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al region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악안면 영역의 Castleman's disease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CASTLEMAN'S DISEASE ON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 정인교;김욱규;신상훈;박혜련;이의훈;장원석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5호
    • /
    • pp.468-473
    • /
    • 2001
  • 본 교실에서는 우측 악하부와 우측 안와 하부의 종창으로 내원한 53세 여자 환자에서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로 림프절의 반응성 과증식으로 진단되어 다시 절제 생검을 시행하여 multi-centric Castleman's disease로 진단하였다. 조직 검사상 유리질 혈관형과 형질세포형이 공존하는 복합형으로 나타났으며 병소의 적출술만을 시행한 후 1년이 지난 지금까지는 별다른 소견없이 좋은 경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로 한다.

  • PDF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 경로 (Critique of the Revitalization Trajectory of Bilbao)

  • 김경환;문승희;정혜윤;홍진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8-273
    • /
    • 2019
  • 2018년 정부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원책은 문화 관광 관련 지원책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는 정부가 문화 관광산업을 제조업의 대안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스페인 빌바오는 구겐하임 미술관을 유치하여 문화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지역발전을 추진하였고, 빌바오의 성공 사례는 "빌바오 효과" 또는 "구겐하임 효과"라는 용어를 탄생시켰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특수성과 지역발전 재생 전략을 구조적 맥락에서 분석해 우리나라 산업위기지역의 대응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빌바오는 유럽 내 초국가적 무역 네트워크의 중요 결절지라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바스크 지방정부에게 정치적, 재정적 자율권을 보장하였다. 바스크 지방정부는 자율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역발전 재생사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둘째, 빌바오는 지역발전 재생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민관협력체계를 원활하게 가동해 오랜 시간 동안 꾸준한 실천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사업은 대형프로젝트와 장소마케팅의 효과로 주목 받았지만, 그 이면에는 문화 관광산업이 창출하는 일자리의 불안과 서비스업 내의 양극화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빌바오가 추진한 탈산업화는 문화 관광산업과 더불어 지식기반서비스와 금융서비스 등 서비스산업이 다양하게 특화되었기 때문에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인강암의 치료에서 동시차등조사가속치료를 적용한 제1상/2상 연구의 예비적 결과 (Preliminary Results of Phase I/II Study of 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SMART)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 박진홍;백금문;이병용;최은경;안승도;신성수;김정훈;김상윤;이봉재;남순열;최승호;김성배;이상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06
  • 목적: 비인강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동시차등조사가속치료(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SMART)를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의 예비적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근치적 목적의 동시차등조사가속치료를 시행 받은 20명의 비전이성 비인강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IMRT는 "step and shoot" SMART를 사용하여 시행되었으며, 각각 육안적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GTV)에 72 Gy (2.4 Gy/day), 비인강과 전이성 림프절부위(metastatic nodal station) 등을 포함하는 임상표적체적 1 (Clinical target volume 1, CTV1)에 60 Gy (2.0Gy/day), 그리고 임상적으로 전이가 없는 경부 부위림프절을 포함하는 임상표적체적 2 (clinical target volume 2, CTV2)에 46 Gy (2 Gy/day)를 조사하였다. 18명의 환자는 주당 1회의 isplatin 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결과: 연구대상에 포함된 환자의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27개월이었다. 19명의 환자는 치료 중단 없이 계획된 치료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나, 1명은 고도의 인두염과 영양불량으로 2주간 치료가 중단되었다. 치료 기간 중급성 독성은 RTOG 3도의 점막염과 인두염이 각각 5명(25%)과 9명(45%)에서 관찰되었다. 7명(35%)은 10% 이상의 체중 감소를 보였으며 11명(55%)은 정맥수액요법 혹은 경관영양요법을 필요로 하였다. 만성 독성에서 3급 이상의 구강건조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반응은 모든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원격전이와 국소재발이 각각 2명과 1명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SMART를 사용한 IMRT를 도입하여 임상적으로나 선량측정상 이하선의 기능 보존이 가능하였으며, 또한 생물학적으로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향후 정확한 종양억제 효과와 만기 독성을 알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대상과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Loss of Expression and Aberrant Methylation of the CDH1 (E-cadherin) Gene in Breast Cancer Patients from Kashmir

  • Asiaf, Asia;Ahmad, Shiekh Tanveer;Aziz, Sheikh Aejaz;Malik, Ajaz Ahmad;Rasool, Zubaida;Masood, Akbar;Zargar, Mohammad Afza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5호
    • /
    • pp.6397-6403
    • /
    • 2014
  • Background: Aberrant promoter hypermethylation has been recognized in human breast carcinogenesis as a frequent molecular alteration associated with the loss of expression of a number of key regulatory genes and may serve as a biomarker. The E-cadherin gene (CDH1), mapping at chromosome 16q22, is an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n epithelial cell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intercellular connection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methylation pattern of CDH1 and to correlate it with the expression of E-cadherin,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nd hormone receptor status in breast cancer patients of Kashmir. Materials and Methods: Methylation specific PCR (MSP) was used to determine the methylation status of CDH1 in 128 invasive ductal carcinomas (IDCs) paired with the corresponding normal tissue samples. Immunohistochemistry was used to study the expression of E-cadherin, ER and PR. Results: CDH1 hypermethylation was detected in 57.8% of cases and 14.8% of normal adjacent controls. Reduced levels of E-cadherin protein were observed in 71.9% of our samples. Loss of E-cadher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DH1 promoter region methylation (p<0.05, OR=3.48, CI: 1.55-7.79). Hypermethylation of CDH1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at diagnosis (p=0.030), tumor size (p=0.008), tumor grade (p=0.024) and rate of node positivity or metastasis (p=0.043). Conclusions: Our preliminary findings suggest that abnormal CDH1 methylation occurs in high frequencies in infiltrating breast cancer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E-cadherin expression.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mor-related CDH1 gene methylation patterns relevant to tumor grade, tumor size, nodal involvement and age at diagnosis of breast tumors, which could be extended in future to provide diagnostic and prognostic information.

교합하중이 치경부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Effects of occlusal load on the cervical stress distribution: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이형모;허복;김현철;우성관;김광훈;송권;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27-43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유한요소분석법을 이용하여 정상 상악 제2소구치의 협측부의 응력분포에 다양한 교합응력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악 제2소구치의 3차원유한요소모델을 형성한 후 형성된 모델에 3종류의 정적인 500N 점하중의 응력조건을 부여하였다. ANSYS 프로그램 (Swanson Analysis Systems, Inc., Houston, USA)으로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을 4개의 수평면 상(CEJ 상방 1 mm, CEJ 상방 0.5 mm, CEJ, CEJ 하방 0.5 mm)에서 분석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peak stress가 협측 백악법랑경계를 따라 비대칭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2. 압축응력 값은 법랑질의 압축파괴응력 범위 내에 있었지만 인장응력은 법랑질의 인장파괴응력 범위를 넘어섰다. 3. 비우식성치경부병소를 발생시키는 주요인은 설측교두의 협측경사면에 가해지는 교합압에 의한 인장응력이라고 보여진다.

실내 라돈환경계의 선량감도분석에 의한 제어매개변수 모델링 (Modeling the Controllable Parameters of Radon Environment System with Dose Sensitivity Analysis)

  • 주운표;장시영;김건중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41-54
    • /
    • 1991
  • 라돈 및 붕괴생성물의 호흡에 의한 인체 피폭선량의 제어가능성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1) 라돈에 관련된 기존모델을 토양 기공모델, 실내붕괴 모델, 폐선량계산모델로 분류해석하고, 2) topology이론에 따라 물리유추개념으로써 회로망으로 전환하여, 라돈환경계통을 정식화, 검증계산을 거쳐, 3) 모의계산으로 선량감도를 분석하여 최적 매개변수의 범위를 모색하였다. 매개변수인 환기율, 침적율, 부착율가 제어범위내 변화될 때, 정식화된 111원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여 선량감도를 분석하였으며, 제어매개변수의 선량감도에 의한 효과를 3차원으로 도식화하였다. 본 연구 수행결과, 제어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실내의 $^{222}Rn$ 및 Rn-D의 농도 변화과정은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벡터감도단층모형으로, 일부 제어매개변수의 조합변화에 따른 선량감도는 3차원 그래프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선량감도의 3차원 그래프에서는 실내환경의 대표적 매개변수 값 범위에서 변곡점이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높은 환기조건$(>1h^{-1})$하에서는 공기정화에 의하여 선량이 전반적으로 증가되나, 불충분한 환기조건$(<0.5h^{-1})$하에서는 공기정화에 의하여, 선량이 40%정도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라돈 및 붕괴생성물은 이하 $^{222}Rn$ 및 Rn-D로 통일한다.)

  • PDF

Dosimetric advantages and clinical outcomes of simultaneous integrated boost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for anal squamous cell carcinoma

  • Sakanaka, Katsuyuki;Itasaka, Satoshi;Ishida, Yuichi;Fujii, Kota;Horimatsu, Takahiro;Mizowaki, Takashi;Sakai, Yoshiharu;Hiraoka, Masahir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368-37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osimetric difference between simultaneous integrated boost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SIB-IMRT) and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and the clinical outcomes of anal squamous cell carcinoma (ASCC) chemoradiotherapy featuring SIB-IMR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ten patients with ASCC who underwent chemoradiotherapy using SIB-IMRT with 5-fluorouracil and mitomycin C. SIB-IMRT delivered 54 Gy to each primary tumor plus metastatic lymph nodes and 45 Gy to regional lymph nodes, in 30 fractions. Four patients received additional boosts to the primary tumors and metastatic lymph nodes; the median total dose was 54 Gy (range, 54 to 60 Gy). We additionally created 3DCRT plans following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9811 protocol to allow dosimetric comparisons with SIB-IMRT. Locoregional control, overall survival, and toxicity were calculated for the clinical outcome evaluation. Results: Compared to 3DCRT, SIB-IMRT significantly reduced doses to the external genitalia, bladder, and intestine, delivering the doses to target and elective nodal region. At a median follow-up time of 46 months, 3-year locoregional control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88.9% and 100%, respectively. Acute toxicities were treated conservatively. All patients completed radiotherapy with brief interruptions (range, 0 to 2 days). No patient experienced ${\geq}grade$ 3 late toxicity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 The dosimetric advantages of SIB-IMRT appeared to reduce the toxicity of chemoradiotherapy for ASCC achieving high locoregional control in the extended period.

신북방정책을 대비한 서산 대산항의 발전 전략 (Defining the Role of Seosan-Daesan Port Considering New Northern Policy)

  • 이태휘;김성국;윤경준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36
    • /
    • 2019
  • 한국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러시아, 몽골, 유라시아 등의 북방 경제권에 진출하는 것이 역대정부의 일관된 정책이다. 북방경제는 에너지 수요가 많고 산업이 발달한 우리나라와 상호보완적 경제구조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 신동방정책, 중국 일대일로, 몽골 초원의 길 이니셔티브 등 중국-러시아-몽골 경제회랑이 가속화되는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역대 정부가 추진하였던 북방정책을 계승하고 그간 미진하였던 북한을 포함하여 경제협력과 평화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신북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적인 경제협력을 위해서는 필연적인 운송이 수반되기에 육로보다 유리한 해상운송의 수요가 증가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해상운송의 결절점인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의 항만도시는 신북방정책에 대비한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시대의 서산 대산항을 장기적인 발전을 기획하면서 신북방정책에 맞추어 북한의 개방발전 방안을 고민하였다. 정부간 및 지방도시간의 국제협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서산시의 전향적인 태도와 함께 항만운영체와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응을 적극 이행한다면 현재 액체에너지화물 중심항만의 서산 대산항이 신북방정책의 거점이 될 수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서산 대산항이 명실상부한 서해안평화경제 허브로서 입지를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