovery, since it can reduce the number of additional retransmissions from its upstream repair nodes or sender node.

Validation of Three Breast Cancer Nomograms and a New Formula for Predicting Non-sentinel Lymph Node Status

  • Derici, Serhan;Sevinc, Ali;Harmancioglu, Omer;Saydam, Serdar;Kocdor, Mehmet;Aksoy, Suleyman;Egeli, Tufan;Canda, Tulay;Ellidokuz, Hulya;Derici, Sol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181-6185
    • /
    • 2012
  • Backgroun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available breast nomograms (MSKCC, Stanford, Tenon) to predict non-sentinel lymph node metastasis (NSLNM) and to determine variables for NSLNM in SLN positive breast cancer patients in our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70 patients who underwent completion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between Jul 2008 and Aug 2010 in our hospital. We validated three nomograms (MSKCC, Stanford, Tenon). The likelihood of having positive NSLNM based on various factors was evaluated by use of univariate analysis. Stepwise multivariate analysis was applied to estimate a predictive model for NSLNM. Four factors were foun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llowing design of a new formula to predict non-sentinel lymph node metastasis. The AUCs of the ROCs were used to describe the performance of the diagnostic value of MSKCC, Stanford, Tenon nomograms and our new nomogram. Results: After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ultifocality, proportion of positive SLN to total SLN, LVI, SLN extracapsular exten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UC results were MSKCC: 0.713/Tenon: 0.671/Stanford: 0.534/DEU: 0.814. Conclusions: The MSKCC nomogram proved to be a good discriminator of NSLN metastasis in SLN positive BC patients for our population. Stanford and Tenon nomograms were not as predictive of NSLN metastasis. Our newly created formula was the best prediction tool for discriminate of NSLN metastasis in SLN positive BC patients for our population. We recommend that nomograms be validated before use in specific populations, and more than one validated nomogram may be used together while consulting patients.

노드 이동성 및 분포를 고려한 향상된 다중 점 릴레이 선택 알고리즘 (Enhanced Multi-Point Relay Selection Algorithm for Mobility and Distribution of Nodes)

  • 박종호;오창영;안지형;김정식;정성헌;이태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B권12호
    • /
    • pp.1128-113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노드의 이동성이 크고 노드의 밀도가 균일 하지 않은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노드의 이동성과 밀도를 고려하여 OLSR(Optimized Link State Routing) 의 MPR(Multi-Point Relay) 선택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OLSR의 MPR 선택 방법은 노드의 이동성과 밀도에 무관하게 2홉 이웃 노드를 많이 포함하는 노드를 위주로 선택한다. 하지만 노드가 이동성을 갖는 경우에 이동성이 큰 노드를 MPR로 선택할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노드의 밀도가 균일 하지 않은 경우에는 밀도가 높은 지역의 노드들이 우선적으로 MPR로 선택되면 네트워크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드의 이동성과 밀도를 Hello 메시지 교환을 통해 측정하고 노드의 이동성과 밀도를 반영하여 MPR 선택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MPR 선택 방법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OPNET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제안 방법의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보인다.

MPLS 망에서 칼라 스레드의 루프방지 알고리즘 개선 (Improvement of the Colored Thread Algorithm to Prevent Loop in MPLS Network)

  • 전환식;김한경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1-49
    • /
    • 2002
  • MPLS망에서 루프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Ohba는 칼라 스레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LSP를 설정할 때 중간 노드가 칼라와 홉 카운트, TTL 값으로 표현된 스레드 정보를 LDP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운스트림 노드에게 전달한다. 그 다음 같은 칼라의 스레드가 다시 접수되면, 루프 경로가 형성되었음을 감지하고 다른 경로의 탐색을 시도한다. 메시지가 egress 노드에 도착하면 ingress 노드까지 업스트림으로 확인 메시지를 역 전송하여, 루프가 없는 경로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Ohba가 스레드의 상태를Null, Colored, Transparent의 세 가지로 정의한 것을Extending, Merging, Stalling, Null, Transparent의 5가지로 확장하여 정의하고, 이에 따라 관련 FSM과 TCB를 재정의 하여 스레드 상태의 모호성으로 인한 잘못된 동작과 오버로드의 발생을 개선코자 하였다. 그리고, Stalling 상태에서 스레드 생성을 회피함으로써, 성능의 향상을 유도하였다.

  • PDF

A Novel Bio-inspired Trusted Routing Protocol for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 Zhang, Mingchuan;Xu, Changqiao;Guan, Jianfeng;Zheng, Ruijuan;Wu, Qingtao;Zhang, Hongk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1호
    • /
    • pp.74-90
    • /
    • 2014
  • Routing in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MWSNs) is an extremely challenging issue due to the features of MWS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bio-inspired trusted routing protocol (B-iTRP) based on artificial immune system (AIS), ant colony optimization (ACO) and Physarum optimization (PO). For trust mechanism, B-iTRP monitors neighbors' behavior in real time and then assesses neighbors' trusts based on AIS. For routing strategy, each node proactively finds routes to the Sink based on ACO. When a backward ant is on the way to return source, it senses the energy residual and trust value of each node on the discovered route, and calculates the link trust and link energy of the route. Moreover, B-iTRP also assesses the availability of route based on PO to maintain the route table. Simulation results show how B-iTRP can achieve the effective 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state-of-the-art algorithms.

무선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상에서 에너지 소모 감시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노드 관리 알고리즘 (Cluster-Based Node Management Algorithm for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in Wireless Mobile Ad Hoc Networks)

  • 이종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09-315
    • /
    • 2016
  • 무선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노드 이동성은 에너지 소모를 가중화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노드 이동성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클러스터 멤버 노드의 수명 주기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클러스터 기반의 노드 관리 알고리즘 (CNMA: Cluster-based Node Management Algorithm)을 제안한다. 제안된 CNMA 알고리즘은 클러스터 내에서 클러스터 헤더 노드와 멤버 노드들의 이동성을 추적하고 이들의 관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에너지 잔량을 분석한다. 그리고 노드들의 상태 전이 과정을 분석하여 클러스터링 분할과 병합을 수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드 이동성으로 발생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이 이동성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보이며, 에너지 수명 주기가 향상됨을 보인다.

Transient diffusion approximation for $M/G/m/N$ queue with state dependent arrival rates

  • Shin, Yang-Woo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715-733
    • /
    • 1995
  • We present a transient queue size distribution for $M/G/m/N$ queue with state dependent arrival rates, using the diffusion process with piecewise constant diffusion parameters, with state space [0, N] and elementary return boundaries at x = 0 and x = N. The model considered here contains not only many basic model but the practical models such as as two-node cyclic queue, repairmen model and overload control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finite storage buffer. For the accuracy check, we compare the approximation results with the exact and simulation results.

  • PDF

3차원 위상구조 생성을 위한 노드 - 관계구조로의 CAD 자료 변환 (CAD Data Conversion to a Node-Relation Structure for 3D Sub-Unit Topological Representation)

  • 마크 스티븐스;최진무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8-194
    • /
    • 2006
  • 3차원 위상 자료는 응급상황 처리와 3차원 네트워크 분석 등의 3차원 공간분석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까지의 3차원 위상 데이터 모델에 대해 살펴보고, 건물을 설계하기 위해 사용되는 2차원 CAD 도면 데이터로 부터 3차원 위상적 노드-관계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중심축 변환과 위상적 노드-관계 알고리듬들을 이용한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단계는 중심축 변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CAD 데이터에서 폴리곤이나 이중 선으로 표현되는 벽으로부터 그 중심선을 생성하여 벽의 골격을 추출하는 것이다. 두번째 단계는 추출된 벽의 골격 자료를 이용하여 방을 3차원 노드로하고 방들간의 연결을 관계로하는 위상적 노드-관계 구조를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연결들은 노드들간의 이웃성 또는 연결성을 표현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변환방법으로 미시적 수준의 개별 건물들의 내부구조를 표현하는 3차원 위상구조 데이터는 건물의 도면 작성에 자주 사용되는 CAD 데이터로 부터 쉽게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Agrammatic Production : Testing The Tree-Pruning Hypothesis

  • Kim SuJung;Halliwell John F.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2호
    • /
    • pp.337-340
    • /
    • 1999
  • The most salient and discussed features of speech production in agrammatic aphasia are the omission and substitu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Cross-linguistic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attern of omission/substitution is not random but occurs in a systematic and highly constrained way. Although these descriptions are important, they do not explain why all grammatical morphemes are not equally impaired. Friedmann and Grodzinsky (1997) proposed the Tree-Pruning Hypothesis (TPH) to account for these patterns of sparing and loss. The TPH claims that in an agrammatic representation, an impaired functional node is underspecified, thus allowing inappropriate affixation to occur. Additionally, whenever a node is impaired, all nodes above it will also be impaired. Using four types of narratives collected from two Korean agrammatic patients, We test the claim that the impairment in agrammatism is based on such hierarchical representation. It was found that these patients consistently produced appropriate grammatical morphemes that are higher in a syntactic tree than the impaired morphemes. The finding that an intact node exists higher than an impaired node refutes the TP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