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availability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48초

Recent Advances in Amino Acid Nutrition for Efficient Poultry Production - Review -

  • Ishibashi, T.;Oht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8호
    • /
    • pp.1298-1309
    • /
    • 1999
  • The nutritional value of protein varies between feedstuffs. It is possible to feed animals using crystalline amino acids as a sole nitrogen source, but in practice only some limiting amino acids are added to the diet. In order to use feedstuffs efficiently,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exact amino acid requirements. Reported values differ widely because the requirement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 this report, therefore, the factors affecting amino acid requirements are reviewed as follows: 1) availability of dietary amino acids, conversion factors of nitrogen to protein, interaction of amino acids, and strain, sex and age of animals; 2) amino acid requirements for maximum performance and maintenance, usefulness of non-essential amino acids; 3) plasma amino acid concentration as a parameter to determine amino acid requirements; and 4) nitrogen excretion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t is to improve the dietary efficiency, which is to reduce excess nitrogen excretion for environmental pollution.

Voluntary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Oak Leaf Hay and Commercial Mixed Ration

  • Jeon, B.T.;Moon, S.H.;Lee, S.M.;Kim, K.H.;Hudson, R.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5호
    • /
    • pp.702-705
    • /
    • 2003
  • Forest by-product silage (FPS) comprised of foliage, shrubs, and wild grasses was prepared to examine feeding value as sole roughage source for spotted (sika) deer. This diet was compared with imported oak leaf hay (OLH) and a commercial mixed ration (CMR) in digestion balance trials with spotted deer. Dry matter intake was highest (p<0.05) on the OLH, whereas intakes of the FPS and CMR were similar (p>0.05). Digestibility of dry matter was highest (p<0.05) for CMR.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highest in CMR and lowest in OLH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mong diets. Average daily gain, digestible dry matter intake and digestibility of crude fib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diets. Nitrogen intake, urinary and digestible nitrogen were highest (p<0.05) in CMR. However, nitrogen reten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sequently, FPS is a good roughage source for deer having high digestibility, dry matter intake and availability of nitrogen.

검단산 한계농지에서의 토양발생 CO2 및 질소 유효도 (Soil CO2 Evolution and Nitrogen Availability on Abandoned Agricultural Fields at Mt. Kumdan)

  • 손요환;반지연;김래현;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0-115
    • /
    • 2003
  • 한계농지 토양 내의 탄소와 질소의 동태에 관한 연구는 적절한 연구 대상지의 부족으로 지금까지 폭 넓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처의 검단산 일대에서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 과거 논으로 이용되었던 지역, 과거 밭으로 이용되었던 지역 등 세 곳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여기에서 2002년 7월 25일부터 2003년 1월 24일까지 토양 발생 $CO_2$와 무기태 질소의 유효도를 측정하였다. 현재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과 과거 논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은 낙엽활엽수림이고, 과거 밭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은 낙엽성 관목이 주 식생을 이루고 있다. 토양 발생 $CO_2$는 토양 온도의 계절적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기간동안 토양 발생 $CO_2$량 (g $CO_2$/$m^2$/hr)의 평균은 각각 과거 논으로 이용되다. 산림으로 변한 지역이 0.42, 과거 밭으로 이용되다 관목으로 변한 지역이 0.50,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이 0.41로 나타났다. 토양 발생 $CO_2$와 토양 온도는 연구 지역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토양 습도는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였고, 토양 발생 $CO_2$에 대해 토양 습도는 매우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무기태 질소의 유효도는 세 곳의 연구 대상지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토양 수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Effects of Long-Term Fertilization for Cassava Production on Soil Nutrient Availability as Measured by Ion Exchange Membrane Probe and by Corn and Canola Nutrient Uptake

  • Hung T. Nguyen;Anh T. Nguyen;Lee, B.W.;J. Schoena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8-115
    • /
    • 2002
  • The effects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soil properties and nutrient availability are not well documented for cassava cultivation in Vietnam. In 1990, a field research plots were established with 12 treatments to test the effect of different rates of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on soil properties in Acrisols at Thai Nguyen University in Northern Vietnam. In 1999, composite soil samples (0 to 20cm depth) were collected from eight selected plots for measurements of nutrient supply rates by ion exchange membrane probes and for growing corn and canola in a growth chamber with and without added lime. Generally, long-term nitrogen (N) fertilization increased available N supply rates but decreased available potassium (K) and magnesium (Mg). Long-term phosphorus(P) applications increased canola N, calcium (Ca) and Mg uptake. Canola P uptake increased with increased P rates only when lime was added. Long-term K applications increased canola N, K, Ca, Mg uptake but only significantly increased corn N uptake. Liming significantly increased uptake of N, P, K, Ca, Mg and S for both corn and canola. However, N $H_{4-}$N, K and Mg soil supply rates were reduced when lime was added, due to competition between Ca from the added lime and other nutrients.

꽃사슴에 있어서 육림부산물 발효사료의 체내이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ernal Availability of Forest by-product Silage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 문상호;김명화;이상무;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9-176
    • /
    • 2002
  • 육림지에서 생산되는 육림부산물 전체 혼합 물과 개별 수엽류의 사슴용 사료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육림부산물 혼합 사일리지, 칡사일리지, 졸참나무 사일리지 및 갈참나무 사일리지를 급여한 꽃사슴에 있어서 건물 채식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출납을 비교하였다. 건물섭취량은 WOS가 가장 높았고 ARS가 가장 낮았으나, 그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가소화 건물섭취량의 경우는 건물 소화율이 높았던 FBS와 ARS가 건물소화율이 낮은 BOS와 WOS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p>0.05). 건물소화율은 ARS가 가장 높았고 BOS가 가장 낮았으며(P<0.05), 조단백질 소화율도 건물소화율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조섬유 소화율은 FBS와 ARS가 BOS와 WOS에 비해 높았다(P>0.05). 실험사료별 일당증체량은 WOS가 나머지 세 처리구에 비해 약간 많았으나 모든 처리구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P>0.05). 질소섭취량은 ARS가 가장 많았고 BOS가 가장 낮았으며(P<0.05), 분 중 질소의 배출량은 질소섭취량과는 반대로 BOS가 가장 많았고 ARS가 가장 적었다(P<0.05). 뇨 중질소의 배출량은 질소섭취량이 많았던 ARS가 가장 높았고 BOS가 가장 낮아 처리간에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체내 축적된 질소의 양은 FBS가 많았고 BOS가 가장 적었다(P>0.05). 질소섭취량에 대한 체내 축적질소량의 비율은 처리간에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FBS가 43.9%로 이용효율이 가장 높았고 BOS는 24.7%로 이용효율이 가장 낮았다. 이상에서 육림지에서 배출되는 부산물들은 높은 채식성과 체내이용성을 나타내어 사슴용 사료자원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인정된다고 평가되었다.

The Wine Yeast Strain-Dependent Expression of Genes Implicated in Sulfide Production in Response to Nitrogen Availability

  • Mendes-Ferreira, A.;Barbosa, C.;Jimenez-Marti, E.;Del Olmo, M.;Mendes-Faia, 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9호
    • /
    • pp.1314-1321
    • /
    • 2010
  • Sulfur metabolism in S. cerevisiae is well established, but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formation of sulfide remain obscure. Here, we investigated by real-time RT-PCR the dependence of expression levels of MET3, MET5/ECM17, MET10, MET16, and MET17 along with SSU1 on nitrogen availability in two wine yeast strains that produce divergent sulfide profiles. MET3 was the most highly expressed of the genes studied in strain PYCC4072, and SSU1 in strain UCD522. The strains behav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ampling times, with UCD522 and PYCC4072 showing the highest expression levels at 120 h and 72 h,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267 mg assimilable N/l, the genes were more highly expressed in strain UCD522 than in PYCC4072. MET5/ECM17 and MET17 were only weakly expressed in both strains under any condition tested. MET10 and SSU1 in both strains, but MET16 only in PYCC4072, were consistently upregulated when sulfide production was inhibited. This study illustrates that strain genotype could be important in determining enzyme activities and therefore the rate of sulfide liberation. This linkage, for some yeast strains, of sulfide production to expression levels of genes associated with sulfate assimilation and sulfur amino acid biosynthesis could be relevant for defining new strategies for the genetic improvement of wine yeasts.

축사가 밀집된 농촌지역 천부지하수의 질산염 오염특성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n Agricultural area having Intensive Livestock Facilities)

  • 김연태;우남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1호
    • /
    • pp.57-67
    • /
    • 2003
  • 지하수 의존도가 큰 농촌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천부지하수는 오염에 민감하므로, 인간활동에 의한 질산성 질소 오염이 생활용수 공급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농경활동과 함께 다양한 규모의 축사가 운영되고 있는 경기도 일죽지역 천부지하수에 대한 질산염 연구결과, 인위적 오염물질 유입이 예상되는 지점이 77%,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지점이 32~42%로 나타났다. 질소동위원소 분석 결과, 인위적 오염물질 유입이 예상되는 지점은 모두 $\delta^{15}$N-$NO_3$가 5$\textperthousand$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59%지점이 동물분뇨에서 유래된 질소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 천부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주 오염 원인은 밀집된 축사로 밝혀졌으며, 운영이 종료된 축사라도 오랫동안 지하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축종에 따라 오염원의 화학적 특성이 다른데, 지표수게는 그 영향이 나타나지만, 지하로 유입되는 동안 반응에 의하여 일부 용질이 제거되므로 지하수에서는 오염원 차이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Effects of Organic Acids on Availability of Phosphate and Growth of Corn in Phosphate and Salts Accumulated Soil

  • Kim, Myung-Sook;Park, Seong-Jin;Lee, Chang-Hoon;Yun, Sun-Gang;Ko, Byong-Gu;Yang, Jae 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5-270
    • /
    • 2016
  • Accumulated Phosphate can be released by ligand exchange reaction of organic aci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the organic acids on the availability of phosphate and the growth of crop in phosphate and salts accumulated soil.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armer's plastic film house. Available phosphat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were $3,005mg\;kg^{-1}$ and $16.63mg\;kg^{-1}$ which were 6 and 8 times higher than the optimum range of soil for crop growth, respectively. Corns were cultivated in pots for 2 months. Treatments were no treatment (control), phosphate fertilizer (P), citric acid (CA) 1, 5, 10 mM, and oxalic acid (OA) 1, 5, 10 mM. Water soluble phosphorus, available phosphate, corn growth and uptake were determined after cultivation. Results showed that organic acids increased water soluble phosphorus and available phosphate. For the level of 10 mM, the order of effectiveness of organic acids for water soluble P was citric acid (44%) > oxalic acid (32%). Height and dry weight of corn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treatment of citric acid 1 and 5 mM. Also, corn absorbed more phosphorus, nitrogen,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in the treatment of citric acid 1 mM than these of other treatments. Even though phosphate availability of soil was enhanced by addition of citric acid 10 mM, the growth of corns decreased because high concentration of citric acid caused salt damage by increas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 Thus, the citric acid of 1 mM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availability of phosphate and the healthy growth of corns.

질소량, 온도, 수분포텐셜 조절에 따른 보리유묘의 질소흡수 및 체내동화 (N Uptake and Assimilation of Barley Seedlings as Affected by N Availability, Temperature and Water Potential)

  • 김석동;권용웅;소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58-465
    • /
    • 1993
  • 양액재배를 통하여 질소가급도와온도 및 수분부족 조건에 따른 유모기 보리의 질소 흡수 및 동화와 생장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의 질소 흡수량은 양액의 질소가급도가 160ppm까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흡수된 질소의 동화는 80ppm에서 최고에 달하였고, 이보다 높아졌을 때는 체내에 무기능질소로 축적되었다. 2. 유묘기(3~4엽기)보리의 질소동화 및 건물생산은 엽중 질소농도가 약 3.4%일 때 최고에 달아혔다. 3. 유묘기 보리의 질소 흡수는 -2bar 이하의 수분 포텐셜 조건 또는 5$^{\circ}C$이하의 온도조건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상온 조건에서 혐기 소화 상징액을 이용한 아질산화 반응과 운전 인자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between operation factors and nitritation using anaerobic digester supernatant at ordinary temperature)

  • 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4-249
    • /
    • 2016
  • 혐기 소화 상징액은 고농도 질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수처리 계통으로 반송되어 하수처리장 유입 부하를 증가시킨다. 혐기 소화 상징액 내 고농도 질소를 아질산화 반응을 통해 처리하게 된다면, 경제적인 하수처리장 개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혐기 소화 상징액을 이용한 장기간 실험실 규모 반응조 운전을 실시하였다. 운전 결과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 90% 이상과 아질산화율 70% 이상 효율을 보이는 운전 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운전 인자와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효율 및 아질산화율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운전 결과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효율과 아질산화율은 미생물 체류시간 (SRT), 암모니아성 질소 부하 및 단위 미생물 농도 (MLSS) 당 암모니아성 질소부하와 관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혐기 소화 상징액의 아질산화 반응 유도에 중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아질산화 반응의 활용성을 증가시킬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