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m-f

검색결과 1,204건 처리시간 0.027초

$Pr^{3+}-and$ $Pr^{3+}/Er^{3+}$-Doped Selenide Glasses for Potential $1.6{\mu}m$ Optical Amplifier Materials

  • Choi, Yong-Gyu;Park, Bong-Je;Kim, Kyong-Hon;Heo, Jong
    • ETRI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97-105
    • /
    • 2001
  • $1.6\;{\mu}m$ emission originated from $Pr^{3+}:\;(^3F_3,\;^3F_4)\;{\longrightarrow}\;^3H_4$ transition in $Pr^{3+}-\;and\;Pr^{3+}/Er^{3+}$-doped selenide glasses was investigated under an optical pump of a conventional 1480 nm laser diode. The measured peak wavelength and fullwidth at half-maximum of the fluorescent emission are ~1650nm and 120nm, respectively. A moderate lifetime of the thermally coupled upper manifolds of ${\sim}212{\pm}10{\mu}s$ together with a high stimulated emission cross-section of ${\sim}(3{\pm}1){\times}10^{-20}\;cm^2$ promises to be useful for $1.6{\mu}m$ band fiber-optic amplifiers that can be pumped with an existing high-power 1480 nm laser diode. Codoping $Er^{3+}$ enhances the emission intensity by way of a nonradiative $Er^{3+}:\;^4I_{13/2}\;{\longrightarrow}\;Pr^{3+}:\;(^3F_3,\;^3F_4)$ energy transfer. The Dexter model based on the spectral overlap between donor emission and acceptor absorption describes well the energy transfer from $Er^{3+}$ to $Pr^{3+}$ in these glasses.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are major transmission loss mechanisms of a selenide glass optical fiber.

  • PDF

Na와 Dy 이온 첨가에 따른 MgWO4 형광체의 광학 특성

  • 김문주;강희승;박다정;조선욱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9-19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상반응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MgWO4:Dy,Na 형광체의 광학특성과 결정구조를 조사하였다. Fig.1 XRD 주 피크는 $23.9^{\circ}$에서 관측 되었으며 (110) 면에서 발생한 회절신호이다. 결정구조는 단사정계임을 알 수 있었다. Dy,Na의 함량비를 0 mol, 0.02 mol, 0.04 mol, 0.06 mol, 0.08 mol, 0.10 mol로 변화시켜 합성했으나, 함량비와는 관계없이 동일한 XRD 회절 피크 패턴이 관측되었다. Fig.2. 그림의 220-340 nm에서 관찰되는 넓은 밴드는 $O2-{\rightarrow}W6+$에 의해 발생한 LMCT(ligand to metal charge transfer)이고, Dy에서 WO42- 그룹으로 에너지 전달에 의해서 생긴 CTB 이다. 합성한 형광체를 295 nm로 여기 시킨 모든 형광체 분말의 발광 스펙트럼은 Dy 이온의 $4F9/2{\rightarrow}6H15/2$ 전이에 의한 487 nm, $4F9/2{\rightarrow}6H13/2$ 전이에 의한 577 nm, $4F9/2{\rightarrow}6H11/2$ 전이에 의한 668 nm의 발광 스펙트럼이 관측되었다. Dy 이온이 0.02 mol일 때, 발광 세기가 가장 강하였으며, 몰 비가 증가함에 따라 발광의 세기는 감소하는 농도 소광현상이 관측되었다.

  • PDF

Mitomycin C에 의해 유도되는 Bacillus cirulans F-2의 Bacteriophage-like 입자 (Bacteriophage-like Particles Induced by Mitomycin C in Bacillus circulans F-2)

  • 김철호;권석태;이대실;타니구치하지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1-226
    • /
    • 1990
  • Bacillu circulans F-2를 포함한 B.circulans의 prophage와 bacteriocin을 검출하기 위하여, mitomycin C를 처리하고 전자현미경상, plaque 형성능(plaque-forming activity), 세균세포살균능(killing activtiy)을 실험했다. killing activity 양성균으로부터 서당밀도균배원심(sucrose gradient centrifugation)을 통해 bacteriophage-like particle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들 입자들은 형태학적으로 phage tail 또는 T4 phage와 닮은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 PDF

Fluoride single crystals for UV/VUV nonlinear optical applications

  • Shimamura Kiyoshi;Villora Encarnacion G.;Muramatsu Kenichi;Kitamura Kenji;Ichinose Noboru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33-140
    • /
    • 2006
  •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large size $SrAlF_5$ single crystals are describ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BaMgF_4$. Transmission spectra in the vacuum ultraviolet wavelength region indicate a high transparency of $SrAlF_5$ (about 90% without considering surface reflection loses) down to 150 nm, on contrast to the optical loses observed for $BaMgF_4$. The ferroelectric character of $SrAlF_5$ is evidenced by the reversal of the spontaneous polarization in a hysteresis loop. The higher potential of $SrAlF_5$ in comparison with $BaMgF_4$ for the realization of all-solid-state lasers in the ultraviolet wavelength region by the quasi-phase matching (QPM) technique is pointed out. $SrAlF_5$, besides a higher grade of transparency, shows a nonlinear effective coefficient similar to that of quartz and uniaxial nature, on contrast to the one order smaller nonlinear coefficient and biaxial character of $BaMgF_4$. The refractive index of $SrAlF_5$ from the ultraviolet to the near-infrared wavelength region is measured by the minimum deviation method. The Sellmeier and Cauchy coefficients are obtained from the fits to the curves of the ordinary and extraordinary refractive indices, and the grating period for the first order QPM is estimated as a function of the wavelength. The poling periodicity for 193 nm SHG from 386 nm is $4{\mu}m$.

Eu 부활형 Sr-Al-O 계 장잔광 형광체의 합성과 잔광특성 (Synthesis and After-Glow Characteristics of Eu Activated Sr-Al-O Long Phosphorescent Phosphor)

  • 이영기;김정열;김병규;유연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8호
    • /
    • pp.737-743
    • /
    • 1998
  • $SrAI_2O_4:Eu^{2+}$를 합성하여 장잔광 축광재료로서 가장 중요한 발광특성과 장잔광특성을 조사하였다. 융제로서 $B_2O_3$를 3wt% 첨가한 $SrCO_3$, $Eu_2O_3$, $AI_2O_34의 혼합분말은 $1000^{\circ}C$이상에서 모체결정인 $SrAl_2O_4$의 단일상이 형성되었으나, 장잔관 형광체로서 최적의 합성조건은 $1300^{\circ}C$, 3시간이었다. 그리고 $SrAI_2O_4:Eu^{2+}$는 부활제인 $Eu^{2+}$$4f^65d^1$ $\rightarrow$$4f^7$천이에 기인하여 황록색발광영역의 520nm(2.384eV)를 최대 발파장으로 하는 450~650nm의 폭넓은 발광스펙트럼을 보였으며, 또한 발광파장을 520nm로 고정하여 측정한 여기스펙트럼의 최대 흡수피크는 360nm이고 250nm에서 480nm의 넓은 범위에서 흡수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 PDF

Layer Thickness-dependent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Bottom- and Top-emissio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An, Hui-Chul;Na, Su-Hwan;Joo, Hyun-Woo;Kim, Tae-Wan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0권1호
    • /
    • pp.28-30
    • /
    • 2009
  • We have studied organic layer-thickness dependent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bottom- and top-emission devices. Bottom-emission device was made in a structure of ITO(170 nm)/TPD(x nm)/$Alq_3$(y nm)/LiF(0.5 nm)/Al(100 nm), and a top-emission device in a structure of glass/Al(100 nm)/TPD(x nm)/$Alq_3$(y nm)/LiF(0.5 nm)/Al(25 nm). A hole-transport layer of TPD (N,N'-diphenyl-N,N'-di(m-tolyl)-benzidine) was thermally deposited in a range of 35 nm and 65 nm, and an emissive layer of $Alq_3$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was successively deposited in a range of 50 nm and 100 nm. Thickness ratio between the hole-transport layer and the emissive layer was maintained to be 2:3, and a whole layer thickness was made to be in a range of 85 and 165 nm. From the current density-luminance-voltage characteristics of the bottom-emission devices, a proper thickness of the organic layer (55 nm thick TPD and 85 nm thick $Alq_3$ layer) was able to be determined. From the view-angle dependent emission spectrum of the bottom-emission device, the peak wavelength of the spectrum does not shift as the view angle increases. However, for the top-emission device, there is a blue shift in peak wavelength as the view angle increases when the total layer thickness is thicker than 140 nm. This blue shift is thought to be due to a microcavity effect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급속 microwave 열처리 방법으로 합성한 $YVO_4$: $Eu^{3+}$, $Bi^{3+}$ 적색 형광체의 발광 특성 (Luminescence characterization of $YVO_4$: $Eu^{3+}$, $Bi^{3+}$ red phosphor by rapid microwave heating synthesis)

  • 박우정;송영현;문지욱;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69-17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영역에서 우수한 발광강도를 가지는 적색 형광체를 얻기 위하여 microwave 급속 열처리법으로 합성하여 $Eu^{3+}$$Bi^{3+}$가 도핑된 $YVO_4$의 발광특성을 관찰하였다. Microwave 급속 열처리시 입자의 크기는 매우 미세하며, 응집이 매우 심하였으나 열처리 유지시간이 증가할수록 입자 크기는 증가하고 응집현상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YVO_4$: $Eu^{3+}$, $Bi^{3+}$ 적색 형광체의 발광 peak는 $Eu^{3+}$ ion의 영향에 의해 594.9 nm와 602.3 nm에서 $^5D_0{\longrightarrow}^7F_1$ 전자 천이에 의한 약한 발광 peak와 616.7 nm와 620.0 nm에서 $^5D_0{\longrightarrow}^7F_2$ 전자 천이에 의한 강한 발광 peak이 관찰 되었다. Microwave 급속 열처리법을 형광체 합성시 장시간 열처리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균일한 activator의 확산으로 인하여 발광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극자외선 리소그래피용 화학증폭형 레지스트 (Chemically Amplified Resist for Extreme UV Lithography)

  • 최재학;노영창;홍성권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58-162
    • /
    • 2006
  • 새로운 극자외선 리소그래피용 화학증폭형 레지스트의 매트릭스 수지로 poly[4-hydroxystyrene-co-2-(4-methoxybutyl)-2-adamantyl methacrylate]를 합성하고 평가하였다. 이 중합체로 제조된 레지스트로 KrF 엑시머 레이저 노광장비를 사용하여 선폭 120 nm (피치 240 nm)를 구현할 수 있었다. 극자외선 리소그래피 장비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선폭 50 nm (피치 180 nm)의 포지형 패턴을 얻었다. $CF_{4}$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에칭내성 평가 결과 기존 원자외선 레지스트용 매트릭스 수지인 poly(4-hydroxystyrene)보다 약 10% 향상되었다.

단주기 광섬유 격자(Fiber Grating)와 장주기 광섬유 격자의 온도 의존성 비교 (Comparison of temperature dependance between short and long period fiber gratings)

  • 최보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791-1796
    • /
    • 2011
  • 가우스 광분포를 가지는 KrF 엑시머 레이저와 위상마스크를 이용해 3dB 파장 선폭이 0.7 nm인 단주기 광섬유 격자(Fiber Bragg Grating)가 제작되었고, 이 격자의 파장에 따른 삽입 손실이 단일파장 광원과 cutback방식을 이용해 측정되었다. 이 격자의 온도 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circ}C$ ~ 70 $^{\circ}C$ 범위에서 중심 파장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0.01 nm/$^{\circ}C$을 얻었으며 이 값은 온도 변화 방향과 무관하였다. 진폭마스크를 이용해 3 dB 선폭이 14.22 nm인 장주기 격자도 제작되었으며 이 경우는 같은 온도 범위에서 0.044 nm/$^{\circ}C$로 단주기 격자에 비해 온도 의존성이 4배 이상 컸다. 장주기 격자는 광섬유 코팅의 존재 여부도 온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