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New Transit System Effect in Large Scale Land Development Projects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내 신교통시스템 도입효과 분석

  • 김태균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장인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영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0.22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is study is evaluating that new hi-tech transit systems each type of function and introduce applicable guideline decreases land sale price in New town and Large scale land development projects. For this, use the look-up table through the composite category of each type of system at the functional types, local characteristics. It also, As introduce the new systems calculate the Social benefits such as altered public traffic transfer system, reduced transit time and reduced carbon emission considering the three-dimensional arterial roads. As a result, New transportation systems contribute that the more reducing traffic congestion and air pollution and municipalities seeks for environment-friendly policy. However, this paper emphasize that the new transport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and the efficient arrangement of them, it cannot be transferred the to the existing public traffic efficiently, futhermore causes the sale price in new large scale land development projects.

이 연구는 신도시 및 대규모 택지개발 지구내 신교통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예상되어지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적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신교통 시스템 및 유형별 복합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신교통 시스템 도입이 기존의 대중교통체계 및 간선도로를 대체함으로써 발생되어지는 사회적 편익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신교통시스템 도입은 교통혼잡비용 감소, 탄소저감, 각 지자체의 친환경적 정책 입안에 뚜렷하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신교통시스템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는 신교통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지자체에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여건에 부합하는 신교통 시스템 유형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지자체의 무분별한 신교통시스템 도입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 의한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예산정책처(2008), 국내 신교통시스템 도입 절차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2. 국토해양부(2008), 울산시 2015년부터 노면전차 운행
  3. 교통개발연구원(1996), 부산광역시 신교통수단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4. 김현, 김창균, 김연규(2006), 일본 신교통수단 운영사례의 시사점, 교통기술과 정책 제3권 제4호.
  5. 박광복, 한국환(2003), "우리나라 경전철 도입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6. 박영곤, 윤희택, 목재균(2007),"신교통수단 바이모달 트램의 안전운행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7. 부산교통공사(2009), 반송선 경전철의 안전성 및 운영방안
  8. 송달호, 김종현, 김남호(2006),"소형궤도차(PRT) 가이드웨이의 수송용량에 대한 고찰", 한국철도학회.
  9. 신종현, 김시곤(2004),"신도시 건설에 따른 신교통수단 시스템 선정방안", 한국철도학회.
  10. 이준, 김경태, 문대섭, 이진선(2006), "소형궤도 열차시스템의 국내 적용방안 연구", 한국철도학회.
  11. 오종우, 오승훈(2007),"모노레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12. 전배운, 유제남, 이웅희(2007),"대구도시철도 3호선 차량시스템 선정", 한국철도학회.
  13. 정락교, 조홍식, 김연수, 정상기, 이안호(2003), "소형 궤도열차의 현황 및 가능성" 한국철도학회.
  14. 한국토지공사(2004), 성남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 신교통수단 타당성조사.
  15. 한국교통연구원(2007), 유럽주요도시의 신교통수단 운영사례 및 시사점.
  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8), 경전철 현황 및 성공적인 사업추진 방안.
  17. 한성육(2002),"국내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적용가능한 경전철 시스템에 관한 조사비교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Michael Taplin (1997), Light Rail in Europe, Capital Transport
  19. Shigeru Morich i(1992), New Transport Systems in Japan & Philippines, International Symposium & Exhibition on Automated Guided Transit.
  20. V.R. Vuchic (1981), Urban Public Transportation, Prentice-Hall TRB-1985, Highway Capacity Manual, Special Report.
  21. V.R.Vuchic (1992), The Role of Automated Guided Transit Systems in Urban Transportation, International Symposium & Exhibition on Automated Guided Trans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