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scavenging ability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2초

결명자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Nitro-scavenging Effects by the Component of Cassiae Torae Semen)

  • 도정룡;김선봉;박영호;박영범;최재수;김동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6-529
    • /
    • 1993
  • 전통기호음료성분에 의하여 나타나는 기능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결명자의 메탄올 추출물을 유기용매에 의한 분획,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여러가지 획분으로 분획하여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조사한 결과, 아질산염 소거율은 ethyl acetate 획분>chloroform 획분>수용성 획분>ethyl ether 획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ethyl acetate 획분에서 분리한 compound D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매우 강력하여 ascorbic acid보다 10배 뛰어났다.

  • PDF

천연식품성분에 의한 의한 발암성 니트로사민생성인자 분해작용 2. 해조유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2.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Seaweed Extracts)

  • 김선봉;안장원;염동민;이동호;박영호;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9-475
    • /
    • 1987
  • 일상 식생활에서 널리 섭취하고 있는 해조류를 사용하여 니트로사민의 직접적인 생성인자인 아질산염 분해작용에 관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들의 아질산염 분해능은 김${\cdot}$파래 등은 수용성획분과 methanol 가용성획분에서, 미역${\cdot}$청각 등은 methanol 가용성획분에서 그 분해능이 높게 나타났다. 2. 반응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분해능은 pH 1.2에서 가장 컸으며, pH가 증가할수록 분해능은 감소하였다. 3. 각 시료를 10mg씩 취하여 얻은 아질산염 분해능은 동량의 L-ascorbic acid와 비교한 경우, 김과 파래는 pH 1.2에서 L-ascorbic acid와 거의 비슷한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4. 각 시료를 $NaBH_4$로 처리하여 환원능을 소실시킨 후에 측정한 아질산염 분해능은 pH 1.2에서 시료 모두 그 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 PDF

석이버섯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enta)

  • 정은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26-43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oxdative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enta. The phenolic compounds of diethylether, butanol, petroleum ether and hexane extracts were 194.20$\mu\textrm{g}$/ml, 98.80$\mu\textrm{g}$/ml, 1.60$\mu\textrm{g}$/ml and 0.20$\mu\textrm{g}$/ml, respectively.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diethyleter and butanol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aenta were 80.79% and 72.81%, respectively. Absorption of DPPH by diethyleter and butanol extracts sharply increaed at initial stag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iethylether and butanol extracts by peroxide values are rather high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but low s compared to those of BHA.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diethylether, butanol and petroleum ether from Gyrophora esculenta were 96.07%, 77.39% and 15.07%, respectively.

  • PDF

기호음료 성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the Component of Traditional Tea Materials)

  • 도정룡;김선봉;박영호;박영범;김동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30-534
    • /
    • 1993
  • 전통기호음료성분의 기능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결명자, 들깨, 대추, 모과, 오미자, 오갈피 및 생강 추출물을 여러가지 획분으로 분획하여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조사한 결과,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모두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있었으며, 수용성 획분을 에탄올 가용성 획분이 에탄올 침전획분으로 분획하였을 때, 결명자, 들깨, 오갈피, 생강의 경우에는 에탄올 가용성 획분이 에탄올 침전획분보다 아질사염 소거작용이 뛰어났으며 대추, 모과, 오미자의 경우에는 그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료 추출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환원성 물질의 관여도 클 것으로 생각되어 전자공여작용을 조사해 본 결과, 기호음료 원료에서 추출한 수용성 획분의 전자공여 작용은 오갈피>들깨>모과>생강>대추>오미자>결명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침전획분과 에탄올 가용성 획분의 전자공여효과도 아질산염 소거효과와 경향이 일치하였다.

  • PDF

복령(Poria cocos) 균사체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oria cocos)

  • 김대곤;손동화;최웅규;조영석;김수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97-1101
    • /
    • 2002
  • 복령 균사체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알아보고자 복령균사체와 복령쌀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fish oil에 대한 지방산화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복령균사체 및 복령쌀 첨가구가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복령균사체 및 복령쌀 추출물은 합성항산화제인 BHA보다는 약간 높은 TBARS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24시간째 BHA첨가구0.22MDA ppm에 비하여 복령균사체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0.43 MDA ppm,0.3,3 tfl)A ppm을 나타내어 BHA 첨가구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나. 복령균사체 및 쌀의 Fe$^{2+}$, Cu$^{2+}$ 대한 금속이온 봉쇄작용은 복령 쌀보다는 복령균사체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복령쌀에서는 25% 미만인 반면 복령균사체에서는 열수와 에탄을 추출물에서 각각 76.8, 79.9%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유사활성은 모든 처리구에 서 25% 미만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HA에서는SOD유사찰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아질산염의 소거작용은 열수추출보다는 에탄을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복령균사체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가공조건에 따른 볶음보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Roasted-barley Extracts according to Processing Conditions)

  • 김선봉;도정룡;이용우;구연숙;김창남;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48-752
    • /
    • 1990
  • 전통 기호음료의 하나인 볶음보리 추출물을 사용하여 발암성 니트로사민의 직접적인 생성인자인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볶음보리 추출물의 수율은 볶음온도와 볶음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30^{\circ}C$에서 60분간 볶았을 때에 수율이 가장 많았으며, 이 때의 수율은 28.5%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 3.0에서는 반응시간과 더불어 증가하였고, pH6.0에서는 2시간 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볶음보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볶음온도와 시간에 영향을 받았으며, 수용성획분의 경우 $230^{\circ}C$에서 볶음 보리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획분을 에탄올 침전획분과 에탄올 가용성획분으로 나눈 경우, 에탄올 가용성획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가장 강한것으로 나타났다. 볶음보리 추출물과 디메칠아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조사해 본 결과, 반응시간이 3시간 되었을 때 볶음보리 추출물에 의해서는 아질산염을 거의 100% 소거시켰으나, 디메칠아민은 30% 소거시켜, 발암성 니트로사민 생성억제에 볶음보리 추출물이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 PDF

Herb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검색 (Screening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ome herbal extracts)

  • 정해정;노경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2-377
    • /
    • 2000
  • Applemint, geranium, lemonbalm, rosemary, sage, thyme등 6종 herb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물 및 95% methanol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의 전자공여능, 항균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전자공여능은 60.7∼92.2%로 95% methanol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고 geranium, sage, lemonbalm, thyme, rosemary, applemint 순으로 작용이 우수하였다. 각종 herb추출물의 항균력은 물보다 methanol추출물이 우수하였고 gram음성균보다는 양성균주에서 효과적이었으며 geranium과 rosemary 공시균주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분획별 항균력 측정결과 geranium은 극성용매 분획에서, rosemary는 비극성 용매 분획에 항균력이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역시 물추출물 보다는 methanol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pH 1.2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포도씨의 총페놀 성분,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소거능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예측 (Prediction of the Optimum Conditions for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Grape Seed)

  • 이은진;김정숙;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6-551
    • /
    • 2011
  • 포도씨에 함유된 항산화 및 아질산염소거성분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고자, 추출조건(microwave power 0~120 W, 에탄올 농도 0~100%, 추출시간 1~5 min)을 독립변수로 하고 조건별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소거능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 분석함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의 $R^2$는 0.8024-0.9498 범위로 나타났다. 추출물 기능성분들의 최대 예측값과 최적 추출조건은 총페놀 함량의 경우 3.19%(microwave power 142.32W, 에탄올농도 44.30%, 추출시간 4.23 min)와 항산화능의 경우 1.22(84.44W, 56.60%, 3.28 min)로 나타났다. 그리고 pH 1.2~3.0에서 99.5% 이상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인 추출물의 최적 추출조건 범위는 microwave power 30.80~106.58W, 에탄올 농도 49.32~55.18%, 추출시간 3.72-4.58 min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높은 상관성을 보이면서 microwave power에, 아질산염소거능은 에탄올 농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식품성분에 의한 발암성 니트로사민생성인자 분해작용 l. 야채유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1.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 김동수;안방원;염동민;이동호;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3-468
    • /
    • 1987
  • 일상 식생활에서 널리 섭취하고 있는 야채류를 사용하여 니트로사민의 직접적인 생성인자인 아질산염 분해작용에 관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늘, 산초, 생강, 양파 및 파 둥은 수용성획분에서 당근은 methanol 가용성획분에서 각각 아질산염 분핵능이 높게 나타났다. 2. 반응용액의 pH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분해능은 pH 1.2에서 가장 컸으며, pH가 증가할수록 분해능은 감소하였다. 3. 각 시료를 10mg씩 취하여 얻은 아질산염 분해능을 동량의 L-ascorbic acid와 비교한 경우, 마늘과 산초가 수용성획분에서 L-ascorbic acid와 거의 비슷한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4. 각 시료를 $NaBH_4$로 처리하여 환원능을 소실시킨 후에 측정한 아질산염 분해능은 pH 1.2에서 시료 모두 모두 그 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 PDF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 강윤한;박용곤;이기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1996
  • 천연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각종 폐놀성 화합물은 니트로화 반응의 저해제로 관여하거나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종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화합들의 농도를 $0.1mM{\sim}6mM$용액을 조제한 후, 이 액 일정량을 이용해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을 비교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율에서 phenolic acid류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일부는 pH 1.2, 3.0에서 flavonoids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에서 phenolic acid류 가운데 hydroxybenzoic acids는 gallic acid> gentisic acid> syringic acid> protocatechuic acid> salicylic acid> vanillic acid> benBoic acid>p-hydroxy benzo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cinnarnic acids가운데 전자공여능의 크기는 hydrocaffe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p-coumaric acid>trans-cinnam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flavonoids 가운데에서는 (+)catechin> rutin> quercetin>naringin=hesperidin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nnic acid를 포함한 기타 phenol성 화합물에 없어서도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