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tral volatile compound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식용 돼지췌장 리파제가 체다치즈의 중성 휘발성 성분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Grade Porcine Pancreatic Lipase on Neutral Volatile Compound Profiles in Cheddar Cheese)

  • 곽해수;전익준;정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6-214
    • /
    • 1990
  • 식용 돼지췌장 리파제가 체다치즈에서 중성 휘발성 성분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치즈 제조시 이 효소를 두 가지 함량으로 혼합하여 여러 온도에서 숙성시켰다. 2-butanone의 생산은 효소의 양과 숙성온도를 높였을 때 증가했으나, 2-pentanone의 생산은 숙성기간 중에 일관성이 없었다. Acetaldehyde는 aldehyde 중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일관성 있게 증가하였다. Alcohol 생산에서는 ethanol이 가장 높았지만 숙성 6주 후에는 일관성 있는 증가가 없었다. Ethylbutyrate는 ester중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리파제의 활성도와 숙성온도에 연관이 있었다. Dimethyl sulfide는 유일한 유황 성분이었지만 리파제의 첨가와 숙성온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결과 치즈 숙성 중에 ethyl butyrate와 체다풍미가 유의성 있는 상호관계가 있었다.

  • PDF

저장중 요구르트의 향미성분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olatile Flavor Compound on Yogur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곽해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39-943
    • /
    • 1995
  • 본 실험에서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bifidum, Streptococcus salvarius subsp. thermophilus의 혼합균주를 이용한 호상 요구르트의 제조시 $10^{\circ}C$에서 15일간의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미성분과 요구르트 향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diacetyl을 제외한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2-butanone과 2-heptanone의 함량은 지속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다. 그 중 acetaldehyde, acetone과 ethanol 성분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호상 요구르트의 향미는 15일간의 저장기간동안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관능검사에 따른 이취는 증가하였다. 요구르트의 휘발성 향미 성분과 관능검사결과와의 상관 관계는 acetone과 향미와는 (-)의 관계로, ethanol과 이취와는 (+)관계로 나타났으며, 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10^{\circ}C$에서 15일간의 저장기간에 따른 호상 요구르트의 휘발성 성분 함량과 요구르트의 향미 변화를 조사한 결과, 15일간의 저장은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물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다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해 (Degrad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Mixtures Using a Biofiltration System)

  • 윤인길;박창호
    • KSBB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501-506
    • /
    • 2000
  • A bench-scale air biofilter was evaluated for the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a gas stream. Compost and peat were used as the biological attachment media. Biofilter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incoming VOCs concentrations, temperature, and packing materials were examined. After 26 days of acclimation periods, at 25$^{\circ}C$ and 45$^{\circ}C$, the biofilter removed more than 90% of 30 to 72 mg/㎥ of total VOC. After 40 days of operation, the concentrations of isoprene, toluene, and m-xylene were reduced to 96∼99, 91∼93, and 91∼93% of the original concentrations. VOC removal efficiency was not affected by the temperature. The medium pH was maintained near neutral (pH 6.5∼7.1). After 37 days of operation, the total bacteria count in the biofilter media increased to 1.12${\times}$10(sup)8 cells/g of medium.

  • PDF

SPME법에 의한 죽초 및 목초액 중의 휘발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Bamboo and Wood Crude Vinegars by the Solid-Phase Microextracion(SPME) Method)

  • 문성필;구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80-86
    • /
    • 2002
  •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맹종죽 (Phyllostachys pubescens) 및 소나무 (Pinus densiflora)로부터 제조한 미정제 초액의 휘발성 성분을 고상(固相) 미량추출(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초액 중의 휘발성화합물 분석을 위하여 극성 (CBP 20) 및 무극성 (CBP 1) 칼람을 사용하였으며, 이로부터 총 264개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이들 성분들 중 주요 화합물은 2-butanone, acetic acid, guaiacol, phenol, 4-ethyl guaiacol, cresol류, 4-ethyl phenol, 그리고 syringol이었다. 무극성 칼람을 사용함에 의하여 7개의 성분, 즉, 1-hydroxy-2-butanone, ethisolide, furfuryl acetate, 1-(2-furanyl)-1-propane, 1,2-dimethoxybenzene, 1,2-dimethoxybenzyl alcohol, phenyl acetate를 새로이 동정할 수 있었다. 이 성분들 중 페놀류가 주성분이었으며, 휘발성 성분의 49~65%를 차지하였다. 죽초액의 경우 페놀류의 비율은 다른 두 목초액보다 낮았다. 그러나 중성화합물류 및 유기산류는 소나무 및 졸참나무로부터 제조한 목초액보다 그 비율이 더 높았다. 따라서 이들 죽초액과 목초액 간의 훈취의 차이는 목초액의 서로 다른 휘발성분의 함유량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음식물쓰레기 소멸제의 쓰레기 소멸특성에 관한 연구( I ) (A Study on the garbage decomposing Characteristics of the garbage-decomposing accelerant( I ))

  • 홍정희;안용근;정진도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1호
    • /
    • pp.58-67
    • /
    • 2003
  •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garbage-decomposing accelerant, Raw Material of Pomia(RMP), Pomia and Vitabio. were analyzed. In HPLC pattern, Pomia and Vitabio showed main peak of about 30kDa in 280nm wave length. RMP, Pomia and Vitabio showed three, two and two peaks in 210nm. K and Na ion content of RMP were 2,620 and 1,590ppm, respectively, and their content were the largest one among others. Ca, Mg and Mn ion content of RMP were also the largest one, but Zn ion content was the least one. $Cl^{-}$, $F^{-}$ and $NO_3^{-}$ ion content of RMP were the largest one, especially $Cl^{-}$ content was 3,553ppm. pH values of RMP and Pomia were in neutral region, but Vitabio was 9.03. Dried residue content of RMP, Pomia and Vitabio were 1.4%, 0.55% and 0.4%, respectively.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on PCA plate from RMP, Pomia and Vitabio were 2.2{\times}10^{6}cfu/ml,{\;}6.5{\times}10^{3}cfu/ml{\;}and{\;}1.1{\times}10^{3}cfu/ml$, respectively. The number of facultative anaerobes of RMP was $4.4{\;}{\times}{\;}10^{4}cfu/ml$, and it was biggest one. Lactobacilli and yeasts were found less than 10cfu/ml at best. The bacterium exists in RMP in high frequency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Volatile sulfur compound amount of garbage samples treated with Pomia and Vitabio in concentration of 1/500 at $33^{\circ}C$ for 8 days were 1,273ppb and 1,902ppb, respectively, and control showed 3,015ppb. Volatile organic compound amount of the garbage samples treated were 68,312ppb, 124,317ppb and 263,954ppm, respectively. Diethylamine that known as malodor compound were 5,107ppb, 261ppb and 11,124ppb, respectively.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암모니아 직접 연소를 통한 배기가스 특성 (Characteristics of Flue Gas Using Direct Combustion of VOC and Ammonia)

  • 김종수;최석천;정수화;목진성;김두범
    • 청정기술
    • /
    • 제28권2호
    • /
    • pp.131-137
    • /
    • 2022
  • 현재 반도체 공정에서 다양한 by-product 및 미사용 가스가 배출되고 있다.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기는 일반적으로 유기, 산, 알칼리, 열, 캐비넷 배기 등으로 분류하며, 각각의 배기 특성에 맞는 대기 방지설비에서 처리 후 배출된다. 유기 배기 물질로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은 산소 함유 탄화수소, 유황 함유 계 탄화수소 및 휘발성 탄화수소를 총칭하는 물질이고, 알칼리 배기의 주요성분은 암모니아(NH3),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기와 알칼리 배기가스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 직접 연소 및 로 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연소 특성 파악하고 NOX 저감률을 분석하고자 진행하였다. VOC는 Acetone, IPA(isopropyl alcohol), PGMEA(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을 사용하였으며, 알칼리 배기 대표 물질로는 암모니아를 사용하였다. 실험 변수로는 온도와 당량 비(equivalence ratio, ER)로 배기가스 특성을 살펴보았다. 물질별 단독 및 혼합 연소테스트를 진행하였다. VOC 단독 테스트 결과 당량 비 1.4 조건에서 완전 연소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암모니아는 당량 비 감소에 따라 산소 및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혼합 연소 운전 결과 배기가스 조성 내 질소산화물의 대부분은 일산화질소였으며 이산화질소는 10 ppm 부근으로 검출되었다. 전체적으로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반응온도가 증가하면서 산화반응이 활성화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나지만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전기열원을 적용한 무 화염 연소 기술을 적용하였을 때 VOC 및 암모니아 연소가 원활하게 일어남으로써 현재 별도로 운전되는 유기 및 알칼리 배기 시스템보다 경제성 및 공간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마늘의 alcohol 침지 중 휘발성 향기성분과 침출유리아미노산 함량 (Elution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during Alcohol Soaking of Garlic(Allum sativum L.))

  • 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86-292
    • /
    • 2007
  • 마늘주의 산업화에 앞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마늘을 소주 등의 술에 침지하였을 때 마늘의 휘발성 기능성분과 유리아미노산이 술로 침출되는 정도 및 형태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생마늘을 20% 주정에 5주간 침지하고 매주 휘발성 향기성분과 유리아미노산들이 침출되는 양적 및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마늘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L-aspartic acid, L-glutamic acid, L-arginine, L-alanine, L- proline, L-asparagine 및 L-serine이었으며, 유리 아미노산들 모두 침지 기간의경과에 따라 침출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threonine, L-proline, L-valine 및 L-leucine 등의 중성아미노산들과 방향족아미노산인 tyrosine과 phenylalanine은 3주 후부터 80% 이상 침출된 반면에, 산성, 염기성 및 함황아미노산들은 5주 후에도 80% 미만이었다. 생마늘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2-vinyl-4H-1,3-dithiin, 3-vinyl-3,4-dihydro-1,2-dithiin, 3,5-diethyl-1,24-trithiolane, isobutyl isothiocyanate 및 diallyl sulfide 등의 황화합물들이 주요 성분들이었다. 생마늘로부터 주정으로 침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allyl alcohol, diallyl d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 diallyl trisulfide, 3,4-dimethoxyfuran의 5종이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3,5-diethyl-1,2,4-trithiolane는 계속 침출량이 증가하였지만 그 외 4종은 감소하였다. 침 지기간 중 furfural, 5-methylfurfural, 5-hydroxymethylfurfural, 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3-hydroxy-2-bytanone과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이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침출주에 대부분 축적되는 양상을 보였다.

Microencapsulated Iron Fortification and Flavor Development in Cheddar Cheese

  • Kwak, H.S.;Ju, Y.S.;Ahn, H.J.;Ahn, J.;Lee,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205-1211
    • /
    • 200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microencapsulated iron-fortified Cheddar cheese and L-ascorbic acid as a bioavailable helper of iron on chemical and sensory aspects. Coating material was PGMS, and ferric ammonium sulfate and Lascorbic acid were selected as core materials. The highest efficiency of microencapsulation of iron and L-ascorbic acid were 72 and 94%, respectively, with 5:1:50 ratio (w/w/v) as coating to core material to distilled water. TBA absorban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microencapsulated treatments than those in uncapsulated treatments during ripening. The productions of short-chain free fatty acid and neutral volatile compou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during ripening periods. In sensory aspects, bitterness, astrigency and sourness were higher in Cheddar cheese fortified with microencapsulated iron and uncapsulated L-ascorbic acid than others.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fortification of iron as well as L-ascorbic acid did not show any defect problem to Cheddar cheese,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ron fortification of Cheddar cheese.

Cholesterol Removal and Flavor Development in Cheddar Cheese

  • Kwak, H.S.;Jung, C.S.;Seok, J.S.;Ahn,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409-416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 cholesterol removal rate, flavor development and bitter amino acid productions in Cheddar cheese treated with $\beta$-cyclodextrin (CD): 1) Control (no homogenization, no $\beta$-CD), and 2) Milk treatment (1000 psi milk homogenization, 1% $\beta$-CD). The cholesterol removal of the cheese was 79.3%.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ree fatty acids (FFA) increased with a ripening time in both control and milk treated cheese. The releasing quantity of short-chain FFA was higher in milk treated cheese than control at 5 and 7 mo ripening. Not much difference was found in neutral volatile compound production between samples. In bitter-tasted amino acids, milk treatment group produced much higher than control. In sensory analysis, texture score of control Cheddar chees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ripening time, however, that in cholesterol-reduced cheese decreased dramatically.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eese made by $\beta$-CD treated milk with low pressure homogenization showed an effective cholesterol reduction and a rapid cheese ripening, while no capture of flavor compounds by $\beta$-CD.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향기성분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Meju and Doenjang)

  • 김경업;김미혜;최병대;김태수;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7-565
    • /
    • 1992
  •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발효숙성중 생성되는 향기성분을 분석하기위하여 Nickerson 형의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 분획분으로 분획하여 판넬 시험의 결과 중성 분획분에서는 구수한 냄새가 염기성 분획부네서는 자극취와 볶은콩냄새, phenol성 분확분에서는 의약품냄새 그리고 산성 분획분에서는 산패취가 나타났다. 각 분획분의 성분을 GC-MS로 분석 동정된 향기화합물은 peak 면적 %로 나타내었다. 중성 분획분에서 64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삶은 콩에서는 pentanal, hexanal 및 1-octene-3-ol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메주에서는 3-methylbutanal과 1-butanol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숙성전 된장에서는 메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cetic acid ethylester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숙성후 된장의 주된 휘발성 화합물은 3-methyl-1-butanol, 2-furancarboxyaldehyde, 1-octen-3-ol, benzeneacetaldehyde, methyloctadecadienoate 및 methyloctadecenoate 등이었다. 염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1종의 화합물중에서 2,6-di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 등이 메주와 된장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enol성 분획분에서 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phenol과 p-ethylguaiacol의 함량은 삶은 콩에서 나타났고 메주와 된장에서는 4-vinylphenol과 p-ethyl-guaiacol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5종의 화합물중에서 ethanoic acid와 hexano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propanoic acid와 pentanoic acid는 삶은 콩과 메주에서만 동정되었으며 숙성후의 된장에서는 다른 시료에서 동정되지 않았던 10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특히 pentadecano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