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land

검색결과 1,730건 처리시간 0.025초

중소도시의 기존 대체농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화성동탄 신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ubstituted Agricultural Land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 Focused on the Dongtan new town in Hwa-seong city -)

  • 김용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51-5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and analyze the utilization of the substituted agricultural land in the Dongtan new town in Hwa-seong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respect of the land efficiency and utilization, the need of the agricultural land in the Dongtan has shrunk. Therefore, the land should be reconsidered and developed as other purposes. The land could be developed as the weekend farm for the city people. The weekend farm is currently gaining popularity because the citizens want to not only experience the nature but also get a healthy food. So, the land in the new town could provide them with a good place. And the Han-ok(Traditional Korean style housing) is recently in the limelight of many people because of its healthy function and the special aesthetic, so the agricultural land of Dongtan could be a great opportunity to develop the Han-ok village. Lastly, the logistics center for agricultural products could be proposed. Because the traffic condition of the new town is satisfactory, the land is idealistic as the logistics center which connect the capital with the local. These practical uses of agricultural land in the Dongtan new town will be able to provid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area and develop the land more efficiently.

대지예술의 재조명 -조경에서의 예술적 담론의 가능성- (A New Perspective on Land Art : Towards a Artistic Discourse in Landscape Architecture)

  • 최경원;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1-193
    • /
    • 1998
  • Land art has always ben considered as a similar but distinctly separate field from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hs look to land art for inspiration and new concepts, but has always hesitated to define their field as an "art." But as more and more design projects for social spaces are being commissioned to artists, especially land artist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fields are starting to blur. "Art or Social service\ulcorner" has been a question that has been asked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out the 20 th century. By reviewing the concepts behind various land art projects, this paper seeks to undermine several misconceptions that has prevented landscape architects from wholeheartedly embracing land art as a expansion of their own field. Land art, as a new form of sculpture, sought to create art forms that were not looked at but experienced from the inside. Land art challenges the principle of the picturesque and the pictorialized view of nature. Land art was influenced by a new interest in prehistoric art, and sought to reestablish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public. Also, land artists acknowledge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art and presents the concept of art as a community activity. As can be seen by the concepts behind the works of land artists, the dichtomy of the artistic and social aspects of landscape architecture can be reconciled, and land art can serve as a model for a expanded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dscape architecture.

  • PDF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내 신교통시스템 도입효과 분석 (Analysis of New Transit System Effect in Large Scale Land Development Projects)

  • 김태균;장인석;이영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124
    • /
    • 2010
  • 이 연구는 신도시 및 대규모 택지개발 지구내 신교통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예상되어지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적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신교통 시스템 및 유형별 복합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신교통 시스템 도입이 기존의 대중교통체계 및 간선도로를 대체함으로써 발생되어지는 사회적 편익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신교통시스템 도입은 교통혼잡비용 감소, 탄소저감, 각 지자체의 친환경적 정책 입안에 뚜렷하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신교통시스템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는 신교통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지자체에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여건에 부합하는 신교통 시스템 유형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지자체의 무분별한 신교통시스템 도입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 의한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혼성적 환경설계의 기원과 전개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Hybrid Environmental Design)

  • 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12
    • /
    • 2008
  •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탈근대의 사회와 문화는 새로운 환경설계의 문법을 요구하고 있었고, 당대에 등장한 대지예술은 새로운 혼성적 설계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대지예술의 영향아래 건축으로부터 시작된 지형적, 경관적 접근은 환경설계 전반에 장르간 혼성화의 큰 흐름을 일으켰다. 대지예술과 지형건축의 영향을 받은 조경에서는 신픽쳐레스크 조경이 등장하게 되었고, 조경의 영향을 받은 도시설계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이 태동되었다. 이러한 환경설계 전반에 걸친 땅과 경관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함께 동시대 도시의 유동적 도시활동과 동태성이 중시되면서 시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들 땅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들은 혼성적 환경설계장르들의 작업에 필요한 새로운 방법론들을 안출해 내게 하였는데 맵핑과 다이어그램, 폴드가 그것이다. 이들 세 가지 방법론은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폴드는 모든 혼성적 장르에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다이어그램은 지형건축과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으며, 맵핑은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고, 대지조형적 조경에서는 소극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맵핑이 가지는 진보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론이 개별적이고 주관적이어서 보편적 적용이 어려운 이유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은 현대도시상황으로 보아 매우 시의적절한 대안적 방법이며, 혼성의 포괄성과 지역성 구현에서 매우 높은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조경분야가 도시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 향후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가에 의한 도심 경계 설정의 타당성 및 도심의 지가 변화 (The Validity of Delimitation of City Center by Land Values and the Change in the Land Values of City Center)

  • 박지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66-37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로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의 특성 및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를 대상으로 2000년과 2015년의 표준지공시지가를 활용하여 도심 경계를 설정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의 지가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 8%와 10%를 적용해보았을 때 기존 연구의 도심 경계보다 도심의 범위가 넓게 추정되었다.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로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은 시간의 흐름 또는 각 도시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둘째, 도심의 지가가 주변지역까지 미치는 파급력은 원도심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고지가지점(PLVI)이 신도심으로 이전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도심의 지가가 많이 상승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앞으로 부산시의 신도심 지역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토지 관리를 위한 지속가능한 기술 (Sustainable Technology for Land Management)

  • 김영학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213-231
    • /
    • 2017
  • 새로운 공간기술의 발달은 현 토지 관리의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미래 토지 관리의 효율성뿐 만아니라 지속성까지도 고려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토지관리 및 지속성에 직면한 도전은 무엇이며, 양자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지? 토지 관리를 위한 지속가능한 기술은 무엇인지? 그리고 지속성의 도전과 기술을 어떻게 토지 관리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지? 등의 의문을 제기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지 관리를 보다 더 효율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기술을 조사 및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토지 관리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지속가능성 및 토지 관리의 도전이라 할 수 있는 수용능력(capacity), 안전성(security), 정보기술자원(IT resource), 새로운 장치(new device), 표준(standards), 투명성(transparency), 자료의 접근(access to data) 등을 고려하여 토지 관리를 위한 지속가능한 기술을 기술하고 접근하고자 한다.

MODIS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지면피복 분류 (Classification of Land Cover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MODIS Data)

  • 강전호;서명석;곽종흠
    • 대기
    • /
    • 제19권2호
    • /
    • pp.169-182
    • /
    • 2009
  •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limate and numerical models, concerns on the land-atmosphere schemes are steadily increased in recent years. For the realistic calculation of land-atmosphere interaction, a land surface information of high quality is strongly required. In this study, a new land cover map over the Korean peninsula was developed using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data. The seven phenological data set (maximum, minimum, amplitude, average, growing period, growing and shedding rate) derived from 15-day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ere used as a basic input data. The ISOData (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a kind of unsupervised non-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seven phenological data set. After the clustering, assignment of land cover type to the each cluster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land cover defined by USGS (US. Geological Survey). Most of the Korean peninsula are occupied by deciduous broadleaf forest (46.5%), mixed forest (15.6%), and dryland crop (13%). Whereas, the dominant land cover types are very diverse in South-Korea: evergreen needleleaf forest (29.9%), mixed forest (26.6%), deciduous broadleaf forest (16.2%), irrigated crop (12.6%), and dryland crop (10.7%). The 38 in-situ observation data-base over South-Korea, Environ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Google-earth are used in the validation of the new land cover map. In general, the new land cover map over the Korean peninsula seems to be better classified compared to the USGS land cover map, especially for the Savanna in the USGS land cover map.

환경부 토지피복도 사용여부에 따른 예측 SWAT 오류 평가 (Analysis of SWAT Simulated Errors with the Use of MOE Land Cover Data)

  • 허성구;김남원;유동선;김기성;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4-198
    • /
    • 2008
  • Significant soil erosion and water quality degradation issues are occurring at highland agricultural areas of Kangwon province because of agronomic and topographical specialities of the region. Thus spatial and temporal modeling techniques are often utilized to analyze soil erosion and sediment behaviors at watershed scale.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is one of the watershed scale models that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se ends in Korea. In most cases, the SWAT users tend to use the readily available input dataset,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land cover data ignoring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land cover.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of the MOE land cover data are not good enough to reflect field condition for accurate assesment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behaviors. Especially accelerated soil erosion is occurring from agricultural fields, which is sometimes not possible to identify with low-resolution MOD land cover data. Thus new land cover data is prepared with cadastral map and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s of the Doam-dam watershed. The SWAT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with this land cover data. The EI values were 0.79 and 0.85 for streamflow calibration and validation, respectively. The EI were 0.79 and 0.86 for sedime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respectively. These EI values were greater than those with MOE land cover data. With newly prepared land cover dataset for the Doam-dam watershed, the SWAT model better predicts hydrologic and sediment behaviors. The number of HRUs with new land cover data increased by 70.2% compared with that with the MOE land cover, indicating better representation of small-sized agricultural field boundaries. The SWAT estimated annual average sediment yield with the MOE land cover data was 61.8 ton/ha/year for the Doam-dam watershed, while 36.2 ton/ha/year (70.7% difference) of annual sediment yield with new land cover data. Especially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estimated sediment yield was 548.0% for the subwatershed #2 (165.9 ton/ha/year with the MOE land cover data and 25.6 ton/ha/year with new land cover data develop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use of MOE land cover data in SWAT sediment simulation for the Doam-dam watershed could results in 70.7% differences in overall sediment estimation and incorrect identification of sediment hot spot areas (such as subwatershed #2) for effective sediment managemen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one needs to carefully validate land cover for the study watershed for accurate hydrologic and sediment simulation with the SWAT model.

  • PDF

국내외 지목체계 운용실태 연구에 관한 새로운 시각 (A New Perspectives on the Research of Domestic and Overseas Land Category System)

  • 류병찬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2호
    • /
    • pp.151-167
    • /
    • 2019
  • 한국의 현행 지목 분류 체계로는 복잡하고 다양하게 사용하는 토지의 이용 현황을 정확하게 지적공부에 등록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 지목 분류 체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2013년에 신승우 외 4인이 '국내외 지목체계 운영 실태 연구'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6개국의 '지목'과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을 동일선 상에서 비교하고, 일부 사실이 아닌 내용이 서술되어 있어, 이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독일·일본·대만의 지목 분류 체계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대안이 제시되길 기대하며, 향후 연구 과제로 독일과 대만의 지목 분류 체계의 변천연혁을 연구하여 한국의 지목 분류 체계 개선에 참고할 것을 제안한다.

중국의 토지비축제도 운영 메커니즘과 운영모델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Models and the Management Mechanism of the Land Storage System of China)

  • 김창경
    • 토지주택연구
    • /
    • 제9권1호
    • /
    • pp.19-2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mplication for new perspectives and concrete approaches to Korean Land Banking by analyzing the role of the Land Bank and the Land Storage System in the formation of Chinese Land Market, Land Management, and City Management. Time scope of this research focused on Chinese reform and opening since 1978, when study of land bank began to be actively performed in China. Research targets were Land Bank and Land Storage System related to Chinese Land System, and this research targeted Chinese Land Storage System as research object, which seem to have similar tendency to Korean Land Banking System, after examining the concept of Land Bank and Land Storage System. As th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arranged the contents and changes of policy based on discussed research documents over Chinese Land Bank and Land Storage System till today since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Lat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alistic reflection and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problems through the operational mechanism and concrete case study of Chinese Land Storage System, a similar policy to Korean land bank, the researchers will look into the reality reflected and will carry out a in-depth study of the problems. China has established its characteristic soci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partly adopting the concept of capitalism, supporting socialism. This way,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such socialistic economic factors with strong welfare aspects can be adopted also in Korea, where capit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is maintained, and be utilized as a new measure for development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